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
Correlation of Korean Elderly Dental Health Capacity and Preferred Food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5 no.6, 2015년, pp.712 - 720  

주온주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김인자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국가통계자료인 2010년과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채소류, 과일류, 기타식품의 선호도가 높은 사람은 T-health 지수와 FS-T 지수가 높았고, ST와 PT도 많은 반면, 채소류, 과일류, 기타식품의 선호도가 낮은 사람은 MT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alth 지수는 곡류, 과일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하였고, ST는 곡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FS-T 지수는 과일류, 유지 및 당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하였으며, PT 및 MT는 곡류, 과일류,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식품의 선호도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에 따라 선호식품에 차이가 있으며, 노인들의 치아건강상태가 영양불균형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인들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에서 치아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생애에 걸쳐 구강건강관리 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y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dental health capacity and preferred foods of Korean senior citizens over the age of 65 years.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used. Tissue health index (T-health), Sound teeth (ST), Functio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노인들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새로운 치아건강지표인 T-health 지수 및 FS-T 지수와 건전치아수(Sound teeth, ST), 현존치아수(Present teeth, PT), 상실치아수(Missing teeth, MT)를 포함하여 노인들의 치아건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치아건강도에 따라 선호 식품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처럼 구강건강과 음식물의 섭취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치아의 건강상태에 따라 선호하는 음식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 관련된 요인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많았다. 이에 저자들은 노인들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새로운 치아건강지표인 T-health 지수 및 FS-T 지수와 건전치아수(Sound teeth, ST), 현존치아수(Present teeth, PT), 상실치아수(Missing teeth, MT)를 포함하여 노인들의 치아건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치아건강도에 따라 선호 식품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의 영양적 특성은 무엇인가? 노년기는 노화의 진행에 따라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기능의 저하, 만성퇴행성 질환의 발생 등 신체적인 변화로 인해 영양소의 체내 이용률이 감소하여 영양불량의 위험이 증가 하는 시기로 알려져 있다1). 또한 노화의 진행은 신체적인 쇠퇴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 중 구강건강의 약화는 대다수 노인들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건강문제라고 할 수 있다2).
DMFT 지수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한편, 전통적으로 치아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index (DMFT 지수)가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DMFT 지수는 우식, 상실, 충전치아가 모두 같은 가중치로 계산되어 우식이 있었던 치아를 충전하여 구강건강상태가 개선되었어도 DMFT 지수의 값에는 변화가 없어 한계점이 있다8).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Sheiham 등9)은 새로운 치아건강지표인 Tissue health index (T-health 지수)와 Functioning teeth index (FS-T 지수)를 제안하였다.
노인들의 구강건강은 영양소 섭취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인간의 생명을 영위하기 위하여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균형잡힌 음식의 섭취는 구강건강은 물론 전신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4). 노인들은 치아 상태에 따라 식단이 변화하고, 씹기가 불편한 노인들은 씹기 편한 음식을 주로 선택하게 되며, 과일 및 야채의 섭취량이 줄어 영양소의 섭취가 불균형하게 된다5). 자연치아를 많이 보유한 노인들은 다양하고 질 좋은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하고,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들은 영양부족의 위험요소가 더 높다. 다시 말하면, 자연치아수는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6). 치아가 건강하면 다양한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고, 음식물의 소화가 잘 이루어져 소화기계통의 질환이 예방되며, 이차적으로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노인의 구강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7).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노인들의 구강건강은 영양소의 섭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e Luis D, Lopez Guzman A: Nutritional status of adult patients admitted to internal medicine departments in public hospitals in Castilla y Leon, Spain - A multi-center study. Eur J Intern Med 17: 556-560, 2006. 

  2. Lee SE: A comparative study of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ental service utilization of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Public Health Res 40: 37-47, 2014.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ngju, 2013. 

  4. Lim KO, Woo SH, Kwak JS: Impact of eating behavior on dietary habits and subjective oral health evaluation. J Korean Soc Dent Hyg 11: 441-451, 2011. 

  5. Walls AW, Steele JG: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older people. Mech Ageing Dev 125: 853-857, 2004. 

  6. Marshall TA, Warren JJ, Hand JS, Xie XJ, Stumbo PJ: Oral health,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in the very old. J Am Dent Assoc 133: 1369-1379, 2002. 

  7. Lee HO, Kim J: Effects of elders' oral health belief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ir quality of life. J Dent Hyg Sci 8: 57-63, 2008. 

  8. Birch S: Measuring dental health: improvements on the DMF index. Community Dent Health 3: 303-311, 1986. 

  9. Sheiham A, Maizels J, Maizels A: New composite indicators of dental health. Community Dent Health 4: 407-414, 1987. 

  10. Cho NE, Kim MY, Yoo JH, Kim HS, Kwon HK, Cho YS, et al.: New composite indicators for evaluating oral health in Korean adults: Functioning Teeth (FS-T) and T-Health Index. J Korean Acad Oral Health 30: 1-11, 2006. 

  11. Shin MS, Hwang MY, Kim SK: Relationship of oral health awareness to oral health indexes among adults. J Dent Hyg Sci 12: 607-616, 2012. 

  12. Ju OJ, Jang YJ, Jung JA: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affecting oral health indexes. J Korean Soc Dent Hyg 13: 69-81, 2013. 

  13. Kim TM, Lee SG, Jeon SY: The relations of social support to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3: 99-119, 2006. 

  14. Petersen PE, Yamamoto T: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 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3: 81-92, 2005. 

  15. Han JH, Yom YH: Effects of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 179-189, 2012. 

  16. Palmer CA: Important relationships between diet, nutrition, and oral health. Nutr Clin Care 4: 4-14, 2001. 

  17. Henshaw MM, Calabrese JM: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the elderly. Nutr Clin Care 4: 34-42, 2001. 

  18. Park MH, Park MY, Lee HS: The effect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index in Korean elderly. J Korea Acad-Ind Coop Soc 14: 4989-4995, 2013. 

  19. Shin MS, Won YS, Gwon MY, Kim YS: A comparative study on DMFS, DMFT and FS-T indexes in the Korean elderly. J Dent Hyg Sci 10: 251-257, 2010.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major plan, search: Health plan 2020. Retrieved August 12, 2015,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ls.jsp?PAR_MENU_ID03&MENU_ID0319&page3#(2011, July 22). 

  21. Choi JY, Kim GU, Kim JH: Dental health determinants of elderly people. J Digit Converg 12: 427-435, 2014. 

  22. Shin BM, Bae SM, Ryu DY, Choi Y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s of natural teeth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 Korea -based on 2007-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J Korean Soc Dent Hyg 12: 521-531, 2012. 

  23. Gwon MY, Won YS, Kim YS: The study on the state of the elderly oral health and food habits. J Korean Soc Dent Hyg 9: 13-24, 2009. 

  24. Kim CS, Bae SM, Shin BM: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by oral health level - based on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J Korean Soc Dent Hyg 11: 833-841, 2011. 

  25. Sheiham A, Steele JG, Marcenes W, Finch S, Walls AW: The impact of oral health on stated ability to eat certain foods; findings from the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Gerodontology 16: 11-20, 1999. 

  26. Sheiham A, Steele JG, Marcenes W, Lowe C, Finch S, Bates CJ, et al.: The relationship among dental status,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older people. J Dent Res 80: 408-413, 2001. 

  27. Hutton B, Feine J, Morais J: Is there an association between edentulism and nutritional state? J Can Dent Assoc 68: 182-187,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