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격 5요인 모델에 따른 개인-조직 성격 일치도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vidual-organization Personality Agreement using Five-factor Model on Hospital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2, 2015년, pp.164 - 173  

김옥금 (인하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organization personality agreement using a five-factor mode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2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1 year in a university hospi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간호사 개개인이 창출하는 개인의 성과가 모여 그 집합체가 결과적으로 해당 간호조직의 성과가 이룬다는 점에서 볼 때, 현대 조직 관리에서는 팀 빌딩을 통한 조직 역량 강화, 집단 창의력 개발 등과 같이 개인의 특성을 적극 반영한 조직 관리 전략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사 개인의 성과와 간호단위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관리 접근의 하나로 개인과 조직 간의 일치도를 분석함에 있어 그 차이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된 개인-조직 성격 일치도를 측정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의 양자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질적으로 간호사도 다른 직군의 조직구성원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성격과 일치하지 않는 조직을 떠나게 되므로, 이에 간호관리자는 간호사의 개인적 성격, 성향에 보다 적합한 조직문화를 구축함으로써 구성원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직률의 감소, 성과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관리 효과를 창출 할 수 있기 때문이다[3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성격특성과 조직의 성격특성의 일치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격 5요인 모델에 따른 개인-조직 성격 일치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개인 성격 특성을 살펴보면 사회적 규범, 규칙, 원칙들을 지키려는 성향의 성실성 성격 소유자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향성, 수용성, 개방성, 불안정성 순서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라는 한 가지의 직업과 직무를 담당하는 개인과 그들이 속한 각 병동별 팀제로 운영되는 집단 간의 일치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 것이므로 개인과 환경 특성간의 일치 중 개인과 조직 간의 일치, 개인과 집단 간의 일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조직으로 확장하여 조직성격 특성과의 차이 분석을 통해 병원 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개인-조직 일치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조직행동 특성 분석의 범위를 개인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다차원으로 확장하고 이를 통한 간호조직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다중회귀분석은 enter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도 개인-조직 일치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인가를 확인하고자 이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외향성 성격 일치(β=-.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격 5요인 모델에 따른 개인-조직 성격 일치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일 광역시 소재 대학병원 기관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승인번호: 13-106)을 받은 후 간호부에 협조를 구하고, 해당 병동 수간호사에게 설문지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 설명한 후 간호부를 통해 간호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했다. 본 연구의 참여는 자발적 참여의사에 의해 결정되며 연구 기간 중 언제라도 개인적인 사유 등으로 지속적인 참여를 중도에 거부하거나, 자유로이 참가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으며 연구자의 신상에 대한 정보는 기묀로 유지됨을 피험자 설문지에 기술하였다. 본 연구참여를 허락한 대상자에게 서면 동의서에 서명을 받고, 설문지를 작성하게 한 다음 개별 묀봉하여 병동별 취합 후 간호부에 마련된 함에 넣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라는 한 가지의 직업과 직무를 담당하는 개인과 그들이 속한 각 병동별 팀제로 운영되는 집단 간의 일치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 것이므로 개인과 환경 특성간의 일치 중 개인과 조직 간의 일치, 개인과 집단 간의 일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조직으로 확장하여 조직성격 특성과의 차이 분석을 통해 병원 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개인-조직 일치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조직행동 특성 분석의 범위를 개인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다차원으로 확장하고 이를 통한 간호조직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조직이란? 병원조직은 다른 조직과는 달리 여러 분야의 전문 집단들이 모여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환자 만족이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운영되는 조직 체계이다. 최근 의료 환경은 의료소비자의 요구 변화, 전문화와 특성화된 서비스의 요구, 의료시장 개방과 같은 의료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의료 환경은 의료소비자의 요구 변화, 전문화와 특성화된 서비스의 요구, 의료시장 개방과 같은 의료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무엇을 요구하게 하는가? 최근 의료 환경은 의료소비자의 요구 변화, 전문화와 특성화된 서비스의 요구, 의료시장 개방과 같은 의료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병원 조직은 조직에 맞는 개인을 모집, 선발하며 이후 업무 수행을 하는 과정까지 조직 특성에 맞는 인재를 요구하게 된다[1]. 또한 조직의 변화가 심할수록 구성원의 가치와 조직 문화의 일치정도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 스트레스, 이직 등에 영향을 미친다[2].
개인과 조직 중 어느 한 쪽도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절대적인 힘을 가질 수 없게 된 이유는? 한편, 조직과 직무 체계가 한층 복잡해지고 구성원의 개인화가 심화되면서 개인과 조직 중 어느 한 쪽도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절대적인 힘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상호 조화와 타협, 조정이 중요해지고 이러한 균형의 관점에서 더 나아가 개인과 조직 간의 내적 일치까지를 의미하는 개인-조직 일치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IS, Baek JH, Jeon MK.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aehan Journal of Business. 2010;23(4):1951-1967. 

  2. Kwon YH. Som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on job burnout: self-efficacy as a moderator [master's thesis]. Busan: Busan University; 2008. 

  3. Min BM. Five-factor model in personality-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agreement and perform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1. 

  4. O'Reilly CA, Chatman J, Caldwell DF.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1;34(3):487. 

  5. Elfenbein HA, O'Reilly CA. Fitting in; the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and person-culture fit on group process and performance.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2007;32(1):109. http://dx.doi.org/10.1177/1059601106286882 

  6. Kristof A. Person-organization fit: 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1996;49(1):1-49. 

  7. Bridge W. The character of organization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1992. 

  8. Yoo TY. Scale development for organizational personality type indicator (OPTI).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99;12(1):113-139. 

  9. Yoo TY, Hyun HJ. Effects of the fit of current-ideal organizational personality and the fit of current-ideal job characteristics on the attitudes toward the organization and the job.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3;16(3):201-222. 

  10. Kristof-Brown AL, Zimmerman RD, Johnson EC.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Personnel Psychology. 2005;58:281-342. 

  11. Verquer ML, Beehr TA, Wagner SH. A meta-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work attitud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3;63:473-489. 

  12. Kim JJ.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oriented attitude of employees using a 5-factor model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10. 

  13. Costa PT, McCrae RR. Normal personality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1992;4(1):5. http://dx.doi.org/10.1037/1040-3590.4.1.5 

  14. An CK, Chae JH.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97;9(1):443-472. 

  15. Kim JK. Organization members'personality patter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07. 

  16. Yoon SH. A survey on clinical nurs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4;17(3):451-466. 

  17. Weiss DJ, Dawis RV, England GW, Lofquist LH.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apolis: University Minnesota, Industrial Relations Center; 1967. 

  18. Jung HY. Effectivenes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food service employe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tracted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y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19.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24-2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0. Jung HW.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Busan: Busan University; 2007. 

  21. Barrick MR, Mount MK. Autonomy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3;78(1):111. http://dx.doi.org/10.1037/0021-9010.78.1.111 

  22. Min BM, Park DJ. Korean 5 personality factor on NEO PI-R. Seoul: PSI Consulting; 2000. 

  23. Cable DM, Judge TA. Managers' upward influence tactic strategies: The role of manager personality and supervisor leadership styl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3;24(2): 197-214. http://dx.doi.org/10.1002/job.183 

  24. Woo KH.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25. Lim JY. Influence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 of nurse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Nursing theories in Korea: Present and future; 2008 October 29; International Conference Hall in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Hall; Seoul. 

  26. Choi JS, Yang NY.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ing style, and personality of preceptor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1;17(3):349-356. 

  27. Kim KH.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of nursing organization and efficiency of nursing operation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03. 

  28. Lee CW. The effect of health care professional employees' person-environment fir on career commitment. Korean Industrial Economic Research. 2012;25(4):2549-2573. 

  29. William LG, Brian JR, Claudia CC, Fred OW, Richard TF. Matching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strategy and the five-factor model on subjective person-organization fit.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2012;26(4):585-622. http://dx.doi.org/10.1177/0893318912450663 

  30. Robbins SP. Organization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Y: Prentice Hall;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