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숙지황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oodles Added with Rehmanniae Radix Preparat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3, 2015년, pp.386 - 392  

민아영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아영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숙경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숙지황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면류를 제조하기 위해서 숙지황 분말을 밀가루에 0, 2.5, 5, 7.5%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숙지황 분말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국수의 중량, 부피, 함수율은 감소하였고 탁도는 증가하였다. 색도는 숙지황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숙지황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숙지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의 경도는 증가하였고, 탄력성, 응집성, 검성씹힘성은 감소하였다. 숙지황 분말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와 최종 점도는 감소하였다. 숙지황 분말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polyphenol 함량은 증가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에서 $IC_{50}$값이 감소하였으므로 숙지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숙지황 분말 2.5% 첨가 국수가 전체적인 기호도 및 구입의사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숙지황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국수의 개발이 가능하였고 기능성을 고려하였을 때는 숙지황 분말 7.5% 첨가가 가장 그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하지만 제품 개발 특성상 관능적 특성을 크게 고려하였을 때, 숙지황 분말을 2.5%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oodles added with Rehmanniae Radix Preparata powder (RP). Wheat flour noodles were prepared with four levels of RP (0, 2.5, 5, and 7.5%). Moisture absorption of RP added noodles was somewhat grea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특성과 기호성을 함유한 숙지황 분말을 국수에 첨가하여 제면 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능성 국수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수란? 국수는 소금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고 면대를 형성시킨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글루텐의 독특한 성질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밀 가공 식품 중의 하나이다. 아시아에서는 중국을 원조로 하여 한국, 일본, 베트남에서 주로 먹었고, 유럽에서는 국수의 기원을 이탈리아의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의 파스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숙지황의 어떠한 효능이 있는가?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뿌리를 채취하여 근엽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것을 생지황 또는 선지황(Rehmanniae Radix Crudus)이라 하고 생지황을 양건한 것을 건지황(Rehmanniae Radix), 황주, 백주 또는 사인주로 구증 구포한 것을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이라고 하며, 약효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13). 특히 숙지황은 보혈, 자음의 효능이 있어 혈허, 심계정충, 실면, 붕루, 월경부조, 신음부족으로 인한 골증조열, 도한, 이명, 목현, 수발조백, 유정, 소갈 등에 적용된다(14,15). 숙지황의 약성(藥性)과 효능이 생지황 및 건지황과 구별되는 것은 그 제조과정에서 함유성분의 함량 및 성상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국수는 어떻게 분류 되는가? 국수는 현재 우리나라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식품의 편의화 추세에 따라 밀 가공식품의 수요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밀가루에 한정하지 않고 영양학적 가치가 높고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제면 원료들에 따라 연구가 이루어져 많은 국수가 생산되고 있다. 식품 공전에 의하면 건면류, 파스타류, 생면류, 숙면류, 즉석면류 등의 제품류로 분류하고 있다(2).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식생활에도 웰빙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ng HS, Park CS. 2003.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puntia ficus-indica v. Saboten. Korean J Food Preserv 10: 200-205. 

  2.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1994. Korea food industry. Seoul, Korea. p 313-317. 

  3. Kim CB, Lee SH, Kim MY, Yoon JT, Cho KR. 2002. Effects of the addition of leek and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noodles. Korean J Food Preserv 9: 36-41. 

  4. Kim UJ, Yoon J, Kim H. 2002.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92-697. 

  5. Kim YA. 2002. Effect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6.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7: 120-127. 

  7. Lee KH, Kim KT. 2000.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whey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73-1078. 

  8. Lee YC, Shin KA, Jeong SW, Moon YI, Kim SD, Han YN.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uni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04-1612. 

  9. Bae SH, Lee C, Lee SW, Yoon CS, Chung SH. 2003. Effect of synnemeta of Besuveria bassiana on the properties of noodle. Korean J Food & Nutr 16: 158-164. 

  10. Bae Sh, Rhee C. 1998. Effect of soybee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01-1306. 

  11. Lee HA, Nam ES, Park SI.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Maesil (Prunus mume) juice. Korean J Food Culture 18: 527-535. 

  12. Hwang JH, Jang MS. 2001. Effect of paprika (Capsicum anmuum L.) juice in the acceptability and quality of wet noodle (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73-379. 

  13. Yoon JP. 2011. Evaluation of the remedy for neuronal diseases from Rhemannia glutinosa Liboschitz and elucidation of their underlying mechanisms. M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p 5. 

  14. Ji HJ, Lee SI. 1998. For Korea parmacopoeia and Korea pharmacopoeia other zhuhai specifications herbal medicine. 2nd ed. Korea Medical Index, Seoul, Korea. p 341-342, 384-385, 562-563. 

  15. Kim JK, Cho BK. 1995.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primaries book. Younglim, Seoul, Korea. p 64. 

  16. Liu ZY. 1984. Comparison of monosaccharide contents between the raw and prepared roots of Rehmannia. Zhong Yao Tong Bao 9: 17-18. 

  17. Ni M, Bian B, Wang H. 1992. Constituents of the dry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Zhongguo Zhong Yao Za Zhi 17: 297-298. 

  18. Bian B, Ni M, Wang H. 1991. Analysis and comparison of acidic constituents in petroleum ether-soluble fraction of radix Rehmanniae and its processed products. Zhongguo Zhong Yao Za Zhi 16: 339-341. 

  19. Na YG, Song JH, Jeon HL, Shim EK, Lee KJ, Kim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amed rib sauce added with Rehmannia glutinosa preparata (Sookjihwang)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24-633. 

  20. Min AY, Kim MR. 2014.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added with Rehmannia Radix Preparata and Rubus coreanus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116-125. 

  21. Lee CK, Seo JM. 2004. Changes of the constituents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during process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48-1752. 

  22.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23.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24. Lee YS, Lim NY,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 681-688. 

  25. Lee JW, Kee HJ, Park YK, Rhin JW, Jung ST, Ham KS, Kim IC, Kang SG.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305. 

  26. Oh HL, Kim CR, Kim NY, Jeon HL, Doh ES, Kim MR. 2013.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e radix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2-67. 

  27. Kim JG, Shim J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noodle added with onion powder. Food Eng Prog 10: 269-274. 

  28. Park BH, Cho H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Dioscorea japonica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73-180. 

  29. Choi HD, Seo HM, Kim SR, Park YK, Lee CH. 2003. Effect of ${\beta}$ -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5-550. 

  30. Park BH, Cho HS, Bae K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Lotus roo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93-600. 

  31. Cho HS, Kim KH.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shrimp noodles for elderly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67-274. 

  32. Lee CH, Gore PJ, Lee HD, Yoo BS, Hong SH. 1987. Utilization of Australian wheat for Korean style dried noodle making. J Cereal Sci 6: 283-297. 

  33.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73-1380. 

  34. Oda M, Yasuda Y, Okazaki S, Yamauchi Y, Yokoyama Y. 1980. A method of flour quality assessment for Japanese noodle. Cereal Chem 57: 253-254. 

  35. Hahn DH, Rooney LW, Earp CF. 1984.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36. Yang X, Chen L, Park J, Shen S, Wang Y. 2001. Mechanism of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of tea catechins.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een Tea, Seoul, Korea. p 111-120. 

  37. Oh HL, You BR, Kim HJ, Lee JY, Kim NY, Song JE, Kim MR.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e radix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18-1524. 

  38. Choi EJ, Lee JS, Chang HB, Lee MS, Jang HD, Kwon YI. 2010. Changes in the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467-474. 

  39.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