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자전거시스템의 사회적 가치와 자전거 특성의 관계성 연구
Perceived Features of Cycling and Value of Public Bike System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3 no.2, 2015년, pp.125 - 135  

김정화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김숙희 (수원시정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전거의 특성과 공공자전거시스템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대상으로 해당 교통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시민들의 지불의사액으로 설정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불의사액 추정을 위해서 CVM 방법 중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이중양분선택형(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과 개방형 질문을 통합 활용하여 수원시 시민 1,7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공공자전거에 대한 특성 요소도 함께 질의하여 그 결과를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binary logistic regression)과 중도절단회귀모형(censored regression)을 통해 공공자전거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가치인식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월지출 교통비, 소득 그리고 자전거 소유 등의 변수와 함께 교통체증의 해소가 가능한, 버스와 승용차와 같은 교통수단, 높은 이동성을 가지는 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의 특성이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공자전거에 대한 긍정적인 특성들이 인식되면 해당 시스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행태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시스템의 이용 가능성을 향상시킨다고 해석될 수 있다. 공공자전거시스템에 대한 특성인식의 중요성을 검증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 전의 검토사항에 대해 고찰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ur main focus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 of transportation system and its perceived feature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value of public bike system (PBS) through willingness to pay (WTP) analysi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친환경적 측면에서 향후 공공자전거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더 많은 지자체가 공공자전거를 도입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시스템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의 사회적 가치 추정을 위해 수원시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원시 전 지역 총 40개 동을 조사범위로 설정하여 동별 약 45부를 기준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총 1,722명의 수원시민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공공자전거시스템이 가지는 사회적 가치를 추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자전거 도입을 검토 중인 경기도 수원시를 대상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통해 해당 시스템에 대한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의 측정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자전거 이용에 대한 현황(자전거 이용정도, 취미 여부)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종종 자전거를 이용한다.
  • 사회적 가치가 높은 교통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며, 공공자전거의 경우에도 시스템이 가지는 사회적 가치를 증대하여 이용활성화가 이루어져야만 지속적인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민들이 자전거의 특성을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공공자전거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교통시스템으로서 수용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친환경적 측면에서 향후 공공자전거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더 많은 지자체가 공공자전거를 도입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와 함께 자전거가 가지는 특성 요소들도 조사하였다. 조사된 항목은 총 6개이며 Table 3과 같다.
  • 자전거 특성 관련 요소가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 향상과 관련성이 있다는 본 연구결과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자전거의 긍정적인 특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며, 결국 이용률을 향상시켜 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토록 하게 한다. 시민들의 의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제는 정부 및 지자체가 무작정 공공자전거를 도입한다고 해서 높은 이용률을 기대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 (2012)은 CVM 기법을 적용하여 설문조사시 WTP을 질문하는 방식으로 공공자전거 시스템의 사회적 가치를 산정하였다. 하지만 앞서 검토된 연구들은 모두 공공자전거를 이미 도입 운영 중에 있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자전거 도입을 검토 중인 정책가의 입장에서 공공자전거가 가지는 잠재적 사회적 가치를 판단하고 도입 후에도 지속적인 시스템 유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회귀분석법이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 유무를 다루는데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한 개의 종속변수와 여러 개의 독립변수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분석기법이 회귀분석이다. 일반적인 회귀분석법은 독립변수들에 의해 종속 변수의 변화가 연속적인 선형으로 변한다는 가정을 바탕에 두고 진행되기 때문에 공공자전거의 사회적 가치 인식 유무 (지방세 지불 여부)같은 이항적인 변수를 다루는데 적합하지 않다. 반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종속변수가 범주형 관측된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하게 쓰이는 통게적 방법으로, 공공자전거가 가진 사회적 가치 인식(지불의사)을 ‘1’로, 불인식(비지불의사)을 ‘0’으로 설정하여 가치인식 여부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에 적용 가능하다.
공공자전거 도입으로 발생되는 사회적 편익은 어떤 방법으로 측정할수 있는가? 이렇게 공공자전거 도입으로 발생되는 사회적 편익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를 계량화 할 수 있는 정형화된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하지만 이런 편익들은 시민에게 돌아가는 사회적 서비스로 간주되어 질 수 있으므로 현재가치화로 산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비시장재화가치 측정법 중에서 진술선호법(이하 SP)의 적용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SP는 설문에서의 가상적인 선택 자료에 근거하여 평가 대상 재화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며, 여기에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이하 CVM)이 포함된다.
자전거 공유(bike sharing) 시스템은 무엇인가? 이렇게 교통 정책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시민참여를 기본전제로 운영되는 형태의 교통시스템도 도입되고 있으며 이의 대표적 사례로 공공자전거를 언급할 수 있다. 자전거 공유(bike sharing)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는 공공자전거는 일정의 이용요금을 지불하면 해당 지역 및 도시에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을 통해 자전거를 대여하고 반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시스템이다. 1960년대 유럽에서 처음 제안되었으며, 현재 프랑스 파리, 캐나다 몬트리올, 중국 상하이 등 세계 여러 도시에서 도입 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astasiadou M., Dimitriou D., Fredianakis A. (2009), Determining the Parking fee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ology,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35(3), 116-124. 

  2. Carson R. T. (2000), Contingent Valuation: A User's Guid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4(8), 1413-1418. 

  3. Cohen J., Cohen P., West S., Aiken L.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dell'Olio L., Ibeas A., Cecin P., dell'Olio F. (2011), Willingness to Pay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a Multimodal are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19, 1060-1070. 

  5. Hanenmann W. M. (1991), Willingness to Pay and Willingness to Accept: How Much Can They Differ?, American Economic Review, 81(3), 635-647. 

  6. Hosmer D., Lemeshow S. (2000), Applied logistic regress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7. Jou R., Chiou Y., Chen K. (2012), Freeway Drivers' Willingness-to-pay for a Distance Based toll Rat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6(3), 549-559. 

  8. Kim K., Park B. (2013), Analysis of Accident Factors at Arterial Roads Using Tobit Model, Int. J. Highw. Eng., 15(2), 131-138. 

  9. Kim, H. (2010),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Public Bicycle Facilities in Changwon, Pusan National University, MS dissertation. 

  10. Kopp R. J., Pommerenhne W. W., Schwarz N. (1997), Determining the Value of Non-Marketed Goods,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 Lee G. (2011), A Study on the Location of Bicycle Stations for Encouraging Public Bicycle System: A case study of Goyang and Changwon City, Kyungwon University, MS dissertation. 

  12. Lee J., Lim H. (2010),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ublic Bike System and Its Implication on Daejeon City,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13. Lee K. J., Choi K. C. (2010), A Bike Mode Share Estimation Model and Analysis of the Bike Demand Factor Effects, J. Korean Soc. Transp., 28(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1-31. 

  14. Lee, K. (2012), Assessment of the use value of public bicycle service: Focus on changwon-si in Korea, Journal of the Kora Planners Association, 47(7), 119-128. 

  15. Lierop D. V., Lee H. Y., El-Geneidy A. M. (2012), Secure Investment for Active Transport: Willingness to Pay for secured bicycle parking in Montreal, Canada,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nd Publication at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3th Annual Meeting. 

  16. Mitchell R. C., Carson R. T. (1989),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17. Shin H., Kim D., Joung S. (2012), Impact Analysis on Bije-Sharing and Its Improvement Plan,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18. Shin Y. (2007), The Theory of Non-market Valuation and the Actual Goods, Congressional Budget Office report. 

  19. Tobin J. (1958),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Econometrica, 26(1) 24-36. 

  20. UCLA (2011), FAQ: What are pseudo R-squareds?. http://www.ats.ucla.edu/stat/mult_pkg/faq/general/Psuedo_RSquareds.ht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