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영유아에 대한 응급처치 현황 및 응급처치 지식과 수행 자신감 비교
Prehospital care and knowledge, prehospital care confidence toward the infant and toddlers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9 no.1, 2015년, pp.19 - 33  

송은혜 (대전광역시 소방본부 남부소방서) ,  이경열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hospital care provided to infants and toddlers (preschoolers) based on questionnaire findings. Methods: A total of 1,634 running sheets from 119 centers of D city from patients older than 1 month and less than 7 years of age from J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19 구급대를 통한 영유아의 이송현황을 알아보고, 구급대원들의 영유아에 대한 응급처치 지식과 응급처치 수행 자신감과 교육실태 등을 분석하여 영유아 환자에게 제공되는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1년 동안 D시 소방본부 소속 119 구급대로부터 병원으로 이송된 1개월 이상 7세 미만 영유아 환자의 구급활동일지와 D시 소방본부 소속 119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신생아를 제외한 7세 미만의 영유아에 대한 지식 및 응급처치 수행 자신감에 대한 설문지 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의 특징은? 영유아는 호기심이 강하고 충동적인 성향을 지녀 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빈번한 반면에 자기 스스로를 보호하는데 미숙하여 성인에 비해 대처하는 방법이 부족하다[1]. 우리나라는 2009년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국(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가입국 중 3위로 인구 10만명당 8.
자신감과 실제 수행하는 응급처치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025), 현장활동이 주 업무인 구급대원의 특성상 많은 현장경험이 수행 자신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유아 환자의 응급처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6명의 심정지 환자에게 모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였으며 이것은 심폐정지 응급처치 자신감에서 심폐소생술 처치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온 결과와 관련이 있다. 또한 수액투여 및 정맥로 확보와 관련된 자신감이 두 영역 모두 낮게 측정되었는데 실제로 영유아 응급처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정맥로 확보는 2건(0.1%)으로 매우 실시율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자신감과 실제 수행하는 응급처치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여겨진다.
어린이 사고에서 구급대원이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대부분의 어린이 사고는 가정에서 주로 일어나는데 일차목격자인 부모가 함께 있거나 주변에 있을 때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부모의 경우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적절한 처치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초기 처치를 시행하는 구급대원의 역할이 매우 크다[7]. 때문에 초기 현장 처치를 시행하는 구급대원의 역할이 매우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IO, Sin SH. A survey on the experience of accident of infant, toddler and preschooler, and the education about emergency care for parents. Child Health Nurs Res 2002;8(2):174-82. 

  2. Hwang S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terial standards to decrease children's safety accidents in urban residenti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Seoul, Korea. 

  3. Korea Consumer Agency. Children Survey accidents by type. Available at: http://www.kca.go.kr/brd/m_367/view.do?seq 298&srchFr&srchTo&srchWordsafetyIncidents&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item10&page2, 2011. 

  4. Korea Consumer Agency. Child safety incidents analysis. Available at: http://www.kca.go.kr/brd/m_367/view.do?seq432&srchFr&srchTo&srchWord&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item10&page1, 2014. 

  5. Lee MS. Study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lated to nursing of emergency pediatr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2, Seoul, Korea. 

  6. Jo MC.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tients in the general hospital medical emergency center. Health and Welfare 2010;12:139-58. 

  7. Kwon JS. The effects of education on child accident prevention at home and first aid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 Je University 2011, Gimhae, Korea. 

  8. Kim S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Korea.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2):17-59. 

  9. Lee JI. Comparison of the four-year emergency paramedic training program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Gongju, Korea. 

  10. Towner E, Dowswell T, Jarvis S. Updating the evidence. A systematic review of what works in preventing childhood unintentional injuries: Part 2. Inj Prev 2001;7(3): 249-53. 

  11. Lee JH.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infant rearer's knowledge of first aid for inj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013, Chungju, Korea. 

  12. Lee YA, Gho J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 life safety suppor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2):15-26. 

  13. Kim SJ.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for younger children in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2):137-50. 

  14. Bae WH. Children's speciality nurse. Seoul: Koonja, 2009. 45-73. 

  15. James SR. Principles and practice of child health nursing center. Seoul: Hyunmoonsa, 2009. 52-162. 

  16. Korean Council of Professor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Paramedic care: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Daihakseorim, 2006. 49-156. 

  17. Nancy C. Emergency care in the streets. Seoul: Jeongdammedia, 2010. 1511-69. 

  18. Lee KR. Appraisal of prehospital care by 119 squa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5, Seoul, Korea. 

  19. Lee ES. Analysis on prehospital care report for sharing effic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2006, Incheon, Korea. 

  20. Jeon HJ. Utilization statu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of pediatr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7, Seoul, Korea. 

  21. Cho YR, Lee KY. Current prehospital care status, knowledge, and prehospital care confidence toward the elderly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2014;18(3):19-35. http:// dx.doi.org/10.14408/KJEMS. 2014. 18.3.019 

  22. Park SH. Relationship between child pain management knowledge, barriers, and performance of emergency unit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4, Seoul, Korea. 

  23. Chung YS, Kim JS.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childhood fever. Child Health Nurs Res 2009;15(2): 171-81. http://dx.doi.org/10.4094/jkachn. 2009.15.2.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