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속 주간지 『선데이 서울』 화보와 기사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와 패션 -1968년 창간호부터 1971년 168호까지-
Women's Image and Fashion Expressed in Popular Park Hyewon Weekly Magazine 'Sunday-Seoul' -From First Issue, 1968 to 168 Issue, 1971-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3 no.5, 2019년, pp.31 - 47  

박혜원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women and fashion in Korea between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government regulated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individuals while achieving remarkable economic industrialization, particularly through the representative popular weekly magazine 'Sunday-Seoul'. The scope of th...

주제어

표/그림 (3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데이서울』이라는 우리나라 대표적 통속잡지를 대상으로 국가가 사회문화적으로 개인을 통제했으며 동시에 놀랄만한 경제 산업화를 이룩한 1960-70년대 여성과 패션에 관한 연구이다. 엄격한 의미에서 대중 패션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는 견해(Kim, 2014)까지 있을 정도로 1970년대 패션에 대한 정부의 통제적 발상은 끊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국가가 개인을 통제하던 시대인 동시에 놀랄만한 경제 산업화를 이루어낸 우리나라의 여성과 여성패션을 소위 B급 통속잡지로 간주되는 『선데이서울』을 통해 살펴보았다. 1968년 9월 22일자 제1호부터 1971년 12원 26일 제168호까지의 『선데이서울』에는 매우 이중적이며 양극단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존재하였다.
  • 엄격한 의미에서 대중 패션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는 견해(Kim, 2014)까지 있을 정도로 1970년대 패션에 대한 정부의 통제적 발상은 끊이지 않았다. 서울신문사가 발행한 『서울신문 100년사』(Seoul Newspaper, 2004)에 따르면, 소위 ‘4000만의 교양지’ ‘통속적 가십거리’로 알려진 주간지 『선데이 서울』의 기사와 화보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와 패션의 특성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 동안 1960-70년대 우리나라 패션에 대한 선행연구는 한국의 이상적 여성상을 신문기사, 잡지, 드라마 및 영화를 토대로 관련지어 연구(Lee & Lee, 2015)하거나, 1970년대 여성의 이미지를 메이크업과 관련지어 고찰(Kim & Park, 2008)하였고 1970년대 한국 의류에 나타난 텍스타일 연구를 통한 패션 트렌드를 살펴본 연구(Lee, 2011),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살펴 본 연구(Park, 2019) 등이 있으나 통속잡지를 중심으로 사회학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시도는 부족하였다.

가설 설정

  • 특히 미니스커트는 1967년 처음 국내에 소개된 이후 TV를 비롯한 각종 대중매체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급기야 대부분의 젊은 여성들이 착용하여 사상 최대 규모의 유행이 되었다(Figure 3). 우리나라에서 대 유행한 미니스커트의 등장과 수용은 세계적인 트렌드에 우리도 뒤지지 않는다는 의미와 함께 미니스커트가 상징하는 사회적 의미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즉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 스스로 자신을 드러내고,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Kim, 2014)이라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데이서울이 강조한 현모양처형 이미지를 표현하는 광고는 어떤것들이 있었는가? 기사에 있어서는 가령 해외 선수들은 결혼 후에도 선수로 뛰는데 우리는 시집가고 말아서 아쉬워하는 여성 교수의 인터뷰와 해외 대회에 참가하여 눈치 보며 짬짬이 혼수 준비하는 여성 선수를 동시에 기사화 하면서(Sunday-Seoul, 1968) 국가대표 선수여도 결국은 시집이 최종 목표이며 현모양처가 가장 가치 있는 것임을 드러내고 있다. 광고에 있어서도 당시 젊은 여성들의 여가 활용을 위해 찾았던 강습학원이 많은 부분 나타났는데 Lee and Lee(2015)가 언급한 것처럼 『선데이서울』에서도 꽃꽂이, 요리, 미싱자수 등 소위 신부수업과 관련된 광고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처럼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 활동도 많아졌으나 전통적인 현모양처형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선데이서울』에는 강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선데이서울』이란 무엇인가? 『선데이서울』은 서울신문사가 1968년 9월 22일에 창간하여 1991년까지 발행되었던 성인용 주간 오락잡지이다. 1968년 8월 23일 『선데이서울』의 편집계획서를 보면 편집의 방향이 비정치적 교양 내지 오락위주의 주간지로 되어 있고 기사는 가벼우면서도 독자위주의 사건실화, 정치적인 것은 피하고 정계야화나 정치인물평으로 한정한다고 적혀 있다(Son, 2008).
1960-70년대에 청년문화와 함께 어떤것들이 유행하였는가? 이시기 청년문화의 특징에 대해 Kwon, Kim, Kim, Jeon and Hwang(2015)은 서구적 감수성에 기반 한 일종의 ‘취향’이었다고 말한다. 모던포크, 스탠더드팝, 팝발라드, 로큰롤, 샹송 그리고 칸초네까지 다양한 서구의 음악의 번안곡이 유행하였는데 중심에는 기성세대와 전혀 다른 가치관을 가진 청년문화의 주인공이 있었다. 이들은 대중매체의 중심인 동시에 국가규제의 대상이기도 하였다(Figur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 female college student's criticis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1970, May 3). Sunday-Seoul 83 Issue. Retrieved June 6,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2. A tough girl who has a single father. (1971, August 15). Sunday-Seoul 149 Issue. Retrieved June 6,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 Avant-garde uni-sex style. (1970, January 11). Sunday-Seoul 67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 Bold exposure and space age fashion. (1970, March 8). Sunday-Seoul 75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5. Clothing worn by cover models. (n.d). Sunday-Seoul. Retrieved May 2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6. Cover Model. (n.d.). Sunday-Seoul. Retrieved February 7,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7. Crane, D. (2004). Fashion and its social agendas : Class, gender, and identity in clothing. (Seo, M., Trans.). Seoul: Hangil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8. Embroidery Han-Bok. (1971, January 10). Sunday-Seoul 118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9. Experience writing competition. (1971, December 5). Sunday-Seoul 165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0. Factory woman laborer for only money. (1971, November 21). Sunday-Seoul 163 Issue. Retrieved June 6, 2018,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1. Fashion talk articles : 1970 fashion trends mini, midi. (1970, December 27). Sunday-Seoul 117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2. Fashion models cook well : good wife. (1970, November 1). Sunday-Seoul 109 Issue. Retrieved March 22,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3. For the perfect woman. (1970, February 15). Sunday-Seoul 72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4. Future fashion. (1970, April 5). Sunday-Seoul 79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5. Hot pants challenge to men. (1971, May 16). Sunday-Seoul 136 Issue. Retrieved June 6,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16. Jeon, S. (2008). Mediumical phase of a weekly magazine 1960's. Keimyung Korean Studies Journal, 2008(36). 225-258. 

  17. Keum, K., Kim, M., Kim, Y., Kim, Y., Park, M., Park, M., Bae, C., Shin, H., Yoo, H., & Choi, H. (2012). Fashion 1900-2010 : Modern fashion. Seoul: Kyomoonsa. 

  18. Kim, K., Heo, E., Hwang, B., Lee, S., Lim, J., Hong, S., Chun, H., Park, Y., Kang, Kim, K., Kim, S., Kim, J.,& Lee, H. (2016). 한국현대생활문화사: 새마을운동과 미니스커트 [Korean contemporary living history, 1970 : saemaul unndong and mini skirt]. Seoul: Changbi. 

  19. Kim, Y., & Park, H. (2008). A study on the social image and make-up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 in 1970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4), 99-113. 

  20. Kiss gift. (1970, September 20). Sunday-Seoul 103 Issue. Retrieved June 6,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21. Korean fashion exported to the US. (1970, January 11). Sunday-Seoul 67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Retrieved April 21,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22. Kwon, B., Kim, S., Kim, W., Jeon, J., & Hwang, B. (2015). 1970 박정희 모더니즘: 유신에서 선데이 서울까지 1970 [Park Jung-Hee Modernism; From Yushin to Sunday Seoul]. Seoul: Chunnyuneuisangsang. 

  23. Lace crochet knit. (1970, August 23). Sunday-Seoul 99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24. Lee, E. (2011). A study on the textile pattern design of Korea fashion clothing in the 1970s. Design Forum, 2011(31), 391-400. doi:10.21326/ksdt.2011..31.036 

  25. Lee, J. (2018). The Vietnam War and gender ideology of media representation: Focused on Sunday Seoul and Yeowon between 1964 and 1973. Memory & Future Vision, 2018(38), 63-119. 

  26. Lee, H., & Lee, Y. (2015). Ideal image and fashion of Korean women in the 197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5), 641-655. doi:10.5850/JKSCT.2015.39.5.641 

  27. Let's wear transparent vinyl. (1970, March 1). Sunday-Seoul 74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28. Let's wear plastics. (1970, December 27). Sunday-Seoul 117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29. Lim, J. & Park, S. (2013). Female, sexuality and 1970s, represented in Sunday Seoul. The Studies in Korea Literature, 2013(44), 91-136. 

  30. May queens are wise mom and good wife? (1971, May 23). Sunday-Seoul 137 Issue. Retrieved March 22,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1. Miss soldier contest. (1970, September 13). Sunday-Seoul 102 Issue. Retrieved June 6,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2. Multi-colors stripes on jeogori in black. (1970, February 8). Sunday-Seoul 71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3. Myeong dong ladies: hot pants, mini, pantaloon. (1971, June 27). Sunday-Seoul 142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4. Park, S. (2010). The representation of women through 'Sunday Seoul'. Korean Studies, 2010(22), 159-190. 

  35. Park, S. (2019). An observation on Kyung-Ja Choi, first generation Korean fashion designer - Focus on the activities from 1950s to 1970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d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3), 119-140. doi.org/10.5856/JKDS.2018.11.1.14 

  36. Red cross talks guides who are wearing mini skirts. (1971, October 3). Sunday-Seoul 156 Issue. Retrieved January 12,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7. Rudy Gernreich's evening dress. (1970, June 7). Sunday-Seoul 88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8. Singer Kim, Chooja suspension of appearance on TV. (1971, July 25). Sunday-Seoul 146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39. Son, S. (2008). 럭키 서울 브라보 대한민국 [Lucky Seoul Bravo Daehanminguk]. Seoul: Chusubat. 

  40. Song, E. (2011). The process of becoming mass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1960s-1970s' Korea.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2011(32), 187-226. 

  41. Seoul Newspaper(2004). 서울신문 100년사 [100 Years of Seoul Newspaper]. Seoul: Seoul Newspaper. 

  42. Sexy short dress. (1971, January 24). Sunday-Seoul 120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3. Star in Han-Bok. (1971, January 31). Sunday-Seoul 121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4. Tendency of prints on cover models clothing. (n.d.). Sunday-Seoul. Retrieved April 21,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5. The birth of a female judge, mom. (1970, August 30). Sunday-Seoul 100 Issue. Retrieved March 2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6. The daughters of my family. (1971, May 16). Sunday-Seoul 136 Issue. Retrieved March 22,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7. Topless, hipless. (1971, January 24). Sunday-Seoul 120 Issue. Retrieved February 13, 2019,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8. When a woman is alone. (1971, April 4). Sunday-Seoul 130 Issue. Retrieved June 6,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49. Yoon, S. & Kim, Y. (2005). Popular music and visual images of women during 1970s in Korea.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9(3), 135-176. 

  50. Young mom successful in business raising young daughter alone. (1970, March 8). Sunday-Seoul 75 Issue. Retrieved January 10, 2018, from http://dl.namet.go.kr/VolumeNIssue.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