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춘계 탐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in the Estuary of the Tamjin River,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3 no.1, 2015년, pp.19 - 26  

김세화 (용인대학교 환경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만으로 흘러드는 탐진강 하구역의 5개 정점에서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매달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여 춘계 동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를 조사하였다. 용존산소량은 하구역 정점에서 $5.0{\sim}7.0mgL^{-1}$로 강 상류역의 $7.0{\sim}11.0mgL^{-1}$보다 낮았고 pH는 7.4~8.8 사이에서 변동하며 하구역에서 높았으며 수온은 조사초기 $12.0^{\circ}C$에서 $28.0^{\circ}C$까지 증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윤충류 25종, 지각류 8종, 요각류 30종, 수서곤충 6종, 십각류 4종, 따개비 유생 2종, 다모류 유생 2종과 단각류, 등각류, 이매패류, 미충류, 선충류, 모악동물, 자포동물, 야광충이 각각 1종씩 등 총 85종류가 출현하였다. 기수성 요각류는 전 정점에서 출현하였으며 담수산 윤충류와 지각류의 분포는 강 상류 정점에 제한되었다. Acartia 속에 속하는 종들은 3, 4월에 A. hudsonica가 출현한 후 소멸하면 5, 6월에 A. omori가 출현하는 월별 천이를 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450{\sim}87,818ind\;m^{-3}$ 사이에서 변동하였는데 하구역 정점들에서 요각류 유생과 미성숙 개체들의 대량 출현에 의하여 입방미터당 수 만 개체의 출현량이 기록된 결과이다. 종 다양성지수는 0.6~2.3범위에서 변동하였는데 하구역에서 낮았고 강 상류에서 높았다. 탐진강 하구역에서의 기수역 형성은 뚜렷하며 강 상류역 수 km까지 확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estuary of the Tamjin River flowing into the Doam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onthly sampling was carried out to collect zooplankters at five sites in the estuary and the river during the period between March and June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는 춘계 탐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를 파악하고 탐진강 상류역까지 형성되는 기수역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서식 조건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속도와 삼투압조절 환경이 크게 변동하는 하구역은 어떤 수 생태계 변화의 1차 원인이 되고 있는가? 또한 강에서 흘러 드는 생물을 포함한 유기물들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여과하는 장소이기도 하다(Lisitzin 1999). 즉 수생생물의 서식을 제한하는 대사속도와 삼투압조절 환경이 크게 변동하는 하구역은 하구역 생태계에 분포하는 기수성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이 감소하는 일차원인을 제공하고 있다(Hada 1985). 역으로 변동이 극심한 하 구역 생태계에 적응하여 서식 가능한 종들은 물리 화학적 환경의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경쟁 감소와 포식자의감소 등 생물학적 환경의 안온함으로 기인하여 폭발적인증식을 보이기도 한다(de Madariaga et al.
담수가 유입되어 해수와 혼합되는 하구역의 온도와 관련된 특징은 무엇인가? 담수가 유입되어 해수와 혼합되는 하구역은 강수량의 변화에 따라 담수공급량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른 염분 변동이 극심한 지역이다. 수심이 낮아 조석 간만에 의한 염분 변동도 크며 기온 변화에 따라 수온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수온의 일변화도 큰 수역이다. 또한 강에서 흘러 드는 생물을 포함한 유기물들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여과하는 장소이기도 하다(Lisitzin 1999).
담수가 유입되어 해수와 혼합되는 하구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담수가 유입되어 해수와 혼합되는 하구역은 강수량의 변화에 따라 담수공급량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른 염분 변동이 극심한 지역이다. 수심이 낮아 조석 간만에 의한 염분 변동도 크며 기온 변화에 따라 수온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수온의 일변화도 큰 수역이다. 또한 강에서 흘러 드는 생물을 포함한 유기물들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여과하는 장소이기도 하다(Lisitzin 1999). 즉 수생생물의 서식을 제한하는 대사속도와 삼투압조절 환경이 크게 변동하는 하구역은 하구역 생태계에 분포하는 기수성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이 감소하는 일차원인을 제공하고 있다(Hada 1985). 역으로 변동이 극심한 하 구역 생태계에 적응하여 서식 가능한 종들은 물리 화학적 환경의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경쟁 감소와 포식자의감소 등 생물학적 환경의 안온함으로 기인하여 폭발적인증식을 보이기도 한다(de Madariag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exander GG and JD Allan. 2007. Ecological success in stream restoration: case studies from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Environ. Manage. 40:245-255. 

  2. An K-G and I-C Shin. 2005. Influence of the Asian monsoon on seasonal fluctuations of water quality in a mountainous stream. Korean J. Limnol. 38:54-62. 

  3. Chang CY. 2010. Continental Harpacticoida. Invertebrate fauna of Korea, Flora and fauna of Korea. 21(4) NIBR, MIE, Seoul. 

  4. Chang CY. 2012. Continental Cyclopoida I. Invertebrate fauna of Korea, Flora and fauna of Korea. 21(19) NIBR, MIE, Seoul. 

  5.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Japan. Tokai Univ. Pre., Simizu. 

  6. Cho KS, SU Hong and KH Ra. 1975. The comparative study of limnological conditions and plankton fauna of brackish water in the east coast of Korea. Korean J. Limnol. 8:25-37. 

  7. de Madariaga I, L Gonzales-Axpiri, F Villate and E Orive. 1992. Plankton responses to hydrological changes induced by Freshets in a shallow mesotidal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35:425-434. 

  8. Gil J-W, Y-P Hong Y-P and S Kim. 2007. Fish fauna in southern river of Bukcheong and brakish lakes, Shinpo district, Nor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5:279-287. 

  9. Hada A. 1985. Ecological studies of a brackish-water copepod Sinocalanus tenellus (Kikuchi) (Calanoida). MS Thesis, Hiroshima Univ., Hiroshima. 

  10. Jeong HG. 2013. Diversity of freshwater Cladocera (Crustacea: Branchiopoda) in the south of Korean Peninsula.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 Seoul. 

  11. Kim H-W and HY Lee. 2007. The differences of zooplankton dynamics in river ecosystems with and without estuary dam in river mouth. Korean J. Limnol. 40:273-284 . 

  12. Kim S. 1989. Studies on the ecology of marine cladoceran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PhD Dissertation, Hiroshima Univ., Hiroshima. 

  13. Kim S and JH Lee. 199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lower part of Han River IV. Zooplankton dynamics. Korean J. Limnol. 32:16-23. 

  14. Kim S, M-S Han, K-I Yoo, K Lee and Y-K Choi. 2002.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Limnol. 35:141-144. 

  15. Kim S and Y-S Kang. 2003. Brackish lake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 Zooplankton. Korean J. Limnol. 36:215-220. 

  16. Lisitzin AP. 1999. The continental-ocean boundary as a marginal filter in the World Oceans pp.69-103. In Biogeochemical Cycling and Sediment Ecology (Gray JS, W Ambrose and A Szaniawska eds.). Kluwer Acad. Publ., Dordrecht. 

  17. Mizuno T and E Takahashi. 1999.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 Simizu. 

  18. Ohtsuka S, Y-H Yoon and Y Endo. 1992. Taxonomic studies on brackish copepods in Korean water. I. Redescription of Tortanus dextrilobatus Chen and Zhang, 1965 from Korean waters, with remarks on zoogeography of subgenus Eutortanus. J. Oceanol. Soc. Korea 27:112-122. 

  19. Seo HY. 2010. Marine planktonic copepod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Flora and fauna of Korea. 21(3) NIBR, MIE, Seoul. 

  20. Seo HY and BS Kim. 2005. XII. Zooplankton. pp.877-894. In Estuary Ecosystem Investigation (Lee MH ed.). NIER, Incheon. 

  21.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 Urbana. 

  22. Yoo K-I and B-J Lim. 1992. Seasonal succession in the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in Pal'tang reservoir. Korean J. Limnol. 25:89-97. 

  23. Yoo K-I and S-W Kim. 1987. Seasonal distribution of marine cladoceans in Chinhae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22:80-86. 

  24. Yoon SM. 2010. Branchiopod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Flora and fauna of Korea. 21(2) NIBR, MIE,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