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최근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모니터링이 가능해짐에 따라, 앞으로의 건강 정보의 활용 패턴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자들이 헬스 콘텐츠를 인지,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건강에 대한 본질적 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한 예방 중심의 콘텐츠 기획과 개발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T를 매개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중 e-헬스 리터러시와 같이 개인의 정보 활용과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IT를 매개할 때 발생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적 특성들을 신속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데이터 캡쳐링으로 분류하였다. 건강 정보를 인지, 처리하는 관점에서 개인의 건강 콘텐츠 참여와 예방에 대한 본질적인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인지 논의하고, 그에 합당한 헬스 콘텐츠 전략을 탐색해보았다.
With the emergence of smart media and devices which are able to continuous data monitor, the usage patterns of access and acquire health information are changed. Health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intrinsic motivation considering the way of cognizing and processing data in human information interaction. For this, planning for prevention centered health contents is required to utilize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big data for engagement with the contents.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previous studies of health communication dealing with users' information literacy like e-health literacy. In addition, the paper classifies ways of communication when mediate IT as immediacy, interaction and data capturing. In conclusion, strategies of health contents for promoting users' intrinsic motivation are explored and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 |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는가? |
매스미디어 혹은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한 건강 관련 정보의 전달, 더 나아가서는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건강 관련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건강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헬스 커뮤니케이션(Health Communication) 또는 메디컬 인포매틱스(Medical Informatics)가 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매스미디어 혹은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한 건강 관련 정보의 전달, 더 나아가서는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건강 관련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2]. 최근에는 신문과 뉴스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인터넷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활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려는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건강 정보 또한 스마트 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헬스 커뮤니케이션 | 미국 보건복지부에서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
개인, 조직, 공중들에게 중요한 건강 이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며’, ‘동기를 부여하는’기술 및 방법
미국의 보건복지부(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개인, 조직, 공중들에게 중요한 건강 이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며’, ‘동기를 부여하는’기술 및 방법”으로 정의하고 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은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 안에서 실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다. |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발전 단계 |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발전 단계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
1960년대는 건강관리 실행자가 중심이 되는 '의학의 시기 '(medical era), 70년대는 목표 공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다가가 인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했던 '현장의 시기'(field era), 80년대는 교환이론을 기초로 하는 상업적 마케팅의 관점에서 목표 공중을 고객(customers)으로 인식했던 ‘사회 마케팅의 시기’(social marketing era), 그리고 마지막으로 90년대 이후 지금까지를 ‘전략적 시기’(strategic era)로 구분된다.
Rimon [6]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발전 단계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다. 1960년대는 건강관리 실행자가 중심이 되는 '의학의 시기 '(medical era), 70년대는 목표 공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다가가 인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했던 '현장의 시기'(field era), 80년대는 교환이론을 기초로 하는 상업적 마케팅의 관점에서 목표 공중을 고객(customers)으로 인식했던 ‘사회 마케팅의 시기’(social marketing era), 그리고 마지막으로 90년대 이후 지금까지를 ‘전략적 시기’(strategic era)로 구분된다. 전략적 시기란 인터넷 등장 이후 나타난 새로운 미디어 채널의 등장, 근거 중심(evidence-based)의 프로그램의 요구 등과 함께 헬스 캠페인에서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