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Feedba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0 no.5, 2015년, pp.165 - 173  

이종건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  곽원준 (숭실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개인주의와 무한경쟁의 심화로 공동체의식의 형성이 쉽지 않은 기업 상황에서 조직몰입에 대한 관심이 높다. 조직몰입은 가장 중요한 종업원 태도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 및 기업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287명의 종업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피드백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정(+)의 관계는 조직피드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들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경영자들은 조직차원의 피드백 제공을 통하여 내재적 동기부여를 가진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경영자들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 수준이 높을 때, 조직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줄 때 종업원의 조직몰입 수준을 가장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feedback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rganizational feedbac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workplace. Data were col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재적 동기부여, 조직피드백, 조직몰입변수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Varimax회전에 의한 요인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은 각각 5개 및 3개의 문항이 한 요인으로 묶였으며, 조직몰입은 9개의 문항 가운데 2개 문항을 제외한 7개 문항이 한 요인으로 묶였다.
  •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높이는데 조직피드백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조직몰입에 대한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의 주효과에 추가하여 조직피드백이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한다. 조직피드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은 조직몰입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밝힘으로써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가 조직피드백의 수준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밝힘으로써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가 조직피드백의 수준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정(+)의영 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한다. 분석결과, <표 3>의 모형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
  • 가설 2는 조직피드백이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 몰입의 정(+)의 관계는 조직피드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화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한다. <표 3>의 모형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가 조직피드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β =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업원들의 내재적 동기 부여가 그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예측인자인 이유는? 종업원들의 내재적 동기 부여는 그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예측인자이다. 왜냐하면, 종업원들이 업무관련 이슈에 관여를 할수록 조 직에 더욱 통합되기 때문이다(Thomas & Velthouse, 1990). 내재적 동기는 “활동에 따른 본질적인 즐거움과 만족을 경험하기 위하여 활동 자체를 열심히 수행하려는 동기”를 말한다 (Vallerand, 1997).
조직몰입은 어떻게 여겨져 왔는가? 조직몰입은 가장 중요한 종업원 태도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 및 기업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강조되어 왔다 (Wu & Liu, 2014). 조직몰입은 직무성과, 결근, 이직과 같은 업무관련 구성개념과의 밀접한 관계 때문에 조직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Bentein et al.
조직몰입이 조직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온 이유는? 조직몰입은 가장 중요한 종업원 태도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 및 기업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강조되어 왔다 (Wu & Liu, 2014). 조직몰입은 직무성과, 결근, 이직과 같은 업무관련 구성개념과의 밀접한 관계 때문에 조직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Bentein et al., 2005;Hoff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Amabile, T. M. 3 3 185 10.1016/1053-4822(93)90012-S 

  2.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Ashford, S. J. 29 3 465 10.2307/256219 

  3.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Bentein, K. 90 3 468 10.1037/0021-9010.90.3.468 

  4. 인사조직연구 최병권 19 4 93 

  5.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Donaldson, S. I. 26 4 233 

  6.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Dysvik, A. 12 3 138 10.1111/j.1468-2419.2008.00301.x 

  7.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by, L. T. 72 4 463 10.1348/096317999166798 

  8.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Freund, A. 29 2 5 10.1300/J147v29n02_02 

  9.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Gagne´, M. 26 4 331 10.1002/job.322 

  10.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Grant, A. M. 93 1 48 10.1037/0021-9010.93.1.48 

  11.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Hackman, J. R. 60 2 159 10.1037/h0076546 

  12.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Hackman, J. R. 16 2 250 10.1016/0030-5073(76)90016-7 

  13. 인사조직연구 한태영 19 1 1 

  14.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Harrison, S. H. 58 2 375 10.5465/amj.2012.0737 

  15.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Hausknecht, P. 51 6 1223 10.5465/AMJ.2008.35733022 

  16. Journal of Management Issues Heimann, B. 8 1 108 

  17.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Hoffman, B. J. 92 2 555 10.1037/0021-9010.92.2.555 

  18.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Humphrey, S. E. 92 5 1332 10.1037/0021-9010.92.5.1332 

  19.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Kammeyer-Mueller, J. D. 90 4 644 10.1037/0021-9010.90.4.644 

  20.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Kehr, H. M. 29 3 479 10.5465/amr.2004.13670963 

  21. 대한경영학회지 김명진 24 5 2477 

  22. 인사조직연구 이덕로 21 1 29 

  23. 인사조직연구 이지우 10 1 1 

  24.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Mowday, R. T. 14 2 224 10.1016/0001-8791(79)90072-1 

  25.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arker, S. K. 6 3 211 10.1037/1076-8998.6.3.211 

  26.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Perry, J. 7 2 181 10.1093/oxfordjournals.jpart.a024345 

  27.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Pfeffer, J. 40 96 10.2307/41165935 

  28.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Podsakoff, P. M. 88 5 879 10.1037/0021-9010.88.5.879 

  29.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Prue, D. M. 3 1 1 10.1300/J075v03n01_01 

  30.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Scandura, T. A. 13 2 169 10.1002/job.4030130206 

  31. 인사조직연구 서재현 11 1 1 

  32.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Solinger, O. N. 93 1 70 10.1037/0021-9010.93.1.70 

  33. Personnel Psychology Tett, R. P. 46 259 10.1111/j.1744-6570.1993.tb00874.x 

  34.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Thomas, K. W. 15 4 666 

  35. Personnel Psychology Tierney, P. 52 3 591 10.1111/j.1744-6570.1999.tb00173.x 

  36.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an Dyne, L. 37 4 765 10.2307/256600 

  37.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Wright, T. A. 87 6 1183 10.1037/0021-9010.87.6.1183 

  38.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Information Wu, C. C. 9 1 61 

  39. Creativity Research Journal Yuan, F. 20 4 391 10.1080/10400410802391827 

  40.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Zhou, J. 44 4 682 10.2307/30694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