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의 역할
A Role of Functional and Symbolic Image of the Bran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745 - 1752  

윤성욱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윤동일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의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가 브랜드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신뢰는 다시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몰입 및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브랜드 제품사용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217부의 설문지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이용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는 브랜드 신뢰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신뢰 또한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몰입 및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에 따른 요약과 실무적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brand image(symbolic and functional) on emotional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brand image, emotional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were examin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브랜드이미지의 구성요소, 브랜드에 대한 신뢰,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둘째,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브랜드 신뢰가 감정적 몰입 및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감정적 몰입이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 소비자와 브랜드 사이의 바람직한 성공적 관계를 위해 또 브랜드 몰입의 중요한 선행요소로서 신뢰의 중요성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거나 지지 하는 여러 의견들이 발표되면서 브랜드의 신뢰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행동적 몰입의 관계에서 브랜드 신뢰의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즉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고객에게 형성된 후 바로 감정적 몰입이나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형성된 후 브랜드에 대한 애호도인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몰입 및 행동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출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요약 해보면 다음과 같다.
  • 둘째,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브랜드 신뢰가 감정적 몰입 및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감정적 몰입이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행동적 몰입의 관계에서 브랜드 신뢰의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즉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고객에게 형성된 후 바로 감정적 몰입이나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형성된 후 브랜드에 대한 애호도인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브랜드이미지의 구성요소, 브랜드에 대한 신뢰,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 즉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고객에게 형성된 후 바로 감정적 몰입이나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형성된 후 브랜드에 대한 애호도인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브랜드이미지의 구성요소, 브랜드에 대한 신뢰,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둘째,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브랜드 신뢰가 감정적 몰입 및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브랜드 신뢰는 감정적 몰입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브랜드 신뢰는 행동적 몰입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브랜드의 감정적 몰입은 브랜드의 행동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마케팅 믹스 전략 수립을 위한 필수요소로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마케팅 프로그램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다[1]. 이러한 이유에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브랜드이미지를 향후 자사의 중요 차별화 요소로 중요시 하고 있다.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고객의 욕구를 기반으로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전략을 개발하여 시장에서의 차별적인 지위를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2-3].
신뢰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신뢰는 거래대상의 확실성과 정직성을 믿는 것으로, 기업이 고객에게 최고의 이익을 줄 것이라는 고객의 예상과 관계되어 형성된다. Morgan and Hunt[4]는 경제적 관점에서 신뢰란 “상대방의 말이나 약속이 믿을 만하고 상대방이 교환 관계적 의무를 수행함으로서 협력관계로 발전되기를 기대하는 상태”로 정의하였다.
브랜드 이미지란 무엇인가? 브랜드 이미지란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를 연상할 때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들 그 자체’ 즉 그 브랜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인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브랜드와 관련된 연상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보았을 때 브랜드 이미지란 물리적 상품속성이 점차 소비자의 인식 속에 추상화 되어 심리적 구조에 하나의 가치로서 정립된 것이다[1] 또한 Aaker[5]는 브랜드 연상의 상위개념으로서 이미지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브랜드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모든 기억들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 L. Keller, "Conceptualization,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 57, No. 1, pp. 1-17, 1993. DOI: http://dx.doi.org/10.2307/1252054 

  2. M. H. Hsieh, "Identifying Brand Image Dimensionality and Measuring the Degree of Brand Globalization: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Vol. 10, No. 2, pp. 46-67, 2002. DOI: http://dx.doi.org/10.1509/jimk.10.2.46.19538 

  3. C. W. Park, B. J. Jaworaki, D. J. Maclnnis,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Journal of Marketing, Vol. 50. No. 10, pp. 135-145, 1986. DOI: http://dx.doi.org/10.2307/1251291 

  4. R. M. Morgan, S.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 Journal of Marketing, Vol. 58, No. 7, pp. 20-38, 1994. DOI: http://dx.doi.org/10.2307/1252308 

  5. D. A. Aaker, "Measuring Brand Equity" : Strategic Market Management, 3r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1992. 

  6. F. Nicosia, R. N. Mayer, "Toward a Sociology of Consumption"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 No. 9, pp. 65-75. 1976. DOI: http://dx.doi.org/10.1086/208653 

  7. G. S. Ahn, J. R. Le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rand Imag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69, pp. 115-137, 2005. 

  8. A. Chaudhuri,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 65, No. 4, pp. 81-93, 2001. DOI: http://dx.doi.org/10.1509/jmkg.65.2.81.18255 

  9. Y. H. Lee, S. S. Lee, "Consumer Trust and Food Safety Pursuit Behavior by Purchase Stage"' Korean Consumption Culture Association, Vol. 14, No. 1, pp. 5-26, 2011. DOI: http://dx.doi.org/10.17053/jcc.2011.14.1.001 

  10. Y. Xie, S. Peng, "How to Repair Customer Trust After Negative Publicity: The Role of Competence, Integrity, Benevolence, and Forgivness", Psychology and Marketing, Vol. 26, No. 7, pp. 572-589. 2009. DOI: http://dx.doi.org/10.1002/mar.20289 

  11. B. L. Delgado, J. L. Munuera, M. J. Yagu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Brand Trust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5, No. 1, pp. 35-53, 2003. 

  12. S. W. Yoon, S. Y. Shin, "The Effect of Tean Identification and Involvement on Sports Sponssorship: Moderating Role of Mood and Arousa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2, No. 5, pp. 25-47, 2011. 

  13. P. C. Verhoe, P. H. Farness, J. C. Hoekstra, "The Effect of Relational Constructs on Customer Referrals and Number of Service Purchased from a Multiservice Provider: Does Age of Relationship Matte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30, No. 3, pp. 202-216, 2002. DOI: http://dx.doi.org/10.1177/0092070302303002 

  14. T. W. Gruen, O. J. Summers, A. Frank, "Relationship Marketing Activities, Commitment and Membership Behavior in Professional Associations", Jouranl of Marketing, Vol. 64, No. 7, pp. 34-39, 2000. DOI: http://dx.doi.org/10.1509/jmkg.64.3.34.18030 

  15. G. T. Gundlach, R. S. Achrol, J. T. Mentzer, "The Structure of Commitment in Exchange", Journal of Marketing, Vol. 59, No. 1, pp.78-92, 1995. DOI: http://dx.doi.org/10.2307/1252016 

  16. K. B. Kim, Y. R. Cha, S. H. Hu, " An Analysis of Brand Trust and Relationship between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7, No. 3, pp. 107-174, 2006. 

  17. S. H. Choi, " Consumers Devotion to Brands: Focusing on Affectional and Behavioral Devotion" , Korean Journaln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9, No. 1, pp. 45-67, 2008. 

  18. B. J. Park, S. W. Kim, "A Study on The Consumption Value, Brand Identificati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of Korean-Japanese University Consumers : Focused on the Famous Brand",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 17, No. 4, pp. 113-143, 2006. 

  19. R. E. Fassinger,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34, pp. 425-436, 1987.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34.4.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