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 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1, 2015년, pp.1 - 10  

김윤경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  한수상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  장철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handwriting legibility and perceptual-motor skills, and handwriting speed and perceptual-motor skills. And identified the predictors that most affect the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Twenty-three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 ag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상발달 학령 전기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시지각, 비운동성 시지각, 시각-운동 통합, 우세손 소운동 협응이 글씨 쓰기 명료도와 속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학령 전기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글씨 쓰기 명료도와 속도에 대해 우세손 소운동 협응,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이 중 글씨 쓰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하위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글씨 쓰기 명료도와 4가지 독립변인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글씨 쓰기의 속도는 전반적 시지각 및 우세손 소운동 협응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글씨 쓰기 명료도와 시각 운동-통합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글자모쓰기 검사지를 사용하였는데, 전체평가의 가장 마지막에 이루어진 명료도 검사가 아이들의 주의력과 집중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연구결과 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치료사는 쓰기 영역에서 어떤 요인이 아동에게 문제가 되는지를 판단하고 글씨 쓰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 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글씨 쓰기 명료도 및 속도와 지각-운동 기술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글씨 쓰기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려 한다. 이를 통하여 작업치료사가 글씨 쓰기에 미숙한 아동에게 효과적인 글씨 쓰기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글씨 쓰기란? 글씨 쓰기는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들을 수행하기 위해 습득하여야 하는 작업 수행과 학문적 기술이며(Weintraub와 Graham, 1998), 이후의 학업 성취에 필수적인 능력이다(Graham & Harris, 2000). 글씨 쓰기는 학령기 아동의 수업시간 내 소운동 작업수행 중 31~60%를 차지한다(Mchale & Cermak, 1992).
글씨 쓰기는 학령기 아동의 소운동 작업수행 중 얼마나 차지하는가? 글씨 쓰기는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들을 수행하기 위해 습득하여야 하는 작업 수행과 학문적 기술이며(Weintraub와 Graham, 1998), 이후의 학업 성취에 필수적인 능력이다(Graham & Harris, 2000). 글씨 쓰기는 학령기 아동의 수업시간 내 소운동 작업수행 중 31~60%를 차지한다(Mchale & Cermak, 1992). 글씨 쓰기는 일반적으로 5~6세경에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학습과 연습에 의해 습득된다(최혜륜, 1988).
명료도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글씨 쓰기 수행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명료도와 속도이다(Mather & Roberts, 1995). 명료한 글씨 쓰기를 위해서는 운동감각, 소운동 협응,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 운동계획 등의 지각-운동 기술의 통합된 능력이 필요하다(Tseng & Murray, 1994; Volman 등, 2006). 운동 감각은 시각 또는 청각적 정보 없이 움직임의 폭과 방향 뿐 아니라 신체 일부의 위치를 구별하는 능력이며(Fisher 등, 1991), 글자를 쓰는 동안 연필을 잡는 동작과 필기에 이용되는 도구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Amundson, 1992; Cornhil & Case-Smith,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우수찬(2004).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지각 및 모사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정해동(2004). 뇌성마비 아동의 쓰기 평가 및 특성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 5(2), 115-133. 

  3. 최혜륜(1988). 아동의 쓰기 발달. 특수아동임상연구지, 1, 74-86. 

  4. Amundson SJ(1992). Handwriting: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school settings. In: Case-Smith J, Pehoski C, editors.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the Child. Rockvile, MD: AOTA, 63-78. 

  5. Amundson SJ(1995). Evaluation tool of children's handwriting. Honer, AK: OT Kids. 

  6. Amundson SJ(2001). Prewriting and handwriting skills. In J. Case-Smith (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545-570). Philadelphia, Mosby. 

  7. Bal D(2006). Occupation of school : Handwriting. In J. W. Solomon, & J. C. Obrien(Eds.), Pediatric skills for occupation therapy assistants(2nd ed., pp. 433-460). Philadelphia, Mosby. 

  8. Beery KK, Beery NA(2003). The Beery Buktenic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5th ed, Minneapolia, Pearson Assessments. 

  9. Carmeli E, Bar-Yossef T, Ariav C et al(2008). Perceptual-motor coordination in person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isabil Rehabil, 30(5), 323-329. 

  10. Feder KP, Majnemer A(2007). Handwriting development, competency, and intervention. Dev Med Child Neurol, 49(4), 312-317. 

  11. Fisher AG, Murray EA, Bundy AC(1991).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A Davis. 

  12. Frankenburg WK, Dodds J, Archer P et al(1992). The Denver II : a major revision and restandardization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Pediatrics, 89(1), 91-97. 

  13. Gardner MF(1982).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 Seattle, Special Child Publisher. 

  14. Graham S, Harris KR(2000). The role of self-regulation, and transcription skills in writing and writing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35(1), 3-12. 

  15. Graham S, Harris KR, Fink B(2000). Is handwriting causally related to learning to write? Treatment of handwriting problems in beginning writers. Educational Psychology, 92(4), 620-633. 

  16. Hammill DD, Pearson NA, Voress JK(1993).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2nd ed, Texas, pro-ed. 

  17. Karlsdottir R, Stefansson T(2002). Problems in developing functional handwriting. Percept Mot Skills, 94(2), 623-662. 

  18. Lieberman LM(1984). Visual perception versus visual functio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y, 17(3), 182-185. 

  19. Mather N, Roberts R(1995). Inform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written language: A practitioner's guide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linical Psychology Publishing Company. 

  20. Mchale K, Cermak SA(1992). Fine moto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findings and provisional implications for children with fine motor problems. Am J Occup Ther, 46(10), 898-903. 

  21. Reisman JE(1991). Minnesota handwriting assessment. Los Angeles, Psychological Corporation. 

  22. Rubin N, Henderson SE(1982). Two sides of the same coin: Variations in teaching methods and failure to learn to write. Special Education: Forward Trends, 9(4), 7-24. 

  23. Smits-Engelsman BCM, Van Galen GP(1997). Dysgraphia in children: Lasting psychomotor deficiency or transient developmental delay?. J Exp Child Psychol, 67(2), 164-184. 

  24. Sovic N(1981). An experimental study of individualized learning/instruction in copying, tracking and handwriting, based on feedback principles. Percept Mot Skills, 53, 195-215. 

  25. Stewart SR(1992). Development of written language proficiency: Methods for teaching text structure. In S. Case-Smith (Ed.), Communication Skills and Classroom Success. Eau Claire, Thinking Publications, 419-432. 

  26. Tseng MH, Murray EA(1994). Differences in perceptual-motor measures in children with good and poor handwriting. Occup Ther J Res, 14(1), 19-36. 

  27. Volman MJ, van Schendel BM, Jongmans MJ(2006). Handwriting difficulties in primary school children: A search for underlying mechanisms. Am J Occup Ther, 60(4), 451-460. 

  28. Wann JP(1987). Trends in the refinement and optimization of fine-motor skills: Observations from an analysis of the handwriting of primary school children. J Mot Behav, 19(1), 13-37. 

  29. Weintraub N, Graham S(1998). Writing legibly and quickly : A study of children's ability to adjust their handwriting to meet common classroom demands. Learning Disability Research Practice, 13, 146-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