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seudomonas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성 항생물질에 의한 효모 Candida 생육 억제
Inhibition of yeast Candida growth by protein antibiotic produced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BB2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1 no.4, 2015년, pp.448 - 452  

안경준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 세균을 배추의 근권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API 20NE test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Pseudomonas fluorescens BB2로 동정되었다. P. fluorescens BB2 균주는 3%의 glucose가 포함된 YM 배지에서 $20^{\circ}C$로 배양하였을 때 효모에 대한 항생물질을 2차 대사산물로서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BB2 균주의 단백질성 항생물질은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과 N-butanol 추출에 의해 농축되었으며,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데 Candida albicans KCTC 7965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은 $10{\mu}g/ml$이었고, $80{\mu}g/ml$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하였다. N-butanol 추출에 의한 친수성 분획은 Bacillus cereus ATCC 21366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chrome azurol S 평판배지에서 주황색 halo를 생성하므로 철과 결합하는 siderophore를 포함한다. 세포막을 통한 crystal violet의 흡수를 조사한 결과 효모 C. albicans에 대한 소수성 항생물질 $60{\mu}g/ml$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막 투과성이 약 9% 증가하였다. P.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은 효모 Candida의 생육을 억제하는 antimicrobial peptide의 일종으로 보이며, 이는 Pseudomonas 속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cterial strain that was isolated from chinese cabbage rhizosphere, showed inhibition of yeast growth.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fluorescens BB2 by API 20NE test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P. fluorescens BB2 strain produced antibiotics against yeast as a secondary me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근권 토양에서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 P. fluorescens BB2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균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이 효모 Candida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 항생물질이 Pseudomonas속 균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단백질 성분의 새로운 항생물질임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ndida 속 일부 균주는 사람에게 어떤 증상을 일으키며 그 질환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한편 인체에 유해한 진균류 중에 효모의 일종인 Candida 속 일부 균주가 포함되는데, 이들은 건강한 사람의 점막 상재균 이지만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에게는 기회감염균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기관에 표재성 및 심부성 감염을 일으키는 캔디다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진균류에 의한 감염이나 기타 세균 등에 의한 감염에 대항하기 위해 생물 종들은 나름대로 감염균에 대항하는 peptide를 발전시켜 왔는데 포유동물의 cathelicidin 같은 예를 들 수 있다(Benincasa et al.
형광성 Pseudomonad 과 같은 길항세균들이 어떤역할을 하여 질병통제의 수단이 될수 있는가? , 1998). 이러한 길항세균들은 토양에 존재하는 식물 병원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생물들의 평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따라서 생물학적 질병 통제의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다양한 진균성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작용을 수행하는 Pseudomonas 균들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아 왔으며, 이러한 생물학적 방제는 화학적 통제 수단인 살균제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내성균의 출현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Dowling and O’Gara, 1992; Kim et al.
Pseudomonas 속 균주가 길항작용을 통해 진균성 병원균을 억제하는 기전은 무엇이 있는가? , 2004). 진균의 세포벽에 대한 가수분해효소인 chitinase, β1,3-glucanase, cellulase에 의한 용균을 일으키거나(Lim et al., 1991), 대부분의 근권 Pseudomonas 속 세균들이 분비하는 철 (Fe3+) 결합 peptide인 pyoverdine (Philson and Llinas, 1982)이나 phenazine 계열의 방향족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siderophore 에 의한 식물병원균 생육 억제(Vandenberg et al., 1983; Linda et al., 1990; Thomashow and Weller, 1998), 그리고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을 통한 직접적인 생육 저해가 있다. Pseudomonas 속 세균들이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로는 대부분 2차 대사산물인 pyocyanin (Baron and Rowe, 1981), pyoluteorin (Arim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rima, K., Imanaka, H., Kousaka, M., Fukuta, A., and Tamura, G. 1964. Pyrrolnitrin, a new antibioticsubstance, produced by Pseudomonas. Agric. Biol. Chem. 28, 575-576. 

  2. Bahar, A.A. and Ren, D. 2013. Antimicrobial peptides. Pharmaceuticals 6, 1543-1575. 

  3. Baron, S.S. and Rowe, J.J. 1981. Antibiotic action of pyocyan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 814-820. 

  4. Benincasa, M., Scocchi, M., Pacor, S., and Tossi, A. 2006. Fungicidal activity of five cathelicidin peptides against clinically isolated yeasts. J. Antimicrob. Chemother. 58, 950-959. 

  5. Dowling, D.N. and O'Gara, F. 1992. Metabolites of Pseudomonas involved in the biocontrol of plant disease. Trends Biotechnol. 12, 133-141. 

  6. Flaishman, N.A., Eyal, Z., Zilberstein, A., Voisard, C., and Haas, D. 1996. Suppression of Septoria tritici blotch and leaf rust by recombinant cyanide-producing strains of Pseudomonas putida. Mol. Plant-Microbe Interact. 9, 642-645. 

  7. Fuller, A.T., Banks, G.T., Mellows, G., Barrow, K.D., Woodford, M., and Chain, E.B. 1971. Pseudomonic acid: an antibiotic produced by Pseudomonas fluorescens. Nature 234, 416-417. 

  8. Howell, C.R. and Stipanovic, R.D. 1980. Suppression of Pythium ultimum-induced damping-off of cotton seedlings by Pseudomonas fluorescens and its antibiotics, pyoluteorin. Phytopathology 70, 712-715. 

  9. Jung, T.K. and Song, H.G.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TK3 inhibiting causative bacteria of atrophic rhinitis and fowl typhoid. Korean J. Microbiol. 51, 177-180. 

  10. Kim, Y.H. 2013. Inhibition of Candida albicans biofilm formation by Coptidis chinensis through damaging the integrity of cell membrane. Korean J. Microbiol. 49, 17-23. 

  11. Kim, J.M., Lee, M.W., and Han, Y.H. 1998. Antifungal activity of Pseudomonas sp. DGUM 5051 against apple bitter-rot causing fungus, Glomerella cingulata. Korean J. Mycol. 26, 458-465. 

  12. Lee, E.T. and Kim, S.D. 2000. Sele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sp. 2112 against red pepper rotting Phytophthora capsic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334-340. 

  13. Lee, H.S. and Kim, Y.H. 2014. Antifungal activity of Rheum undulatum on Candida albicans by the changes in membrane permeability. Korean J. Microbiol. 50, 360-367. 

  14. Lim, H.S., Kim, Y.S., and Kim, S.D. 1991. Pseudomonas stuzeri YPL-1 genetic transformation and antifungal mechanism against Fusarium solani, an agent of plant root rot. Appl. Environ. Microbiol. 57, 510-516. 

  15. Linda, S.T., David, M.W., Robert, F.B., and Leland, S.P. 1990. Production of the antibiotic phenazin-1- carboxylic acid by fluorescent Pseudomonas species in the rhizosphere of wheat. Appl. Environ. Microbiol. 56, 908-912. 

  16. Mondol, M.A.M. and Shin, H.J. 2014. Antibacterial and antiyeast compounds from marine-derived bacteria. Mar. Drugs 12, 2913-2921. 

  17. Nagarajkumar, M., Bhaskaran, R., and Velazhahan, R. 2004. Involvement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extracellular lytic enzymes produced by Pseudomonas fluorescens in inhibition of Rhizoctonia solani, the rice sheath blight pathogen. Microbiol. Res. 159, 73-81. 

  18. O'Sullivan, D.J. and O'Gara, F. 1992. Traits of fluorescent Pseudomonas spp. involved in suppression of plant root pathogens. Microbiol. Rev. 56, 662-676. 

  19. Park, S.M., Jung, H.J., Kim, H.S., and Yu, T.S. 2006. Isolation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Brevibacillus sp. KMU-391 against black root pathogens caused by Didymella bryoniae. Korean J. Microbiol. 42, 135-141. 

  20. Philson, S.B. and Llinas, M. 1982. Siderochromes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J. Biol. Chem. 257, 8081-8085. 

  21. Schwyn, B. and Neilands, J.B. 1987. Universal chemical assay for the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siderophores. Anal. Biochem. 160, 47-56. 

  22. Shanahan, P., O'Sullivan, D.J., Simpson, P., Glennon, J.D., and O'Gara, F. 1992. Isolation of 2,4-diacetylphloroglucinol from a fluorescent Pseudomonad and investigation of physiological parameters influencing its production. Appl. Environ. Microbiol. 58, 353-358. 

  23. Thomashow, L.S. and Weller, D.M. 1998. Role of phenazine antibiotics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in biological control of Gaeumannomyces graminis var. tritici. J. Bacteriol. 170, 3499-3508. 

  24. Vaara, M. and Vaara, T. 1981. Outer membrane permeability barrier disruption by polymyxin in polymyxin-susceptible and-resistant Salmonella typhimurium.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 578-583. 

  25. Van Loon, L.C., Bakker, P.A.H.M., and Pieterse, C.M.J. 1998. Systematic resistance induced by rhizosphere bacteria. Ann. Rev. Phytopathol. 36, 453-483. 

  26. Vandenbergh, P.A., Gonzales, C.F., Wright, A.M., and Kunka, B.S. 1983. Iron-chelating compounds produced by soil Pseudomonas: Correlation with fungal growth inhibition. Appl. Environ. Microbiol. 46, 128-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