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생애주기별 골건강 문제 및 골밀도 영향요인: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Problems with Bone Health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across the Life Cycle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1, 2015년, pp.43 - 54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채현주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 of bone health and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women across the life cycle of menopause. Methods: Complex sampling desig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여성의 골건강 문제 및 예방에 대해서도 생애주기별로 다루는 것이 필요하나[3], 골밀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여성의 생애주기의 특정한 한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 전 여성을 포함하여 여성의 생애주기별 골밀도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생애주기별 골건강 문제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평생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득수준의 향상과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라 무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가?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라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골다공증과 같은 골질환(bone disea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2]. 골다공증은 대표적인 골질환으로 단위 용적 내의 골소실(bone loss)로 인한 골질량 감소를 초래하여 골밀도가 저하된 상태에서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초래하는 질환을 말하며[3,4], 골감소증(osteopenia)은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나 고혈압 전단계(pre-hypertension)와 같이 골밀도의 저하로 인해 정상에 비해 골절위험은 증가되어 있으나 취약골절(fragility fracture)을 초래하지는 않기 때문에 질병 상태로 고려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5].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하는가? 골다공증은 만성 전신성 ‧ 퇴행성 ‧ 대사성 골질환으로 합병증이 다양하고 심각하며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6,7], 골질량 감소 정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진전되면 완치는 불가능해지나 골질량감소 초기 단계에서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면 합병증의 지연과 예방이 가능하여 노년기에도 정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3,8]. 따라서 골 소실 위험인자를 최소화하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기는 골 소실 및 이로 인한 뼈의 약화 및 골절 등과 같은 골질환을 예방하고 골건강(bone health)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나, 골질량 감소 등으로 인한 골건강 문제의 실태나 위험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골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노력을 하는 경우도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골건강 문제의 실태와 위험성에 대한 인식 및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3].
골다공증이란?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라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골다공증과 같은 골질환(bone disea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2]. 골다공증은 대표적인 골질환으로 단위 용적 내의 골소실(bone loss)로 인한 골질량 감소를 초래하여 골밀도가 저하된 상태에서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초래하는 질환을 말하며[3,4], 골감소증(osteopenia)은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나 고혈압 전단계(pre-hypertension)와 같이 골밀도의 저하로 인해 정상에 비해 골절위험은 증가되어 있으나 취약골절(fragility fracture)을 초래하지는 않기 때문에 질병 상태로 고려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5]. 골다공증은 만성 전신성 ‧ 퇴행성 ‧ 대사성 골질환으로 합병증이 다양하고 심각하며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6,7], 골질량 감소 정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진전되면 완치는 불가능해지나 골질량감소 초기 단계에서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면 합병증의 지연과 예방이 가능하여 노년기에도 정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3,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im HJ.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4;33(2):339-348. 

  2. Choi YH, Sung CJ. Effects of physi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7;40(6):517-525. 

  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Osteoporosis and related Bones Disease National Resource Center. The Surgeon general's report on bone health and osteoporosis: What it means to you. Maryl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2. 

  4. Lee MS, Kang PS, Lee KS.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007;24(2):s330-339. 

  5. Zhang J, Morgan SL, Saag KG. Osteopenia: Debates and dilemmas. Current Rheumatology Reports. 2013;15(12):384. 

  6. Marcus R. Role of exercise in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Rheumatic Disease Clinic of North America. 2001;27(1):131-141. 

  7. Kim YR, Lee T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0):4943-4952. 

  8. Caplan RH, Lambert PJ, Hendricks AS, Dolan MJ, Riley EJ. Opportunity to improve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low-impact hip fractures. Gundersen Luthern Medical Journal. 2004;3(1):3-6. 

  9. Kanis JA, McCloskey EV, Johansson H, Oden A, Melton LJ III, Khaltaev N. A reference standard for the description of osteoporosis. Bone. 2008;42(3):467-475. 

  10. Chae JW, Kim IH, Kwon WS, Lee KM, Jung SP, Moon 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003;20(1):53-61. 

  11. Chun YM, Lee SH.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n premonopausal women: Using th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2):6246-6256. 

  12. Nieves JW. Osteoporosis: The role of micronutr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5;81(5):1232s-1239s. 

  13. Sung CJ, Kim SY, Kim MH, Kim EY. The effect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by soymilk on bone mineral density in underweight college wome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3;36(5):470-475. 

  14. Byeon YS. Difference of bone density and risk factors related to osteopenia of young women in their twent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6;18(5):790-797. 

  15. Koo JO, Ahn HS, Yoo SY.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habits of 20-30 years women. Kor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8;13(4):489-498. 

  16. Wyn R, Solis B. Women's health issues across the lifespan. Women's Health Issues. 2001;11(3):148-159. 

  17. Ahn MO. Life-cycle specific comprehensive women's health and maternal child healt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1-12. 

  18.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1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Clinical guidelines for obesity 2012. Seoul: Chungwon; 2012. 

  20. Kanis JA, Melton LJ III, Christiansen C, Johnston CC, Khaltaev 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994;9(8):1137-1141. 

  21.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Physicians guid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Seoul: Ibplaning; 2013. 

  22. Karaguzel G, Holick MF.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enia. Reviews in 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2010; 11(4):237-251. 

  23. Lee JY, Jeong KA, Cha YJ, Kim H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profil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steoporosis. 2009;7(3):159-167. 

  24. Jho KH, Choi SN, Chung N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young adult women: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 2010-2011.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14;20(2):110-122. 

  25. Kim HY, Heo YR.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Korea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3;42(2):195-202. 

  26. Mun SO, Kim JH, Yang YJ.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50 years and above: Using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3;18(2):177-186. 

  27. Lee MO. Factors related to bone-density among post-menopause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214-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