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종단효과
The Short-term Longitudinal Effec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Creativ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4, 2015년, pp.2537 - 2547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험연구로서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종단적 효과를 검증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는 실험집단 36명과 통제집단 31명, 총 67명의 예비유아교사와 실험집단의 유아 65명, 통제집단의 유아 6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예비유아교사 및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TTCT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고, 본 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확인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 참여여부 및 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7 pre-service teachers in Seoul, Kyungggi-do, and Chungcheong-do, Korea. Thirty-six pre-service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년도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방법을 따르는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에서 유아교사에 이르기까지의 창의성 변화에 창의성프로그램의 실시 여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은 세 시점이나 그 이상의 여러 시점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측정된 종단 연구 자료에 대하여 집단의 평균뿐만 아니라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차가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19].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종단적 효과를 검증해보고자하였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와 이후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뿐 아니라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유아를 위한 창의적인 활동과 수업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 프로그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교사가 된 이후 유아의 창의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는 무변화 모형(Fig 3)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이 일정하게 변화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선형 변화모형(Fig 4)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여부가 사후점수와 2차 사후점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 연구모형 Fig 5)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TCT 도형 B형 검사는 어떤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TTCT 도형검사는 세 가지 활동(그림 구성하기, 그림 완성하기, 선 그리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10분으로 총 30분이 소요된다.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는 확산적 사고능력의 하위요인인 정교성, 유창성, 독창성, 추상적 사고 등을 평가한다.
2014년 기준 보육교사 자격 이수 과목은 몇 개 인가? 이러한 이유로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실질적으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유아 및 보육관련 학과에서 창의성을 교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학과는 소수이다. 2014년 현재 보육교사의 질 강화를 위해 보육교사 자격 이수 과목이 17개로 늘어났지만, 창의성 교과는 포함되지 않았다. 유치원교사 자격증 교과목에도 창의성 교과는 포함되지 않고 있다.
최근 교육분야에선 어떤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가? 최근 들어 사회문화적으로 창의적인 인재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면서 교육에서도 창의성을 중요시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정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유치원부터 초·중등 및 대학교육에 이르기까지 창의·인성교육을 교육지표로 제시하였으며, 창의·인성교육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1]라는 내용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Science & Creativity. Review on creativity / character education., 2010. 

  2. H. Kim, Multilevel data analysis on the variables of teacher and young children related to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Doctoral Dissert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7. 

  3. I. R. Lee, K. Kemple, Preservic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and Engagement in Creative Activities as Predictors of Their Support for Children's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6(1), pp. 82-94, 2014. DOI: http://dx.doi.org/10.1080/10400419.2014.873668 

  4. S. J. Park,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al program for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nd its effects. Doctoral Dissertation of Dong-Eui University, 2013 

  5. J. S. Horng, J. C. Hong, L. J. ChanLin, S. H. Chang, H. C. Chu, Creative teachers and creative teaching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5, pp. 352-358,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470-6431.2005.00445.x 

  6. J. L. Rinkevich, Creative teaching: Why it matters and where to begin. Clearing House, 84(5), pp. 219-223, 2011. 

  7. J. M. Shaw, M. T. J. Cliatt, A model for training teachers to encourage divergent thinking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2), pp. 81-88, 1986. DOI: http://dx.doi.org/10.1002/j.2162-6057.1986.tb00421.x 

  8. G. Bramwell, R. C. Reilly, F. Lilly, N. Kronish, R. Chennabathni, Creative teachers. Roeper Review, 33(4), pp. 228-238, 2011. DOI: http://dx.doi.org/10.1080/02783193.2011.603111 

  9.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Creative and Cultural Education . All our futures: 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 (London, DfEE), 1999. 

  10. M. J. Petrowski, Creativity research: Implications for teaching, learning and thinking. Reference Services Review, 28, pp. 304-312, 2000. 

  11. R. D. Strom, P. S. Strom, Changing the Rules: Education for Creative Thinking.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6, pp. 183-200, 2002. DOI: http://dx.doi.org/10.1108/00907320010359623 

  12. G. B. Esquivel, Teacher behaviors that foster creativit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7(2), pp. 185-202, 1995. DOI: http://dx.doi.org/10.1007/BF02212493 

  13. G. Kaufmann, What to measure? A new look at the concept of creativity.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3), pp. 235-251, 2003. DOI: http://dx.doi.org/10.1080/00313830308604 

  14. K. E. Kim, Emotions, Openness to exper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8(1), 1-18. 2011. 

  15. J. H. Lee, Analysi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n creativity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s . Mater Dissertation of Seong Shin Women University, 2011. 

  16. T. C. Pannells, The effects of training preservice teacher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lassroom man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2011. 

  17. O. J. Par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of Pai Chai University, 2008. 

  18. J. A. Slabbert, Creative in education revisited: reflection aid of progression.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8(1), pp. 60-69, 1994. DOI: http://dx.doi.org/10.1002/j.2162-6057.1994.tb00720.x 

  19. J. J. Yoon, H. J.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ity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0(3), pp. 239-261, 2010. 

  20. Y. C. Kim, The menaual for Torrance Test. Seoul: The Institute of Chungang Aptitude Test, 1999. 

  21. S. H. Hong, S. K. You,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gy, 18(1), pp. 381-392, 2004. 

  22. A. Aljughaiman, E. Mowrer-Reynolds,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e student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9, pp. 17-34, 2005. DOI: http://dx.doi.org/10.1002/j.2162-6057.2005.tb01247.x 

  23. K. E. Kim,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2), pp. 1-21, 2013. 

  24. C. C. Kuang, Applying the DISCOVER model to nurture creativit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27, pp. 300-310, 2011. DOI: http://dx.doi.org/10.1177/026142941102700307 

  25. J. S. C. Simplicio, Teaching classroom educators how to be more effective and creative teachers. Education, 120(4), pp. 675-680, 2000. 

  26. D. M., McConnell, J. E. Le Capitaine, The effects of group creativity training in teachers' empathy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Reading Improvement, 25, pp. 269-275, 1988. 

  27. A. Craft, "Little c" creativity. In A. Craft, B. Jeffrey, & M. Leibling (Eds.), Creativity in education (pp. 45-61). New York: Continuum, 2001. 

  28. R. Richards, Everyday creativity: Our hidden potential. In R. Richards (Ed.), Everyday creativity and new views of human nature: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perspectives (pp. 25-5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7. DOI: http://dx.doi.org/10.1037/11595-001 

  29. D. Ambrose, Creativity in teaching: Essential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s. In J. C. Kaufman & J. Baer (Eds.),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p. 281-298).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5. 

  30. F. G. Rejskind, TAG Teachers: Only the creative need apply. Roeper Review, 22, pp. 153-157. 2000. DOI: http://dx.doi.org/10.1080/027831900095540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