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적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Integrated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and Internet Addi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251 - 261  

문소연 (아천 초등학교) ,  이병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and test its effects on the self-regulation and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 위험군에 속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터넷 중독을 인터넷 중독에 관한 지식과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정보제공,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임파워먼트 중재, 그리고 인터넷 사용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할 수 있는 행동수정요법이 포함된 인지, 감정 및 행동적 접근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터넷 중독 예방에 미치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자기조절력,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점수 및 인터넷 사용시간의 종속 변수를 사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후 2차에 걸친 사후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 예방 및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방법들 중,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쉽고,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정보제공, 임파워먼트 중재, 행동수정요법을 통합하여 인터넷 중독 위험군에 속한 초등학생에 있어 인터넷 중독 예방 효과를 자기조절력,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점수 및 인터넷 사용시간 변화를 통해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위험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관련 정보제공, 임파워먼트 중재 및 행동수정요법과 같은 인지, 감정 및 행동적 측면의 접근을 통합한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대상자의 자기조절력,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점수 및 인터넷 이용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조절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인터넷 자가진단 점수및 인터넷 이용시간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 위험군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관련 정보제공, 임파워먼트 중재 및 행동수정요법과 같은 인지, 감정 및 행동적 접근이 통합된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하,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자기조절력,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점수, 인터넷 사용시간에 미치는 효과 및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 위험군에 속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터넷 중독을 인터넷 중독에 관한 지식과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정보제공,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임파워먼트 중재, 그리고 인터넷 사용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할 수 있는 행동수정요법이 포함된 인지, 감정 및 행동적 접근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터넷 중독 예방에 미치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자기조절력,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점수 및 인터넷 사용시간의 종속 변수를 사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후 2차에 걸친 사후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프로그램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이하, 대조군)보다 자기 조절력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터넷 사용시간이 줄어들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조절력이란 무엇인가? 다양한 상황에서 적응적이고 융통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행동, 사고,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 혹은 하고자 하는 목표나 목적을 위해 행동을 지연하는 능력, 외부적 제한 없이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능력이다[20]. 본 연구에서는 Kendall과 Wilcox[21]가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자기조절력 척도(Self Control Rating Scale [SCRS])를 Kwon[22]이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초등학생이 인터넷에 중독될 경우 부작용은 무엇인가? 초등학생이 인터넷에 중독되면 등교거부나 결석이 잦아지고 교우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가족과의 대화량이 점점 줄어들고 가족과의 외식이나 여행에 동행하지 않는 등, 대인관계 기피경향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5]. 조금 더 연령이 높은 청소년의 경우는 그부작용이 더욱 커, 대인관계 기피경향 뿐만 아니라 수면부족, 체력 저하, 우울증, 강박증, 충동조절 장애 등,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
초등학생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해 인터넷 이용 행위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력을 강화시켜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고립과 위축[4], 낮은 자존감, 사회적 지지 결핍, 외로움과 우울 및 높은 충동성[6,7], 불안감[8], 낮은 자기조절력 등이 있다. 이 중 자기조절력은 초등학생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있어 비교적 큰예측력을 가진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데[9-11], 그 이유는 자기조절력이 부족한 경우 인터넷의 계속적인 사용이 나쁜 결과를 가져올 것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조절하지 못하고 계속 인터넷을 하게 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12]. 따라서, 초등학생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인터넷 이용 행위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력을 강화시켜 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Internet Addiction Center. 2010 internet addiction survey [Internet]. Seoul: Author; 2011 [cited 2011 March 23]. Available from: http://www.iapc.or.kr/info/lib/showInfoLib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001500&board_type_cdC1&searchCondition&searchKeyword. 

  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1 internet addiction survey [Internet]. Seoul: Author; 2011 [cited 2012 June 14]. Available from: http://www.mospa.go.kr/gpms/ns/mogaha/user/nolayout/main/nationDisplay.action. 

  3. Young K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2009;1(3):237-244. http://dx.doi.org/10.1089/cpb.1998.1.237 

  4.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internet addiction survey [Internet]. Seoul: Author; 2006 [cited 2007 March 19]. Available from: http://www.iapc.or.kr/info/lib/showInfoLib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000127&board_type_cdC1&searchCondition&searchKeyword. 

  5. Park YH.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se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ase of higher level pupils in a primary school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6. Cao F, Su L. Internet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Prevalence and psychological feature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07;33(3):275-281.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6.00715.x 

  7. Whang LS, Lee S, Chang G. Internet over-users' psychological profiles: A behavior sampling analysis on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2003;6(2):143-150. http://dx.doi.org/10.1089/109493103321640338 

  8. Armstrong L, Phillips JG, Saling LL.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2000;53(4):537-550. http://dx.doi.org/10.1006/ijhc.2000.0400 

  9. Ju SJ. Internet addiction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1):46-54. 

  10. Jeong TG.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and self control on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05;13(1):143-163. 

  11. Tsai CC, Lin SS.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s in Taiwan: An interview study. Cyberpsychology & Behavior. 2003;6(6):649-652. http://dx.doi.org/10.1089/109493103322725432 

  12. Shin JS, Lee CH.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17(8):105-128. 

  13. Joo A, Park I. Effects of an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in the prevention of internet game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255-263.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255 

  14. Kim BG, Lee SJ, Koh YS, Cho SC, Hur IB, Ko SJ, et al.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7. 

  15. Yang MH. Behavioral support based on the theory of behavior modification. Seoul: Hakjisa; 2012. 

  16. Kwon HK, Kwon JH. The effect of the cognitive-behaviora1 group therapy for high risk students of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21(3):503-514. 

  17. Moon SH.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grative self-management program for internet-addiction preven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Daegu: Daegu University; 2005. 

  18. Lee YS, Lee SJ, Do JY, Kim DI. Development of prevention program for youth excessive use of interne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1;19(2):105-124. 

  19. Oh I, Kim C.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09;13(4):529-537. 

  20. Griffiths M. The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 London, UK: Harper Collins; 2009. 

  21. Kendall PC, Wilcox LE.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79;47(6):1020-1029. 

  22. Kwon HJ. Relationship between child perceived level of maltreatment, self-control and anger expressions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7. 

  23.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 2009. 

  24. Kim CT, Kim D, Park JK, Lee SJ. Development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diagnostic scale. Seoul: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02. 

  25. Lee HC, Ahn CY.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gam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2;7(3):463-486. 

  26. Lee SJ. Behavior modification. Paju: Kyoyookbook; 2004. 

  27. Park GR, Kim HS.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tendency to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94-70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94 

  28. Logue AW. Self-control: Waiting until tomorrow for what you want toda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5. 

  29. Kim HO, Kim SH. The effect of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internal control, and addictive internet use of the internet-addi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2006;18(1):11-22. 

  30. Lee KS, Jung SJ, Kim MS, Seo BK.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program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3;26(1):231-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