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행아웃 학습시스템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oud-based Education System: Introducing Hang-Out Education System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3, 2015년, pp.31 - 36  

이성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박주연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자통신 및 스마트기기 사용의 확산과 더불어 스마트플랫폼 시대에 맞는 강의 및 새로운 서비스 구상이 필요하고, 다양한 콘텐츠 및 시스템 변화에 대비하여 교육 시스템을 설계, 구현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사이버 대학들도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캠퍼스 구축 등 융복합 기술을 통한 새로운 정보통신 환경에 부합하는 교육시스템과 네트워크 기반 구축에 빠르게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의 사례연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설계와 구현, 활용효과를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도입 방법 및 개선점 등을 시사하는 것이다. K대학의 행아웃 학습시스템 도입사례를 통해 교수와 학생간 자유로운 의견 교환 및 정보공유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가 향상되었고, 시간 및 운영비용 등의 절감을 통해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실시간 영상강의의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고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ny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focused on shifting education paradigm into smart learning using high-tech devices and internet as the level of technology has growing rapidly in every society. Especially, cyber universities and open universities in Korea are trying to devel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하여 행아웃 교육시스템의 도입사례를 소개함으로서 새로운 디지털 융복합환경에서 요구되는 교육플랫폼의 대안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의 행아웃 학습시스템 도입사례를 제시하여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설계와 구현, 활용효과를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도입 방법 및 개선점 등을 시사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 영상강의의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고,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부터 전국 360여개 대학의 이러닝, 도서관시스템, 행정전산 등의 전통적 시스템 구축방식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고,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공동으로 발표한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에 따라 대학전산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을 조성하여 수년 내에 본격적인 스마트 교육 시행을 계획하고 있다 [4].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의 행아웃 학습시스템 도입사례를 제시하여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설계와 구현, 활용효과를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도입 방법 및 개선점 등을 시사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 영상강의의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고,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라우드 서비스란? PC대신 온라인에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마다 접속해서 사용하는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은?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에 구름처럼 떠 있는 모든 자원을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효율적인 자원의 활용과 비용효익, 에너지 절감효과 등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 조직, 정부 등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과 활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IT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연평균 20%가 넘는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 수가 2018년까지 36억 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5].
전통적인 조직 및 기업의 시스템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서비스의 최적화와 에너지 절감효과를 증대시킨 사례는?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불필요한 서버의 증대와 비효율적인 운영의 복잡성 등 전통적인 조직 및 기업의 시스템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서비스의 최적화와 에너지 절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구글이 제시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비용’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 메일서버를 사용하면 최대 80배 이상 에너지 소비가 절약되고,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활용하면 기존 서비스 인프라 구축환경 대비 85%가까운 에너지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운영의 효율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비용절감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절감과 탄소 배출량 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H. Kim, Y. J. Kim.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Smart Learning in a Cyber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12, No.3, pp.55-83, 2014. 

  2. S. U. Choi, S. H. Park, M. S. Im, An Empirical Study of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Individual Learning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0, No.6, pp.33-40. 2012. 

  3. J. M. Lee, Study of mobile education service, Journal of Cyber Society & Culture, Vol.1 No.1, pp.91-119. 2010. 

  4. Y. J. Jang, Ministry of Education, transferring cloud-based university system, http://www.boan.com. (September, 7, 2011). 

  5. S. H. Park, H. S. Yang, A Study on the method of existing system migration for Cloud comput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271-282, 2014. 

  6. G. U. Seo, Google Plus touches down Korea Joong-Ang Daily, (May 17, 2012). 

  7. G. Y. Lee, Google: How to Green Cloud, Bloter.net, (June 19, 2012). 

  8. S. H. Park, Only changes email, ChosunBiz.com, (April 12, 2013). 

  9. Developing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or smart education, KERIS Issue Report, http://www.keris.or.kr RM2011-22, 2011. 

  10. R. B. Marks, S. D. Sibley and J. B. Arba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redictors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Vol.29, No.4, pp.531-563, 2005. 

  11. M. S. Lee, U. I. 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Journal of Computer Education, Vol.14. No.5, pp.71-79. 2011. 

  12. I. H. Kim, H. C. Kim, The Social Learning Effects on Web-Based Peer Review, Journal of Computer Education, Vol 16, No.2. pp.19-28. 2012. 

  13. S. Y. Pi. Utilization Plan of SNS for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6, pp.587-595. 2014. 

  14. J. Cain and A. Policastri,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Using Facebook as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75, No.10, pp.1-8, 2011. 

  15. H. Han and S. D. Johnson,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Bond, and Interactions in Onlin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5, No.1, pp.78-8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