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MART Teaching-Learning Program about the unit of 'Earth and Moo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1, 2015년, pp.76 - 86  

한신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dvantage of the smart teaching - learning programs about the unit of 'Earth and Moon' and find out how to apply the effect appears.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conducted over eight lessons. An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gram at any time through the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 수업을 위한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 2007 개정 교과서에는 지구본 위에 인형을 붙여 인형의 관점에서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게 하는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으나, 지구 내부자적 관점과 외부자적 관점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N 스크린 어플을 활용하여 두가지 관점을 모두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고자 노력 하였다.
  • 면담에서는 몇 가지 개방적인 질문에 답하게 하면서 수업의 어떤 면이 좋았는지, 그리고 어떤 점을 잘 이해할 수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수업을 통해 알게된 점은 무엇인지를 질문하였다.
  • 먼저 3차시에서는 지구본과 전등을 이용하여 낮과 밤이 생기는 이유를 설명하면서, 스텔라리움 프로그램을 이용해 낮과 밤이 생기는 원리를 학습 하였다. 또한 지구에서 가상의 천체를 바라보면서 지구의 자전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하였다. 지구본 위에 인형을 붙이고, 그 인형에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스마트교육 수업 모형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성취도 및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초등학교의 5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지구와 달’ 단원을 스마트교육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 구축되어 있는 스마트 교실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스마트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유도하였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학습 자원으로 활용하는 스마트교육 모형(Kim & Bae, 2013)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 수업을 위한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 스마트 교실 환경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설계에 초점을 두어 교사와 학생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지구와 달’ 단원은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공간지각능력, 천체 현상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하므로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 이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지구와 달’ 단원의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 그 후, 탁구공을 2~8번 위치로 바꾸면서, 스마트폰을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각각의 위치마다 사진을 찍는 활동을 하였다. 이 활동 후, 달의 움직임과 모양 변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였다.
  • 스마트 교육 공개수업의 상시화로 수업 공개에 대한 거부감 및 스마트기기 조작에 대한 학생들의 부담이 적은 편이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교육 수업 모형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스마트기기와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기술공학을 적용하는데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류를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역량의 의미는? 여기서 ‘핵심역량’은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 기술, 태도와 그 모두를 포괄하는 역량 중 21세기 학습자에게 핵심적으로 필요한 역량을 의미한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2011a)에서는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지능형 맞춤교육을 추구 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써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천문 단원이 스마트교육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이유는? 천문 단원은 과학적 논리력 뿐만 아니라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공간지각능력, 다양한 천체 현상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스마트교육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Park, 2013). 따라서 Lunar Phase, Moon Phase, Google 별지도, Sky View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능과 범위를 선정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사고의 확장 및 구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스마트 교육 프로그램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는? 많은 학생들이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이나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의 활용이 익숙해지 시작하면서 학생들의 이해도가 점차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구’ 영역은 학생들이 직접적인 관찰 및 관측을 할 수 없는 거시적인 현상들이기 때문에 상상을 통해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2011. 6. 29. 대통령 보고)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스마트교육 수업 시나리오 자료집. TM-2012-35-1. 

  3.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2011).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시리즈1: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4. Byun, J-S., Jung, J-G., Moon, B-C., & Jeong, J-W. (2004). High School Student Conception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Mo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7), 519-531. 

  5. Choe, S-H., Kwak, Y-S., & Noh, E-H. (2012).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learners' key competencies: centering on Mother tongue, Mathematics and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I 2011-1. 

  6. Choi, S-H. (2000). Primary Students Concept on the Movement of the Moon.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1), 41-56. 

  7. Herrington, A. (2009). Using a smartphone to creat digital teaching episodes as resources in adult education. In J. Herrington, A. Herrington, J. Mantei, I. Olney & B. Ferry(Eds.), New technologies, new pedagogies: Mobil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8-35). 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Wollongong, New South Wales, Australia. 

  8. Kang, I-A., Lim, B-R., & Park, J-Y. (2012). Explor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of Smart Learning: Using cases of university classroom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2), 238-303. 

  9. Kang, J-H. (2011). A Study on Utilizing SNS to Vitalize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5), 265-274. 

  10. Kim, H-J., & Kim, H-C. (2012). A Framework for Developing Learning Activities for Smart Education and an Instructional Model.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4), 25-39. 

  11. Kim, M-Y., & Bae, Y-K. (2012). Authoring and Utilization of 3D Content as a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Smart Learning.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12(7), 483-496. 

  12. Kim, Y., & Shon, J-G. (2011). A Study on Design of K-12 e-Learning System for Utilization Smartphone.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2(4), 135-143. 

  13. Kim, Y-J. (2013). The Effects of Creative Experiences by Using Smart Devices o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Lim, K. (2011).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2), 33-45. 

  15. Milrad, M., & Spikol. D. (2007). Anytime, anywhere learning supported by smart phones: experiences and results from the MUSI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4), 62-70. 

  16. Na, J-J., Son, C-J., & Kook, D-S. (2010).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Cyber Home Study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Content of the Science Basic Course for the 7th grad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4), 392-402. 

  17. Noh, K-S., Ju, S-H., & Jung, J-T.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2), 79-88. 

  18. Myeong, J-O. (2001). Reasons for Unsuccessful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5), 339-349. 

  19. Park, S-K. (2013).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7), 727-737. 

  20. Seol, M-G., & Son, C-I. (2012).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Using Smart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6(3), 309-318. 

  21. Trilling, B., & Fade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