$\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헬스 콘텐츠 전략 탐색 : 정보와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Exploring Strategy of Health Contents for Smart Media : Utilizing Information and Data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6 no.1, 2015년, pp.85 - 96  

윤홍석 (Department of Interac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  신동희 (Department of Interac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모니터링이 가능해짐에 따라, 앞으로의 건강 정보의 활용 패턴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자들이 헬스 콘텐츠를 인지,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건강에 대한 본질적 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한 예방 중심의 콘텐츠 기획과 개발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T를 매개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중 e-헬스 리터러시와 같이 개인의 정보 활용과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IT를 매개할 때 발생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적 특성들을 신속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데이터 캡쳐링으로 분류하였다. 건강 정보를 인지, 처리하는 관점에서 개인의 건강 콘텐츠 참여와 예방에 대한 본질적인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인지 논의하고, 그에 합당한 헬스 콘텐츠 전략을 탐색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emergence of smart media and devices which are able to continuous data monitor, the usage patterns of access and acquire health information are changed. Health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intrinsic motivation considering the way of cognizing and processing data in human inform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환자가 자신이 건강을 전문적인 의사에게 모두 맡기는 방식이 아니라, 자신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주체가 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IT 기술을 매개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 중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에 집중한 e-헬스 리터러시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고, IT 기술을 매개할 때 발생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적 특성들을 분류하여, 이러한 특징을 통해 인간 정보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합당한 헬스 콘텐츠 전략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해볼 수 있었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IT 기술을 매개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 중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에 집중한 e-헬스 리터러시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고, IT 기술을 매개할 때 발생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적 특성들을 신속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데이터 캡쳐링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개인이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에서 어떠한 건강 정보를 인지, 처리하는 것이 개인의 건강 콘텐츠 참여와 예방에 대한 본질적인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인지 논의하고 그에 합당한 헬스 콘텐츠 전략을 탐색해보겠다.
  • HDI 연구의 목표는 어떻게 이용자들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데이터에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다학제적 방식을 추구한다 [21]. 이를 테면 빅 데이터의 시각화 방식과 인지 심리학, 데이터의 프라이버시와 보안 관련 사용성 연구 등을 통해 이용자에게 데이터를 명확히 인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처럼 데이터에 기반한 헬스 콘텐츠는 단순히 접근과 활용의 유도성과 용이성 수준을 넘어서 어떻게 데이터에 사용자들을 참여하게 하여 본질적인 건강 동기나 태도에 관한 변화를 이끌어내는지가 중요하다.
  • 미국 질병 통제 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경우, 유투브와 트위터 그리고 페이스 북 등의 소셜 미디어를 최근에 촉발된 건강 이슈들에 대한 행동 지침을 전달하는 용도로 활용 중이다. 특히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mergency의 경우 트위터 비상알림 기능(Push)을 이용해 재난 등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개인과 사회의 피해를 예방하고자 한다. 국내의 보건당국들 또한 위와 같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건강 정보를 개인들에게 공유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는가? 건강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헬스 커뮤니케이션(Health Communication) 또는 메디컬 인포매틱스(Medical Informatics)가 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매스미디어 혹은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한 건강 관련 정보의 전달, 더 나아가서는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건강 관련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2]. 최근에는 신문과 뉴스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인터넷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활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려는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건강 정보 또한 스마트 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에서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미국의 보건복지부(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개인, 조직, 공중들에게 중요한 건강 이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며’, ‘동기를 부여하는’기술 및 방법”으로 정의하고 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은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 안에서 실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다.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발전 단계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Rimon [6]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발전 단계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다. 1960년대는 건강관리 실행자가 중심이 되는 '의학의 시기 '(medical era), 70년대는 목표 공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다가가 인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했던 '현장의 시기'(field era), 80년대는 교환이론을 기초로 하는 상업적 마케팅의 관점에서 목표 공중을 고객(customers)으로 인식했던 ‘사회 마케팅의 시기’(social marketing era), 그리고 마지막으로 90년대 이후 지금까지를 ‘전략적 시기’(strategic era)로 구분된다. 전략적 시기란 인터넷 등장 이후 나타난 새로운 미디어 채널의 등장, 근거 중심(evidence-based)의 프로그램의 요구 등과 함께 헬스 캠페인에서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S. Ko, J. Choi, and J. Lee, "Mega Trend of Healthcare Industry and the Opportunity of Korea," SERI, CEO Information, 788, 2011. 

  2. Bernhardt, Jay M., and Kenzie A. Cameron. "Accessing, understanding, and applying health communication messages: The challenge of health literacy." 2003. 

  3. B. K. Lee, "Method for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Korea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Vol1, No1, pp.1-32, 2009. 

  4. S. C. Park, J. Choi, and S. Oh,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52, No 2, pp.40-69, 2008. 

  5. Stacks, Don W., and Michael B. Salwen, "An integrated approach to communication theory and research," Routledge, 2014. 

  6. Rimon, J. G, "Behavior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in public health. In beyond dialogue: moving toward convergence. Managua, Nicaragua," Presented at the United Nations Roundtable on Development Communication, 2001. 

  7. Eysenbach, G. "What is e-health,"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3, No2, 2001. 

  8. D. Norman, and A. Skinner, "eHEALS : The eHeal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8, No4, e27. 2008. 

  9. D. Norman, and A. Skinner, "eHealth Literacy : Essential Skills for Consumer Health in a Networked World,"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8, No 2, e9, 2006. 

  10. S. R. Cotten, and S. S. Gupta, "Characteristics of online and offline health information seekers and factors that discriminate between them,"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9, No3, pp.1795-1806. 2004. 

  11. C. Bauer, "Limiting Factors on the Transformative Powers of E-Mail in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A Critical Analysis," Health Communication, Vol. 12, No3, pp.239-259, 2000. 

  12. H. Frost, and P. Massagli, "Social Uses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Within Patients Like Me, an Online Patient Community: What Can Happen When Patients Have Access to One Another's Data,"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0, No3, 2008. 

  13. H. De Vries, and J. Brug, "Computer-tailored interventions motivating people to adopt health promoting behaviours: introduction to a new approach,"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36, pp.99-105, 1999. 

  14. M. K. Campbell, "Varying the message source in computer-tailored nutrition education," Patient Education Counseling, Vol26, pp.181-192, 1999. 

  15. IBM Corporation, "IBM Watson enables more effective healthcare preapproval decisions using evidence-based learning," USA, IBM Corporation Software Group. 2013. 

  16. S. Feldman, J. Hanover, C. Burghard, and D. Schubmehl, "Unlocking the Power of Unstructured Data," IDC Helath Insight, pp.5-10. 2012. 

  17. E. J. Topol, "The creative destruction of medicine: How the digital revolution will create better health care," Basic Books, 2012. 

  18. T. L. Thompson., R. Parrott, and F. Nussbaum, "The Routledge handbook of health communication,". Routledge, 2011. 

  19. S. S. Sundar, and S. S. Marathe, "Personalization versus customization: The importance of agency, privacy, and power usag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6, No3, pp.298-322, 2010. 

  20. S. S. Sundar, B. Saraswathi, and J. Haiyan, "Motivational technologi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signing preventive health applications." Persuasive Technology. Design for Health and Safety,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112-122, 2012. 

  21. H. Haddadi, R. Mortier, D. McAuley, and J. Crowcroft, "Human-data interaction,"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Technical Report UCAM-CL-TR-83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