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지방 도시 공공자전거 정책의 도입과 지속 요인 -창원시 누비자 사례를 중심으로-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troduction and Maintenance of Bike Sharing Scheme in Korean Local Cities: The Case of Nubijia in Changwon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1, 2016년, pp.89 - 108  

신상범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초록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방 도시들이 왜 제3세대 공공자전거시스템을 도입하는지 그리고 그 정책을 어떻게 유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가장 먼저 시도되었고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고 평가받는 창원시의 누비자를 사례로 선택하였다. 누비자의 성공적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비자는 창원시가 중화학공업도시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미래형 녹색 도시로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환경수도를 선언하였을 때 그 구체적인 실행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둘째, 시장은 선진국 친환경도시의 환경정책 및 생태교통정책을 학습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였고 여기에 한국의 발달된 IT기술이 접목되어 성공적인 공공자전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하향식 정치과정으로 인해 시정부가 시민사회나 의회의 참여 없이 독자적으로 공공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또한 시장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누비자가 지속되게 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시장과 시정부가 누비자를 국내외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하였고 생태교통연맹 의장 도시 역할을 수행하는 등 누비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였으며 그 결과 누비자와 창원시가 국제적 명성과 관심을 받게 되어 정책에 있어서 일종의 '돌아갈 수 없는 지점'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누비자의 발전을 위해 누비자와 관련된 정책 과정에서 시정부 뿐 아니라 시 의회 및 시민사회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수반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how the third generation bike sharing schemes (BSS) are operated in Korea and identify the possible factors that have made cities to adopt and maintain BSS successfully in Korea. For this, the paper selects the case of Nubija in Changwon as the representative and the m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비자의 성공적 도입에 중요한 역할은 한 요인은 무엇인가? 누비자의 성공적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비자는 창원시가 중화학공업도시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미래형 녹색 도시로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환경수도를 선언하였을 때 그 구체적인 실행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둘째, 시장은 선진국 친환경도시의 환경정책 및 생태교통정책을 학습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였고 여기에 한국의 발달된 IT기술이 접목되어 성공적인 공공자전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하향식 정치과정으로 인해 시정부가 시민사회나 의회의 참여 없이 독자적으로 공공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또한 시장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누비자가 지속되게 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시장과 시정부가 누비자를 국내외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하였고 생태교통연맹 의장 도시 역할을 수행하는 등 누비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였으며 그 결과 누비자와 창원시가 국제적 명성과 관심을 받게 되어 정책에 있어서 일종의 '돌아갈 수 없는 지점'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누비자의 발전을 위해 누비자와 관련된 정책 과정에서 시정부 뿐 아니라 시 의회 및 시민사회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수반되어야 한다.
공공자전거시스템이란? 최근 약 10여 년간 선진국의 많은 도시들이 공공 자전거시스템(Public Bike System 또는 Bike Sharing Scheme)을 도입하여 운영해오고 있다. 공공자전거시스템은 무인터미널에 보관되어 있는 자전거를 시민 들이 일정한 회비를 내고 대여하여 이용한 후 자신이 원하는 터미널에 반납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처음에는 자전거 보관소도 없는 양심자전거의 형식으로 출발했으나(제1세대 공공자전거) 이후 1990년대 초반에 코펜하겐에서 보관대와 잠금장치를 지닌 제2세대 공공자전거가 시작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GPS와 스마트폰에 기반을 둔 제3세대 공공자전거가 등장하였다(DeMaio, 2009).
제3세대 공공자전거의 기반은 무엇인가? 공공자전거시스템은 무인터미널에 보관되어 있는 자전거를 시민 들이 일정한 회비를 내고 대여하여 이용한 후 자신이 원하는 터미널에 반납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처음에는 자전거 보관소도 없는 양심자전거의 형식으로 출발했으나(제1세대 공공자전거) 이후 1990년대 초반에 코펜하겐에서 보관대와 잠금장치를 지닌 제2세대 공공자전거가 시작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GPS와 스마트폰에 기반을 둔 제3세대 공공자전거가 등장하였다(DeMaio, 2009). 공공자전거시스템이 특히 최근 10여 년간 활성화된 이유는 무엇보다도 제3 세대 공공자전거가 기존의 자전거 관리상의 문제들-도난, 파손 및 미반납 방치 등-을 해결하였고 또 기후변화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이슈가 되면서 서구 선진국의 많은 도시들이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 정책의 일환으로서 공공자전거 정책을 시행하였기 때문이다(Shahe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권영훈, 2014, "공공자전거 운영을 통한 도지 재생: 창원시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5(4), 171-189. 

  2. 김동준.신희철.박준식.임형준, 2012, "날씨가 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고양시 공공자전거를 대상으로-," 교통연구, 19(3), 77-88. 

  3. 김동준.정성엽.한상용.신희철, 2014, "공공자전거 경제적 효과 분석-고양시 및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6(1), 63-73. 

  4. 김형석, 2010, "창원시 공영자전거 시설의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완수, 2012, 명품 도시의 창조,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6. 오재성.김명수.이창희, 2014, "공공자전거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6(2), 107-118. 

  7. 윤영채.조병용, 2014, "대전광역시 공공자전거 '타슈'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2), 591-608. 

  8. 이재영.박진희.임윤택, 2012, "도시특성에 따른 공공자전거 이용특성 및 정책방향 연구," 국토계획, 47(3), 295-308. 

  9. 이정윤.김승인.이용재, 2011, "서울시 공공 자전거 사업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1), 231-241. 

  10. 이호재, 2010, "공공자전거제도 활성화를 위한 무인대여소 입지에 관한 연구-고양시와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임동순, 2013, "공공자전거 무인 대여시스템에서 자전거 재배치 운영방안," 대한설비관리학회지, 18(3), 31-37. 

  12. 창원시, 2014, 2013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민의식조사 결과보고서, 경남리서치. 

  13. 최태개, 2010, "창원시 공영자전거 누비자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Bachand-Marleau, J., Lee, B., and El-Geneidy, A., 2012, Better Understanding of Factors Inf luencing Likelihood of Using Shared Bicycle Systems and Frequency of Us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314, 66-71. 

  15. Beecham, R, and Wood, J., 2013, Exploring gendered cycling behaviours within a large-scale behavioural data-set,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37(1), 83-97. 

  16. Beland, D., 2014, Developing sustainable urban transportation- Lesson drawing and the framing of Montreal's bikesharing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34(7/8), 545-558. 

  17. Beroud, B., and Anaya, E., 2012, Private interventions in a public service: an analuysis of public bicycle schemes, in John Parkin ed., Cycling and Sustainability (Transport and Sustainability, Volume 1), 269-301. 

  18. Castillo-Manzano, J., and Sanchez-Braza, A., 2013, Can anyone hate the bicycle? The hunt for an optimal local transportation policy to encourage bicycle usage, Environmental Politics, 22(6), 1010-1028. 

  19. City of Kitakyushu, 1999, Pollution Countermeasures of the City of Kitakyushu, Japan: How the People of Kitakyushu Overcame Air and Water Pollution Through Cooperation and Technology, The City of Kitakyushu Environmental Bureau. 

  20. Corcoran, J., and Li, T., 2014, Guest Editorial: Spacial analytical approaches in public bicycle sharing program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268-271. 

  21. Corcoran, J., Li, T., Rohde, D., Charles-Edwards, El., and Mateo-Babiano, D., 2014, Spatio-temporal patterns of a Public Bicycle Sharing Program: the effect of weather and calendar event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292-305. 

  22. DeMaio, P., 2009, Bike sharing: History, impacts, models of provision, and future, Journal of Public Transportation, 12(4), 41-56. 

  23. Faghih-Imani, A., Eluru, N., El-Geneidy, A., Rabbat, M., and Haq, U., 2014, How land-use and urban form impact bicycle flows: evidence from the bicycle-sharing system (BIXI) in Montreal,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306-314. 

  24. Fischer, C., Sanzhez, C., Pittman, M., Milzman, D., Wolz, K., Huang, H., and Sanchez, L., 2012, Prevalence of bicycle helmet use by users of public bikesharing program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60(2), 228-231. 

  25. Fishman, E., Washington, S.. and Haworth, N., 2012,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public bicycle scheme use: A qualitative approach,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15, 686-698. 

  26. Fishman, E., Washington, S.. and Haworth, N., 2013, Bike Sharing: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Transport Reviews, 33(2), 148-165. 

  27. Fishman, E., Washington, S.. and Haworth, N., 2014, Bkie share's impact on car use: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and Australi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31, 13-20. 

  28. Fishman, E., Washington, S., Haworth, N., and Mazzei, A., 2014, Barriers to bikesharing: an analysis from Melbourne and Brisbane,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325-337. 

  29. Fuller, D., Gauvin, L., Kestens, Y., Daniel, M., Fournier, M., Morency, P., and Drouin, L., 2011, Use of a new public bicycle share program in Montreal, Canad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1(1), 80-83. 

  30. Garcia-Palomares, J., Gutierrez, J., and Latorre, M., 2012, Optimizing the location of stations in bike-sharing programs: A GIS approach, Applied Geography, 35, 235-246. 

  31. Goodman, A., and Cheshire, J., 2014, Inequalities in the London bicycle sharing system revisited: impacts of extending the scheme to poorer areas but then doubling price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272-279. 

  32. Liu, Z., Jia, X., and Cheng, W., 2012, Solving the Last Mile Problem: Ensure the Success of Public Bicycle System in Beij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43, 73-78. 

  33. Martin, E. W. and Shaheen, S., 2014, Evaluating public transit modal shift dynamics in response to bikesharing: a tale of two U. S. citie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315-324. 

  34. Midgley, P., 2011, Bicycle-Sharing Schemes: Enhancing Sustainable Mobility in Urban Areas,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Background Paper, No.8. 

  35. Murphy, E., and Usher, J., 2015, The Role of Bicycle-sharing in the City: Analysis of the Irish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9, 116-125. 

  36. Nair, R., Miller-Hooks, E., Hampshire, R., and Busic, A., 2013, Large-Scale Vehicle Sharing Systems: Analysis of Velib',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7, 85-106. 

  37. Nakamura, H., and Abe, N., 2014, The role of a non-profit organisation-run public bicycle-sharing programme: the case of Kitakyushu City, Japa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338-345. 

  38. O'Brien, O, Cheshire, J., and Batty, M., 2014, Mining bicycle sharing data for generating insights into sustainable transport system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4, 262-273. 

  39. Ogilvie, F., and Goodman, A., 2012, Inequalities in usage of a public bike sharing scheme: Socio-demographic predictors of uptake and usage of the London (UK) cycle hire scheme, Preventive Medicine, 55(1), 40-45. 

  40. Parks, S., Marsden, G., Shaheen, S., and Cohen, A., 2013, Understanding the diffusion of public bikesharing systems: evidence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1, 94-103. 

  41. Pucher, J., and Buehler, R., 2012, City cycling, MAL The MIT Press. 

  42. Shaheen, S., Guzman, S., and Zhang, H., 2010, Bikesharing in Europe, the Americas, and Asi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143, 159-167. 

  43. Shaheen, S., Martin, E., Cohen, A., and Finson, R., 2012, Public bikesharing in North America: Early operator and user understanding, San Jose: CA: Mineta Transportation Institute. 

  44. Shaheen, S., Zhang, H., Martin, E., and Guzman, S., 2011, China's Hangzhou Public Bicycle: Understanding Early Adoption and Behavioral Response to Bikeshar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247, 33-41. 

  45. Steinbach, R., Green, J., Datta, J., and Edwards, P., 2011, Cycling and the city: a case study of how gendered, ethnie and class identities can shape healthy transport choic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72, 1123-1130. 

  46. Vogel, M., Hamon, R., Lozenguez, G., Merchez, L., Abry, P., Barnier, J., Borgnat, P., Flandrin, P., Mallon, I., and Robardet, C., 2014, From bicycle sharing system movements to users: a typology of Velo'v cyclists in Lyon based on large-scale behavioural datase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1, 280-291. 

  47. 경남도민일보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95030 

  48.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http://www.nubija.com/terminal/terminalStateView.do 

  49. 누비자 홈페이지 https://www.nubija.com/main/main.do 

  50. 누비자 터미널 상황 페이지 http://www.nubija.com/terminal/terminalStateView.do 

  51. 아시아뉴스통신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930213&thread09r02 

  52. 창원시 의회 http://council.changwon.go.kr/index.php 

  53. 창원일보 http://www.changwonilbo.com/news/135146 

  54. The Bike-Sharing Blog http://bike-sharing.blogspot.kr/ 

  55. World Bank, CO2 Emissions from Transport,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EN.CO2.TRAN.ZS/countries/1W-US-GB-DE?displaydefault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