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Fraction Comprehension and Mathematical Attitude in Fraction Learning Centered on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2, 2015년, pp.215 - 239  

안지선 (서울본동초등학교) ,  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표상활동을 중심으로 한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서울 소재 B초등학교 4학년 33명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상활동으로 이루어진 분수학습을 6주간 15차시에 걸쳐 진행한 결과 관계적 이해에 도달한 학생들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분수 학업성취도 검사 I, II, III에서 평균 90점 가까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수학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의 분수학습은 학생들의 관계적 이해도와 분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학습지향성, 자기통제, 흥미, 가치인식, 자신감을 높이며,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수학적 태도면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oal of this study is figuring out how fraction learning centered on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influences the fraction comprehension and mathematical attitudes. The study focused on 33 4th-grade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the study, 15 fraction learning classes compris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의 구조이론에서 지식을 어떤 과정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하는가?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Bruner는 지식의 구조이론에서 어떤 영역의 지식도 세 가지 과정으로 표현해 낼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적 지식 구조를 이해시킬 때 실물 그대로를 제시하여 행동화, 조작화의 신체적 동작으로 표현하게 하는 활동적 표상(enactive representation), 영상을 통해 그림이나 모형으로 지식을 이해하는 영상적 표상(iconic representation), 논리적 명제에 의한 기호나 문자로 지식을 이해하는 상징적 표상(symbolic representation)이다(최창우, 2006).
분수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분수학습과 관련한 연구(Behr & Post, 1992; Bezuk & Cramer, 1989; Kouba, Zawojewski trutchens, 1997; Lesh, Behr & Post, 1987; Moss & Case, 1999)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분수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분수 학습에서 개념적 이해보다 절차적 지식이나 계산법에 중점을 둔 교수·학습 방법이 분수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주된 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된다(Armstrong & Bezuk, 1995; Bezuk Bieck, 1992; Cramer, Post & delMas, 2002; Freudenthal, 1983; Hiebert & Behr, 1988; Streefland, 1982). 김용태 외(2005)는 분수의 개념 도입에서는 약간의 조작활동이 이루어지지만, 분수 연산이 도입되면서는 거의 조작활동 없이 형식적인 기호로 학습한다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종희, 김수진(2010)은 무엇을 강조하였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TIMS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와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 성취도는 매우 높으나, 정의적 영역은 매우 낮은 수준에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박정 외, 2004; 조지민 외, 2012; 최승현 외, 2013). 이종희, 김수진(2010)은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결과 중심이 아닌 학습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수학에 대한 흥미’와 ‘수학에 대한 태도’의 국가 간 비교 연구를 한 김영국(2008)은 우리나라 학생들의 낮은 수준의 정의적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하게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이 의미있다고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구광조.오병승.전평국 (1995). 수학학습심리학. 서울: 교우사.(Koo, G. J., Oh, B. S., & Jeon, P. K. (1995).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for instruction. Seoul: Kyowoo Sa.) 

  2. 구미종 (2002). 패턴 블록을 활용한 분수학습에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oo, M. J. (2002). A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rs in fraction learning using pattern block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 권성룡 (1997). 측정활동을 통한 분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Kwon, S. R. (199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program of fraction based on measur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김경희 (2007). 수학교과에서 관계적이해를 위한 소프트웨어활용에 관한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K. H. (2007). A study on software application for relational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subject.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5. 김선영 (2003). 분수의 덧셈, 뺄셈에 대한 오류 유형 분석 및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S. Y. (2003). The error type analysis against the addition and a subtraction of the fountain and effective map plan research.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6. 김미영.백석윤 (2010). 분수 덧셈, 뺄셈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장애 현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241-262.(Kim, M. Y., & Paik, S. Y. (2010). An analysis on cognitive obstacles using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fraction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2), 241-262.) 

  7. 김영국 (2008). 수학적 표현의 교수학적 의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7(2), 155-168.(Kim, Y. K. (2008). On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7(2), 155-168.) 

  8. 김옥경 (199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개념 이해 및 분수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O, K. (1997). A study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ractions for 6th graders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fraction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김용태.신봉숙.최대욱.이순희 (2005). 유추를 통한 분수 연산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4), 715-731.(Kim, Y. T., Shin, B. S., Choi, D. U., & Lee, S. H. (2005). A study on operations with fractions through analogy,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4), 715-731.) 

  10. 김정식 (2005).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J. S. (2005). An analysi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노지선 (2005). Skemp의 관계적 이해를 도입한 고등학교 함수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Noh, J. S. (2005). A study on the measure to teach the function section of high school with Skemp's relational understanding.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12. 명혜경 (2007).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중심 수학 쓰기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Myung, H. K. (2007). The development of the progress based mathematics writing program for improving mathematical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3. 박성택 (2006). 수학 학습 심리와 교수-학습 전략. 서울: 경문사.(Park, S. T. (2006).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eoul: Kyungmoon Sa.) 

  14. 박정.정은영.김경희.한경혜.이서영 (2004).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E 2004-3-2.(Park, J., Jeong, E. Y., Kim, K. H., Han, K. H. & Lee, S. Y. (2004).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03 result report,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tion RRE 2004-3-2.) 

  15. 방정숙.이지영 (2009).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도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85-304.(Bang, J. S., & Lee, J. Y. (2009). An analysi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3(2), 285-304.) 

  16. 신준식 (1996). 실제적 접근 방법에 의한 분수 교수-학습 지도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Shin, J. S. (1996).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fraction based on the realistic approach. Doctori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 염석일 (2001). 현실적 수학교육론에 의한 분수지도에 관한 기초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Yeom, S. I. (2001). A study on the teaching of fractions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Master's Thesis,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유현주 (1995). 분수개념의 교수현상학적 분석과 학습 지도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Yoo, H. J. (1995). A study on ways of instructing an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fraction concept.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이종희.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2(2), 219-237.(Lee, C. H., & Kim, S. J. (2010).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 2003.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2(2), 219-237.) 

  20.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2), 247-261.(Lee, C. H., Kim, S. H., Kim, S. J., Kim, K. Y., Kim, B. M., Yoon, S. C., & Kim, Y. M. (2011).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247-261.) 

  21. 조병윤 (1992). 분수계산오류의 효과적인 교정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Joh, B. Y. (1992). A study on effective teaching for the remedy of errors in fraction computatio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2. 조지민.김수진.김미영.옥현진.임해미.손수경 (2012).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에 기초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향상 지원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12-4.(Joh, J. M., Kim, S. J., Kim, M. Y., Ok, H. J. Lim, H. M., & Sohn, S. K. (2012). Supportive way for improving affective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 based on the results of achievement international comparison.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tion CRE 2012-4.) 

  23. 추은영 (2003).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오류와 원인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Chu, E. Y. (2003). An analysis on the errors and their causes in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 with different denominator.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최승현.구자옥.김주훈.박상욱.오은순.김재우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E 2013-8.(Choi, S. H., Koo, J. O., Kim, J. H., Park, S. W., Oh, E. S., & Kim, J. W. (2013). Improvable way of affective characteristic for Korean student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tion RRE 2013-8.) 

  25. 최창우 (2006).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Choi, C. W. (2006).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 Sa.) 

  26. 현동희 (2000).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패턴 블록의 활용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Hyun, D. H. (2000). A study on the method for using the pattern blocks in the mathematiocs class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7. 홍은숙.강완 (2008). 분수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1), 59-78.(Hong, E. S., & Kang, W. (2008). The inform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s of frac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2(1), 59-78.) 

  28. 황민영 (2009).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관계적 이해와 도구적 이해에 기초한 평면도형의 성질 지도 방안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Hwang, M. Y. (2009). A study on the plane figure teaching based on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instrumental understanding of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9. Armstrong, B. E., & Bezuk, N. (1995).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The search for meaning, In J. T. Sowder & B. P. Schappelle (Eds.), Providing a foundation for teaching mathematics in the middle grades (p. 85-119). New York,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0. Behr, M. J., & Post, T. R (1992). Teaching rational number and decimal concepts, In T. R. Post (Ed.),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K-8 : Research-based methods (pp. 201-248).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1. Bezuk, N., & Bieck, M. (1992). Current research on rational numbers and common fractions: Summary and implications. In D. T. Owens (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Middle grade mathematics (pp. 118-136).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2. Bezuk, N., & Cramer, K. (1989). Teaching about fractions: What, when, and how? In P. Trafton (Ed.),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1989 yearbook (pp.156-167). Reston, VA: NCTM. 

  33. Bruner, J. S. (1964). The course of cognitive growth. American Psychologist, 19, 1-15. 

  34. Connell, M. L., & Peck, D. M. (1993). Report of a conceptual change interven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2, 329-350. 

  35. Cramer, K., Post, T., & DelMas, R. (2002). Initial Fraction Learning by Fourth- and Fifth-Grade Students: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Using Commercial Curricula with the Effects of Using the Rational Number Project Curriculum.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2), 111-144. 

  36. Freudental, H. (1983). Fractions,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Netherland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37. Hiebert, J., & Behr, M. (1988). Capturing the major themes. In J. Hiebert & M. Behr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pp. 1-18). Hillsdale, NJ: Erlbaum. 

  38. Kouba, V., Zawojewski, J., & Strutchens, M. (1997). What do students know about numbers and operations? In P. A. Kenney & E. A. Silver (Eds.), Results from the sixth mathematics assess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pp. 87-140). Reston, VA: NCTM. 

  39. Lesh, R., Behr, M., & Post, T. (1987). Rational number relations and proportions.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41-58). Hillsdale, NJ: Erlbaum. 

  40. Moore, R. C. (1994). Making transition to formal pro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 249-266. 

  41. Moss, J., & Case, R. (1999). Develop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rational numbers: A new model and an experimental curriculum.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0, 122-147. 

  42. Skemp, R. R. (1987).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2000). 수학학습 심리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43. Streefland, L. (1982). Subtracting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3, 233-255. 

  44. Post, T., Behr, M., & Lesh, R. (1982). Interpretations of rational number concepts. In L. Silvey & J. Smart (Eds.), Mathematics for Grades 5-9, 1982 NCTM Yearbook (pp. 59-72). Reston, VA: NCTM. 

  45. Vinner, S. (1991). The role of defini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65-81). Dordrecht: Kluwer. 

  46. Watson, J. M., Campbell, K. J., & Collis, K. F. (1993). Multimodal functioning in understanding fraction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2, 4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