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치료에서의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Use of Music Technology in Music Therapy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2 no.2, 2015년, pp.61 - 77  

박예슬 (남명초등학교 특수학급 방과 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현황과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를 위해 전문 자격증을 소지한 음악치료사 367명에게 온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101부가 회수되었고 미완성되거나 대상자 기준에 맞지 않는 50부를 제외한 61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설문 문항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현황, 인식, 치료사의 의견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에서 음악테크놀로지의 활용현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 중 65.6%(40명)가 세션 내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경험이 있으며, 활용비율이 높은 음악테크놀로지의 종류는 피날레, 가라지밴드, 큐베이스 순으로 조사 되었다. 음악테크놀로지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면 음악 혹은 정서영역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로 사용하며, 음악 자원으로 적용하는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음악치료사들이 음악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술 습득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이 외에도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취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임상현장에서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현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use and perception of computer-based music technolog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either electronically or in-person to 367 music therapists with credentials. Of the 367 initially distributed questionnaires, 101 were returned and 6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정규 음악 교과 과정에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창작 수업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령이 높은 대상군에 비해 디지털 기기의 사용에 익숙하기 때문에 테크놀로지 사용이 보다 용이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젊은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빈도이긴 하지만, 성인 정신과 질환 환자나 치매 노인이 해당 연령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음악테크놀로지가 적용될 수 있는 대상군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현황과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음악치료 세션 내에서의 음악테크놀로지 활용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사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 음악치료사들은 음악테크놀로지 활용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치료 세션에서 사용해본 응답자가 개인적인 음악활동을 위해서만 사용한 응답자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군의 연령별로 목표 영역에 따른 음악테크놀로지 적용 효과성에 대한 기대수준 역시 조사하였다. 모든 연령층에서 음악치료사들은 음악테크놀로지가 인지적인 목표를 위한 세션에서 활용될 때 적용 효과성에 대한 기대 수준이 가장 높은 경향이 있었다([Table 7] 참조).
  • 본 연구에서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표시하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해 음악치료사들이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많은 음악치료사들이 음악치료 임상에서 음악테크놀로지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또한 음악테크놀로지를 사용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세션 내에서 음악테크놀로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을 중단한 이유에 대해 음악치료사들이 서술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30명이 음악테크놀로지의 지속적 사용 이유를 서술하였고, 서술된 내용은 세션 진행의 편의성, 내담자의 참여 동기 강화, 다양한 음악 자극 제공, 측정 도구로써의 편의성, 보조 자료로써의 활용 효과성의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대상으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현황과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현재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3. 음악치료 세션에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음악치료사의 의견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테크놀로지의 사용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음악치료 내 음악테크놀로지를 적용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음악테크놀로지의 사용은 작은 동작만으로도 소리 및 음악적인 효과 산출이 가능해 장애가 있는 내담자에게 성취감과 만족감을 주며 독립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ahna, Hadley, Miller, &Bonaventura, 2012; Magee, 2011). 또한 하나의 가상악기를 사용해 다양한 음향효과를 가진 소리 산출이 가능하여 내담자의 연주 동기 증진 및 세션 참여 유도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Burland & Magee, 2014; Magee, 2011).
음악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음악치료 임상현장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필요가 증가함과 더불어 음악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 역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초기 문헌은 음악소프트웨어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던 데 비해(Krount, 1987), 이후에는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음악테크놀로지의 활용을 반영한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음악테크놀로지를 임상에 활용하였을 시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거나 다양한 기능 측정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고(Baker et al.
음악치료에서 주로 사용하는 음악테크놀로지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012; Magee, 2006). 주로 사용하는 음악테크놀로지로는 음악재생 및 제작 관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MIDI 프로그램이었다(Cevasco & Hong, 2011; Hahna et al., 2012; Mag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ker, F., & Krout, R. E. (2014). Therapeutic songwriting with clients in an e-health environment. In W. L. Magee (Ed.). Music technology in therapeutic and health settings (pp. 295-310).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 Burland, K., & Magee, W. (2014). Developing identities using music technology in therapeutic settings. Psychology of Music, 42(2), 177-189. 

  3. Cevasco, A. M., & Hong, A. (2011). Utilizing technology in clinical practice: A comparison of board-certified music therapists and music therapy students. Music Therapy Perspectives, 29(1), 65-73. 

  4. Cho, J. E. (2011), A study on the musical instruction-learning method focusing on creative activities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4), 1-10. 

  5. Crowe, B. J., & Rio, R. (2004). Implications of technology in music 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for music therapy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Music Therapy, 41(4), 282-320. 

  6. Hahna, N. D., Hadley, S., Miller, V. H., & Bonaventura, M. (2012). Music technology usage in music therapy: A survey of practice. The Arts in Psychotherapy, 39(5), 456-464. 

  7. Han, I, H., & Kim, S. J. (2014). Normative data of the finger strength measured by keyboard playing with MIDI: Focusing on adult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0(2), 79-97. 

  8. Hillier, A., Greher, G., Queenan, A., Marshall, S., & Kopec, J. (2015). Music, technology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ffectiveness of the touch screen interface. Music Education Research, 1-14. doi:10.1080/14613808.2015.1077802 

  9. Ji, K. M. (2015).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1-21. 

  10. Kim, H. J. (2010). An analysis of music therapist's self-evaluation and educational needs on professional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J. D. (2015). Use and needs of musical and therapeutic skills of novice music therapists in clinical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night, A. (2013). Uses of $ipad^{(R)}$ applications in music 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s, 31(2), 189-196. 

  13. Krouse, A. E., & North, A. C. (2014). Music listening in everyday life: Device selection method and digital technology. Psychology of Music, 42(6), 1-19. 

  14. Krouse, A. E., North, A. C., & Hewitt, L. Y. (2015). Music listening in everyday life: Devices and choice. Psychology of Music, 43(2), 155-170. 

  15. Krout, R. (1987). Evaluating software for music therapy applications. Journal of Music Therapy, 24(4), 213-223. 

  16. Lee, Y. K. (2004).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program and the study of teaching strategies utilizing MIDI keyboard and computer for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in elementary music class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7, 155-196. 

  17. Magee, W. L. (2006). Electronic technologies in clinical music therapy: A survey of practice and attitudes. Technology and Disability, 18(3), 139-146. 

  18. Magee, W. L. (2011). Music technology for health and well-being the bridge between the arts and science. Music and Medicine, 3(3), 131-133. 

  19. Son, M. J. (2014). Sonic, behavioral, and value changes in music of the digital age. Semiotic Inquiry, 39, 73-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