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속도와 보행 비대칭에 영향을 미치는 무릎근력과 발목 관절가동범위
Knee Strength and Ankle Range of Motion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Gait Asymmetr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2 no.2, 2015년, pp.1 - 10  

원종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안창만 (전북대학교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mon features of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include decreased gait velocity and increased asymmetrical gait patt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impairments in gait velocity and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30 indepe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속도와 비대칭성에 영향을 미치는 무릎근력과 관절가동범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속도, 시간적 비대칭성 및 공간적 비대칭성을확인하고, 이에 대한 마비측 무릎과 발목 근육의 최대토크, 발목의 수동 및 능동 관절가동범위, 발바닥 굽힘 근의 개정된 개정된 애쉬워쓰 척도, 관절위치감각의 오차각, 안정성한계 점수, 한글판 수정 바델지수의 상관분 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보행의 속도와 비대칭성에 영향을 미치는 손상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 손상요인으로 발목관절의 관절가동범위를 포함시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0명의 보행 가능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편안한 속도에서 보행 시 보행속도 및 비마비측 하지에 대한 마비측 하지의 시공간적 비대칭성을 확인하고, 마비측 하지의 무릎폄근, 무릎굽힘근, 발바닥굽힘근, 발등굽힘근의 근력, 발목관절의 수동관절가동범위와 능동관절가동범위, 발바닥굽힘근의 경직, 무릎과 발목 관절의 위치감각, 균형 등의 손상요인들을 알아본 다음,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보행속도 및 시공간적 비대칭성에 영향을 미치는 손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속도와 비대칭성에 영향을 미치는 손상요인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보행속도및 시간적·공간적 비대칭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마비측 무릎과 발목근육의 최대토크, 발목의 수동 및 능동 관절가동범위, 발바닥 굽힘근의 경직, 관절위치감각, 안정성한계 등에 대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적 비대칭 비는 어떤 공식에 의해 산출되었는가? 시간적 비대칭 비(단하지 지지 비대칭 비)=1-(마비측 단하지 지지시간÷비마비측 단하지 지지시간)
보행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이용된 것은? 보행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GAITRite(GAITRite Electric Walkway, CIR Systems Inc., NY, USA)가 이용되었다. 이 장비의 크기는 3.
뇌졸중 환자의 보행 수행력 감소를 일으키는 손상요 인의 대표적인 것들로는 무엇이 있나? 뇌졸중 환자의 보행 수행력 감소를 일으키는 손상요 인들은 많다. 그 요인들 가운데 대표적인 것들로는 근력 감소, 운동과 감각기능의 손상, 시공간적 지각능력의 감소, 균형의 손상 및 경직 등이 있다(Bohannon과 Andrews, 1990; Dettmann 등, 1987; Freidman, 1990; Nadeau 등, 1999; Suzuki 등, 1999). 이전의 연구들에 의하면 보행속도는 기능장애, 균형, 운동기능, 하지근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ijleveld-Uitman 등, 2013; Taylor-Piliae 등, 2012; van de Port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ijleveld-Uitman M, van de Port I, Kwakkel G. Is gait speed or walking distance a better predictor for community walking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13;45(6):535-540. http://dx.doi.org/10.2340/16501977-1147 

  2. Bilney B, Morris M, Webster K. Concurrent related valid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quantif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3;17(1):68-74. 

  3. Bohannon RW, Andrews AW. Correlation of knee extensor muscle torque and spasticity with gait speed in patien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0;71(5):330-333. 

  4. Bohannon RW, Andrews AW, Smith MB. Rehabilitation goals of patients with hemiplegia. Int J Rehabil Res. 1988;11(2):181-184. 

  5. Bohannon RW, Walsh S. Nature,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ue of muscle performance measure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21-725. 

  6. Davis RB, Deluca PA. Gait characterization via dynamic joint stiffness. Gait Posture. 1996;4(3):224-231. 

  7. De Quervain IA, Simon SR, Leurgans S, et al. Gait pattern in the early recovery period after stroke. J Bone Joint Surg Am. 1996;78(10):1506-1514. 

  8. Dettmann MA, Linder MT, Sepic SB. Relationships among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 J Phys Med. 1987;66(2):77-90. 

  9.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7):974-980. 

  10. Forrester LW, Roy A, Krebs HI, et al. Ankle training with a robotic device improves hemiparetic gait after a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1;25(4):369-377. http://dx.doi.org/10.1177/1545968310388291 

  11. Friedman PJ. Spatial neglect in acute stroke: The line bisection test. Scand J Rehabil Med. 1990;22 (2):101-106. 

  12. Gao F, Grant TH, Roth EJ, et al. Changes in passi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astrocnemius muscle at the muscle fascicle and joint levels in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5):819-826. http://dx.doi.org/10.1016/j.apmr.2008.11.004 

  13. Holden MK, Gill KM, Magliozzi MR, et al. Clinical gait assessment in the neurologically impaired. Reliability and meaningfulness. Phys Ther. 1984; 64(1):35-40. 

  14. Hsu AL, Tang PF, Jan MH.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 1185-1193. 

  15.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27-32. 

  16. Kim CM, Eng JJ. The relationship of lower-extremity muscle torque to locomotor performance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3;83(1):49-57. 

  17. Knutsson E. Gait control in hemiparesis. Scand J Rehabil Med. 1981;13(2-3):101-108. 

  18. Ko SU, Stenholm S, Metter EJ, et al. Age-associated gait patterns and the role of lower extremity strength-results from the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rch Gerontol Geriatr. 2012;55 (2):474-479.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2.04.004 

  19. Lin PY, Yang YR, Cheng SJ, et al. The relation between ankle impairments and gait velocity and symmetry in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4):562-568. 

  20. Lin SI. Motor function and joint position sense in relation to gait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2): 197-203. 

  21. Menz HB, Latt MD, Tiedemann A, et al. Reliabil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the quantification of temporo-spatial parameters of gait in young and older people. Gait Posture. 2004;20(1): 20-25. 

  22. Nadeau S, Arsenault AB, Gravel D, et al. Analysis of the clinical factors determining natural and maximal gait speeds in adults with a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1999;78(2):123-130. 

  23. Nasciutti-Prudente C, Oliveira FG, Houri SF, et al. Relationships between muscular torque and gait speed in chronic hemiparetic subjects. Disabil Rehabil. 2009;31(2):103-108. http://dx.doi.org/10.1080/09638280701818055 

  24. Olney SJ, Griffin MP, Monga TN, et al. Work and power in gait of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1;72(5):309-314. 

  25. Pett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2): 304-310. http://dx.doi.org/10.1016/j.apmr.2007.08.142 

  26. Roy A, Forrester LW, Macko RF, et al. Changes in passive ankle stiffness and its effects on gait function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J Rehabil Res Dev. 2013;50(4):555-572. 

  27. Sekiguchi Y, Muraki T, Kuramatsu Y, et al. The contribution of quasi-joint stiffness of the ankle joint to gait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2;27(5):495-499. http://dx.doi.org/10.1016/j.clinbiomech.2011.12.005 

  28. Sekir U, Yildiz Y, Hazneci B, et al. Reliability of a functional test battery evaluating functionality, proprioception, and strength in recreational athlete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Eur J Phys Rehabil Med. 2008;44(4):407-415. 

  29. Studenski S, Perera S, Patel K, et al. Gait speed and survival in older adults. JAMA. 2011;305(1):50-58. http://dx.doi.org/10.1001/jama.2010.1923 

  30. Suzuki K, Imada G, Iwaya T, et al. Determinants and predictors of the maximum walking speed during computer-assisted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2):179-182. 

  31. Taylor-Piliae RE, Latt LD, Hepworth JT, et al. Predictors of gait velocity among community -dwelling stroke survivors. Gait Posture. 2012;35(3): 395-399.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1.10.358 

  32. Titianova EB, Tarkka IM. Asymmetry in walking performance and postural sway in patients with chronic unilateral cerebral infarction. J Rehabil Res Dev. 1995;32(3):236-244. 

  33. van de Port IG, Kwakkel G, Lindeman E. Community amb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How is it related to gait speed? J Rehabil Med. 2008; 40(1):23-27. http://dx.doi.org/10.2340/16501977-0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