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
A Study on Clinical Reaso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874 - 1883  

김정아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고자경 (간호학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확인하고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졸업반 4학년 학생 87명을 30팀으로 나누어 2-3명이 한 조가 되어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수행한 성인 환자의 수술 후 간호를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 2명이 개발한 임상추론 루브릭을 사용하여 평가 및 분석한 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은 가장 낮은 초보자 수준이 70.1%(61명), 그 다음 양호한 수준이 23%(20명), 우수한 수준이 6.9%(6명)이었으며, 가장 높은 탁월한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은 없었다. 또한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추론 능력은 학업성취도인 총평점평균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성인간호학 및 성인간호학 실습 교과목의 평점과는 낮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4학년 졸업반 간호대학생들은 졸업 후 신규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임상추론 능력이 매우 부족하고, 임상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에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교육과정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linical reasoning of nursing students as well as clarify the relevance between clinical reaso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87 students broke into 30 groups of two or three. The students performed post operative care for adult patients in the simulation p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추론 루브릭을 개발하고, 임상현장의 임상실습과 유사한 환자시뮬레이션(high 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ion) 실습과정에서 임상추론 루브릭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 수준을 확인하고, 관련 교과목인 성인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의 평점과 총 평점평균 등의 학업성취도와 임상추론 능력간에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려고 하였다. 나아가 간호대학 교육과정 개선 및 평가와 신규간호사 선발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역량을 대표하는 가장 핵심역량인 임상추론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확인하고,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간호역량기반교육과정의 개선 방향과 학습성과 평가 도구 및 방법을 제시하고 나아가 임상현장에서 역량있는 신규간호사 선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 문헌고찰을 통하여 임상추론 루브릭을 개발하고, 이를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에 적용하여 임상추론 능력을 측정하고, 학업성취도와 임상추론 루브릭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추론 루브릭을 개발하고, 임상현장의 임상실습과 유사한 환자시뮬레이션(high 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ion) 실습과정에서 임상추론 루브릭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 수준을 확인하고, 관련 교과목인 성인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의 평점과 총 평점평균 등의 학업성취도와 임상추론 능력간에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려고 하였다. 나아가 간호대학 교육과정 개선 및 평가와 신규간호사 선발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둘째 이를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확인하고, 셋째 4년제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임상추론 능력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계에서 간호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간호교육계의 동향은 간호역량(nursing competency)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2]. 이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초석이자 지침이기 때문이다. 간호역량이란 일반간호사가 모든 임상실무환경에서 영역 또는 분야에 관계없이 공통적이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3].
간호역량이란 무엇인가? 이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초석이자 지침이기 때문이다. 간호역량이란 일반간호사가 모든 임상실무환경에서 영역 또는 분야에 관계없이 공통적이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3]. 따라서 4년제 간호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이 이러한 간호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임상추론 루브릭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 평가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가? 이 도구를 적용하여 평가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능력은 4학년 졸업반 학생들의 총평점평균과 주요 핵심 교과목인 성인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의 평점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거의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 졸업 후 신규간호사로서 갖추어야할 임상추론 능력이 매우 부족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졸업 시 간호대학생이 취득한 총평점평균은 병원에서 기대하는 임상추론 능력을 예측하기에는 부적절하고 신규간호사 채용기준으로 사용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 Nursing core competencies. Retrieved December 20, 2012, from http://www.kabon.or.kr 

  2. J. K. Ko, M. S. Chung, M. A. Choe, Y. I. Park, K. S. Bang, J. A. Kim, M. S. Yoo, H. Y. Jang,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pp.87-96.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87 

  3.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An implementation models for the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Standards and Competencies series(2nd ed.) Geneva; ICN. pp1-30, 2003. 

  4. G. E. Armstrong, T. S. Spencer, & C. B. Lenburg, "Using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to enhance competency outcome performance assessment: A synergistic approach that promotes patient safety and quality outcom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12), pp. 686-693, 2009.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1113-02 

  5. P. McLagan, "Great ideas revisited: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 Development. 50(1), pp.40-47, 1996. 

  6. S. J. Im,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ing in clinical clerkship." Hanyang Medcial Reviews. 32(1), pp.51-58. 2012. DOI: http://dx.doi.org/10.7599/hmr.2012.32.1.51 

  7. C. A. Tanner,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pp.204-211, 2006. 

  8. H M. Jenkins, "A research tool for measuring percept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of Professional Nursing. 1(4), pp.221-229, 1985. DOI: http://dx.doi.org/10.1016/S8755-7223(85)80159-9 

  9. B. Simmons, D. Lanuza, M. Fonteyn, F. Hicks, K. Holm, "Clinical reasoning in experienced nurs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5(6), pp.701-724, 2003. DOI: http://dx.doi.org/10.1177/0193945903253092 

  10. K. Lasate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 p.496-503, 2007. 

  11. S. Lauri, S. Salantera, "Decision making models in different field of nursing."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1, pp.443-452, 1998.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8-240X(199810) 21:5 3.0.CO;2-N 

  12. H. J. Choi, "Public health nurses' decision making models and their knowledge struc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2). pp.328-339. 2000. 

  13. K. J. Kang, E. M. Kim, S. A. Ryu,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for General Hospital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1), pp.284-293,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84 

  14. Y. Lee, M. Gang, M. S. Jung, "Impa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clinical decision making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4) pp.285-294. 2013.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4.285 

  15. I. K. Kwon, S. M. Park. "Effects of critical reflective inquir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decision-mak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pp.39-50, 2007. 

  16. H. K. Hur, Y. S. Roh.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pp.574-584.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574 

  17. H. Goodrich,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p.14-17, 1996. 

  18. J. K. Ko, The principle and practices in health education. Seoul: Bomungak. 2005. pp1-230. 

  19. S. H. Bum, J. H. Chae, "Rubric Develop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cusing on Experiment and Practice Method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3), pp.85-105, 2008. 

  20. A. K. Yang, H. J. Cho,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upon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8(3), pp.61-82, 2010. 

  21. D. M. Zimmaro, Developing Grading Rubrics. Last Retrived January 13, 2004 from http://slo.sbcc.edu/wp-content/uploads/developing_grading_rubrics.pdf 

  22. W. K. Noh, "A studdy for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learning strategy rubrics: Focused on college students's learning strategy educational progra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4), pp.259-294. 2008. 

  23. K. A. Adamson, P. Gubrud, S. Sideras, K. Lasater, "Assessing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se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Three approach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1: pp.66-73, 2012.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11130-03 

  24. R. D. Wimmer, J. R. Dominick,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9th ed. Yoo J. C, Kim D. K translator.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pp105-180, 2010. 

  25. K. K. Shim,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pp.1-64. 2012. 

  26. B. Mariani, M. A. Cantrell, C. Meakim, P. Prieto, K. T. Dreifuerst,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5), pp.147-155, 2013.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11.11.009 

  27. H. Shin, C. G. Park, K. Shim, "The Korean version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A validation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14. Forthcoming. 

  28. H. J. Jang, Y. K. Kwag, "Affect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9), pp.4380-4387,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9.4380 

  29. H. S. Shin,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and perceptions of core nursing competencies[thesis]. Suwon: Aju University. pp.1-68, 2010. 

  30. P. Boxter, G. Norman, "Self-assessment or self deception? A lack of associ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elf-assess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11), pp.2406-2413. (22 ref).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658.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