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2, 2015년, pp.185 - 204
박경옥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정지인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actors for village activation and maintenance of urban village community, based on the survey of residents' interaction (neighbors relationship, using community facilities, and community activities) and their community consciousness of Seongmisan village, a 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도심에서 마을공동체가 주목받는 이유는? | 도심에서 마을공동체가 주목받는 것은 주민들간의 유대 의식을 통해 일상생활의 요구를 상부상조로 해결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주어 인간소외, 고립, 상호의존적 관계의 상실 등의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을공동체는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부는 1990년 중반 이후 부터 ‘마을공동체만들기’에 대한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지방자치단체의 마을만들기 지원행정이 확산되었다. | |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의 모델로서 성미산마을이 자리잡은 배경은? | 도심 마을공동체의 대표적 성공사례인 성미산마을은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의 모델이 된 곳이다. 성미산마을이 마을공동체로 자리 잡은 배경은 1994년 주민들이 공동육아협동조합 어린이집을 함께 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주민들이 신뢰관계를 형성하며 주체가 되어 생활상의 필요와 요구를 협동조합 교육을 통해 해결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보여주었고 도심에서도 마을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현재 성미산마을은 교육·경제·문화·환경·복지 등의 분야에 대한 다양한 마을 내 공동체시설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활동기관 및 단체, 동아리, 활동프로그램이 형성되어 있다(Yoo, 2009). | |
마을공동체의 중요성에 따라 정부가 추진한 정책 중 하나는? | 도심에서 마을공동체가 주목받는 것은 주민들간의 유대 의식을 통해 일상생활의 요구를 상부상조로 해결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주어 인간소외, 고립, 상호의존적 관계의 상실 등의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을공동체는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부는 1990년 중반 이후 부터 ‘마을공동체만들기’에 대한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지방자치단체의 마을만들기 지원행정이 확산되었다. 2010년대 이후부터는 대부분의 지자체가 마을공동체만들기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여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사례를 홍보하면서 제도적인 틀 안에서 공공적 지원을 하고 있다. |
Chun, H.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o promote livability of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9(1), 143-172.
Han, S. I. & Kang, J. M.(2013). The effect of community design on community identity and social value : focused on Sungmisan community. 2013 Proceeding of Spring Conference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419-424.
Jang, J. H. & Lee, I.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 self-help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4(2), 15-26.
Ki, Y. H., Kim, S. H., & Kim, N. S. (2013). Paradigm framework analysis of community wellbeing in Sungmisan community villag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7(1), 295-320.
Kim, D. W., Jung, E. H., & Ryu, J. W. (2005). A study on the community-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location type of the neighborhood facility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39-46.
Kim, H. J., Koo, J. H., & Won, J. M. (2009). Importance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tems.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6), 127-134.
Kim, J. H. (2009). A study on the spacial design for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in urban vill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Kim, K. J. & Kim, S. S.(1998).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Korea.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23(2), 211-232.
Lee, J. Y. (2006). Regional civic movement thr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 world: focused on 'Sungmi-moutain protection move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Korea.
Lee, K. R. (2013). Community-based learning frame and the community-based humanities. Society and Philosophy, 26, 57-88.
Lee, R. Y. (2009). A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exterior spatial composition in apartment complex.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Moon, S. K. & Park, S.H.(2013). A study on the life-friendly urban community facilities as center of neighborhood, 2013 Proceeding of Spring Conference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39-148.
Seong, E. Y. & Lim, K. R. (2011). Provision of improved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neighbourhood facilities in detached housing area.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No. 10.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Wee, S. N., .Koo, K. S., Moon, C. W., et al. (2013). Village Building, history and philosophy of Sungmisa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Yoo, M. S. & Kang D. J.(2013). A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a case study of Sungmisan villag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9(1), 143-173.
You, C. B. (2009). A story of Sungmisan village, an urban community village: it's dynamics and challenges.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Korea.
Sungmisan People and Village. http://cafe.daum.net/sungmisanpeople,
Statistics Korea (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 주택의 종류별 주택 서울특별시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