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 공공자전거시스템의 경제적 가치평가 및 결정요인
Economic Valuation and Determinant Factors of Bicycle Sharing System in Daejeon City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1, 2016년, pp.43 - 54  

이재영 (대전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  한상용 (동서대학교 국제물류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자전거는 이용 편리성 및 건강증대 효과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고 지속적인 확대요구가 있으나, 낮은 요금수익률로 인하여 계속적인 재정지원 및 확대구축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에서 판단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량화된 방법으로 공공자전거시스템의 사용가치인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고,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재정지원 및 시스템의 확대구축 여부에 대한 판단 준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의 공공자전거시스템인 타슈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현장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자전거 이용횟수는 양(+)의 영향, 자동차보유대수 및 연령은 음(-)의 영향 그리고, 성별과 소득 등은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타슈의 연간 경제적 편익은 최소 499.3억 원에서 최대 636.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타슈의 연간 운영비용 25억원을 크게 상회하는 금액으로 타슈로 인한 경제적 편익이 큼을 알 수 있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타슈는 지속적인 확대 구축과 지원을 하는 한편, 운영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도록 이용자 중심의 마케팅 방안이 추가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re are continuous demands for activating BSSs(Bicycle Sharing Systems) due to the convenience and positive health effects, it is difficult to make a decision to support the existing systems and build more systems because of the deficit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BSSs. Consequen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0)원의 지불의사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 제시금액과 두 번째 제시금액에 모두 ‘아니오-아니오’라고 응답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추가로 단 1원의 지불의사가 있는지의 여부를 추가로 질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계량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편익 즉 사용가치인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을 추정하고,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0원으로 분석되었다. 단, 응답자의 지불의사액이 양(+)인 분포를 갖는다는 가정을 두었으며, 추정치는 유의수준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중경계모형 추정결과에서 효율성 증가와 도출된 편익 추정치의 강건함(robustness)을 이유로 일반적으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한 해외 선행연구들에서도 일반적으로 단일경계모형보다 이중경계모형을 활용하여 산정된 편익 추정치를 활용하고 있다.
  • 0원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도 응답자의 지불의사액이 양(+)인 분포를 갖는다는 가정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대여자전거와 구별되는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특징 및 장점은 무엇입니까?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도시에 공공자전거가 확산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기존 대여자전거와 구별되는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공공자전거시스템은 모든 시민에게 개방되어 있고, 24시간 운영되며, 대여 장소와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반납이 가능하며, 모든 절차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하여 기존 자동차 통행을 대체하고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키며, 자전거 인프라의 건설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2013. bike miami valley).
우리나라의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현황은 어떠합니까? 공공자전거시스템(PBS; Public Bike System, 혹은 BSS, Bicycle Sharing System)은 1998년 프랑스 헨느(Rennes)에서 처음 도입된 이래 2015년 7월 현재 1,000대 이상 대규모로 운영하고 있는 216개 도시에 이르고 있다1). 우리나라는 2008년에 창원시가 처음 도입하였고 현재는 고양시, 대전시 등 74개 도시에서 운영하고 있다.
공공자전거시스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지니고 있는 한계점은 무엇입니까? 한편, 공공자전거시스템의 편리성과 공익성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구축비용이 개인자전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수익구조가 취약하여 운영비의 대부분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row K., Solow R. P., Portney R., Leamer E. E., Radner R., Schuman H. (1993),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Federal Register, 58, 4601-4614. 

  2. Bike miami valley (2013), Dayton bike share study, 6-7. 

  3. Cameron T. (1988), A New Paradigm for Valuing Non-market Goods Using Referendum Dat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y Censore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5, 355-379. 

  4. Cameron T., James D. (1987), 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9, 269-276. 

  5. Cooper J. C. (1994),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Calcula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Benefit Measures From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Land Economics, 70, 111-122. 

  6. Efron B., Tibshirani R. J. (1993), An Introduction to the Bootstrap. New York: Chapman and Hall. 

  7. Han S.Y., Shin H.C., Kim D.J. (2013), A Comparative Study for Willingness-to-pay Estimation Models for Expansion of Public Bike System,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2), 103-119. 

  8.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6, 332-341. 

  9. Hanemann W. M. (1989),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Repl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 1057-1061. 

  10. Johansson P. O., Kristrom B., Maler K. G. (1989), A note welfare evaluation With discrete response data,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1, 1054-1056. 

  11. Kim B.S. (2009), The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Effect of Bicycle Use, Kyunghee University. 

  12. Kling C., Sexton R. (1990), Bootstrapping in Applied Welfare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2, 406-418. 

  13. Krinsky I., Robb A. (1986), On Approximat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Elasticit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8, 715-719. 

  14. Kristrom B. (1997), Spike Models in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Agricultural Economics, 79, 1013-1023. 

  15. Kwon Y.S., Lee J.K., Son Y.T. (2006), A Study for Benefit Calculation of Bicycle Roadway Construction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6D), 945-950. 

  16. Lee J. Y. (2015), Improvements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ASHU, Bicycle Sharing System of Daejeon City,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15. 

  17. McConnell K. E. (1990), Models for Referendum Data: the Structure of Discrete Choice Models for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8, 19-35. 

  18. Park T., Loomis J., Creel M. (1991), Confidence Intervals for Evaluating Benefits Estimates From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Studies, Land Economics, 67, 64-73. 

  19. Selensminde K. (2004), Cost-benefit Analyses of Walking and Cycling Track Networks Taking Into Account Insecurity, Health Effects and External Costs of Motorized Traffic,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8, 593-606. 

  20. Wang G. et al. (2005), A Cost-benefit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Using Bike-pedestrian Trails, Health Promote Practice, 6(2), 174-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