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든 분야에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2010년부터 학술지에 실린 101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학문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물인터넷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주제가 기술과 산업에 치중되어 있었고, 그중에도 기술 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기술 분야에서도 최근 사물인터넷의 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제안이 대부분이었다. 사물인터넷의 연구방법은 시험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문헌고찰도 상당부분 차지하였다. 사물인터넷을 연구한 학문분야도 공학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일부 사회과학분야의 연구도 있었다. 사물인터넷은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볼 때, 향후 기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산업, 서비스, 정책과 제도 분야의 연구를 다양한 학문분야와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든 분야에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2010년부터 학술지에 실린 101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학문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물인터넷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주제가 기술과 산업에 치중되어 있었고, 그중에도 기술 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기술 분야에서도 최근 사물인터넷의 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제안이 대부분이었다. 사물인터넷의 연구방법은 시험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문헌고찰도 상당부분 차지하였다. 사물인터넷을 연구한 학문분야도 공학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일부 사회과학분야의 연구도 있었다. 사물인터넷은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볼 때, 향후 기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산업, 서비스, 정책과 제도 분야의 연구를 다양한 학문분야와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on the Internet of Things(IoT) which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ICT. This meta-analysis analyzes 101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focusing on research topics, methods and the fields of study. Th...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on the Internet of Things(IoT) which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ICT. This meta-analysis analyzes 101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focusing on research topics, methods and the fields of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earch topics of most used studies were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ssues, and especially in the technical field, the major topic was suggesting new IoT technology. The most research method was testing research followed by the literature review. Even though engineers are holding the mainstream of the IoT technology, some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release their articles nowa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oT has a great ripple effect both technologically and socioculturally, and researches need to be vitalized in the fields of industry, service, policy and institution as well as technological fields. In addition, the research for the future should extend methodological diversity and take more convergence approaches in a variety of fiel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on the Internet of Things(IoT) which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ICT. This meta-analysis analyzes 101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focusing on research topics, methods and the fields of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earch topics of most used studies were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ssues, and especially in the technical field, the major topic was suggesting new IoT technology. The most research method was testing research followed by the literature review. Even though engineers are holding the mainstream of the IoT technology, some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release their articles nowa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oT has a great ripple effect both technologically and socioculturally, and researches need to be vitalized in the fields of industry, service, policy and institution as well as technological fields. In addition, the research for the future should extend methodological diversity and take more convergence approaches in a variety of field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사물인터넷이 산업과 사회의 변화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기술의 소개 측면에 치중되어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물인터넷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사물인터넷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국내 사물인터넷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사물인터넷에 관한 연구논문 중에서 학술진흥재단의 등재후 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과 정규학술단체인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연구대상 으로 하였다.
사물인터넷 연구를 위해 주로 어떠한 연구방법들이 사용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논문들에서 이용한 연구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험 (모델제안)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 방법
분류 기준은 대분류로 하였으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농수해양학, 예술체육학, 복합학의 8개 학문분야로 분류하였다.
분석 논문은 학술논문 원문정보제공 사이트인 KISS와 DBPIA, 그리고 학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사물인터넷’, ‘사물지능통신’이라는 검색어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원문논문을 리뷰하며 분석하였다. 학술논문 검색사이트에서 사물인터넷 관련 논문이 최초로 검색된 2010년부터 2015년 8월까지 발행 된 101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사물인터넷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논문의 연구연도, 연구주제, 연구방법, 학문분야를 분석하였다. 연구연도의 경우 학술지에 표기 된 연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연도의 경우 학술지에 표기 된 연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는 사물 인터넷의 기술, 산업, 서비스, 정책,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는 연구동향을 좀 더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각 분야별로 세부분류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는 사물 인터넷의 기술, 산업, 서비스, 정책,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는 연구동향을 좀 더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각 분야별로 세부분류를 통해 분석하였다. 기술의 경우 기술표준, 기술제안, 기술동향, 기술소개, 기술응용으로, 그리고 산업은 산업 응용 및 융합, 비즈니스 전략, 산업전망 및 파급효과로 세분화하였다.
기술의 경우 기술표준, 기술제안, 기술동향, 기술소개, 기술응용으로, 그리고 산업은 산업 응용 및 융합, 비즈니스 전략, 산업전망 및 파급효과로 세분화하였다. 서비스는 서비스 전략, 서비스 이용자로, 정책은 법제, 정책개선, 제도개선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의 분류는 문헌고찰, 사례분석, 서베이, 인터뷰, 시험(모델분석), 수리적 예측 및 분석, 기타로 구분하였다.
서비스는 서비스 전략, 서비스 이용자로, 정책은 법제, 정책개선, 제도개선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의 분류는 문헌고찰, 사례분석, 서베이, 인터뷰, 시험(모델분석), 수리적 예측 및 분석, 기타로 구분하였다. 하나의 논문에서 2개 이상의 연구방법을 활용한 경우에 활용한 모든 방법론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의 분류는 문헌고찰, 사례분석, 서베이, 인터뷰, 시험(모델분석), 수리적 예측 및 분석, 기타로 구분하였다. 하나의 논문에서 2개 이상의 연구방법을 활용한 경우에 활용한 모든 방법론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학문분 야는 사물인터넷 논문이 실린 학술지에 대한 한국 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체계에 따랐다.
기술에 관한 연구주제를 다시 기술표준, 기술제안, 기술동향, 기술특징(소개), 기술응용으로 세분 하여 살펴보았다. 기술 분야 연구에서는 기술제안 관련 논문이 33건으로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Q방법론을 통해 사물인터넷 이용자들의 사용동기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가 초래할 인간 배제, 인간과 기계의 동일화, 투명한 사생활 노출과 같은 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존재론적 토대를 메를로퐁 티의 몸과 환경과의‘감각적∙순환적 상호작용’, ‘살의 상호세계’에 입각해 모색하였다.
손영우(2015)는 기술로서의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글로벌 기업들의 주력 분야의 플랫폼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문헌을 중심으로 한 계량정보 분석과 미래 유망영역 탐지를 위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키워드 매핑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김화자(2015)는 사물인터넷과 연결된 인간을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사물인터넷 연구가 어떤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문분야의 분류는 해당 논문이 게재된 논문지에 대한 한국연구재단 분류의 대분류를 따랐다.
대상 데이터
국내 사물인터넷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사물인터넷에 관한 연구논문 중에서 학술진흥재단의 등재후 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과 정규학술단체인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연구대상 으로 하였다. 분석 논문은 학술논문 원문정보제공 사이트인 KISS와 DBPIA, 그리고 학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사물인터넷’, ‘사물지능통신’이라는 검색어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원문논문을 리뷰하며 분석하였다. 학술논문 검색사이트에서 사물인터넷 관련 논문이 최초로 검색된 2010년부터 2015년 8월까지 발행 된 101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논문은 학술논문 원문정보제공 사이트인 KISS와 DBPIA, 그리고 학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사물인터넷’, ‘사물지능통신’이라는 검색어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이론/모형
하나의 논문에서 2개 이상의 연구방법을 활용한 경우에 활용한 모든 방법론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학문분 야는 사물인터넷 논문이 실린 학술지에 대한 한국 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체계에 따랐다. 분류 기준은 대분류로 하였으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농수해양학, 예술체육학, 복합학의 8개 학문분야로 분류하였다.
사물인터넷 연구가 어떤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문분야의 분류는 해당 논문이 게재된 논문지에 대한 한국연구재단 분류의 대분류를 따랐다.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농수해양학, 예술체육학, 복합학의 8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나 실제로는 공학 등 6개분야에 국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효과
사물인터넷의 산업전망과 파급효과를 연구한 정우수 외(2013)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세 가지를 제안하고 있어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대∙중소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 환경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술과 타산업분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영역의 서비스가 개발되고 확산되려면 생태계를 구성하는 정부, 기업, 국민 등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술과 타산업분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영역의 서비스가 개발되고 확산되려면 생태계를 구성하는 정부, 기업, 국민 등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산업기반을 구성하는 IoT 핵심기술 개발과 서비스 모델 발굴 등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이 사람들의 생활을 윤택하고 편리하게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 연구를 위해 주로 어떠한 연구방법들이 사용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논문들에서 이용한 연구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험 (모델제안)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제 분석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던 기술제안이 주로 시험(모델제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사회구성체의 운영체제와 논리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하여, 인간의 노력과 자원투자가 이전과는 비교 할 수 없는 효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즉, 인간의 노력과 자원투자는 절반으로 줄고, 반면 사회적 효용은 투입대비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다. 특히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산업분야에 빅뱅이 발생하여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가 창출될 것 으로 예상된다.
후속연구
사물인터넷은 ‘사물과 사물’ 의 연결에서 ‘사람과 사물∙공간’을 넘어 ‘온∙오프 라인이 연결돼 지능화되는 초연결 사회’를 가시화 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즉,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편리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회로 발전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시장전망 업체인 가트너(Gatner)는 사물인터넷 시장이 2013년 389억 달러의 규모에서 2020년 에는 2,628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하여, 연평균 31.
사물인터넷의 보안 기술은 프로토콜,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부분을 포함하지만 이용자의 정보보호 및 사생활 보호에 관한 기술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용자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이슈는 사물인터넷의 성패를 가릴 수 있는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술진화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사적정보의 누출이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기술과 대비를 통해 신뢰가 확보되어야만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산업분야의 연구는 단순히 사물인터넷의 산업응용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이러한 요소를 충분히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사물인터넷이 서비스 초창기로 아직 서비스 현황에 대한 연구를 위한 분위기가 무르익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분야는 향후 연구를 보다 활성화해야 할 대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 물인터넷의 국내외 사례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전 분야에 걸친 연구가 이루어진 결과이다. 향후 각 주제별로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서베이, 심층면접 등의 연구방법 활용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특히 산업분야에 사물인터넷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 지, 아울러 관련 산업이 어떻게 활성화 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사물인터넷이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이며, 한창 성장하고 있는 산업임을 고려했을 때, 지금까지의 연구가 공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는 좀 더 다양해지고 모든 학문분야에 걸쳐서 폭넓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사물인터넷의 시대가 성숙할수록 사물인터넷은 전 분야에 걸쳐 그 일부가 된다.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그 파급효과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사물인터넷에 대한 연구 분야도 기술측면에 국한되기 보다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산업분야에 사물인터넷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 지, 아울러 관련 산업이 어떻게 활성화 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사물인터넷의 사회적 수용을 위해 법학 등에서의 접근과 연구도 필요하다.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여러 방식의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이 우리 사회의 발전을 추동하고,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연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차원의 학문적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인터넷을 적용하거나 혹은 응용할 수 있는 산업분야는 무엇인가?
사물 인터넷 시장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고, 파급효과는 아주 클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적용 하거나 혹은 응용할 수 있는 산업분야는 농림수산업, 전력/가스/수도, 건설, 도소매업/음식업/숙박업 /운수, 금융 및 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공공행 정/국방, 교육/보건, 사회 및 기타서비스로 분류되고 있다. 아울러 사물인터넷 활성화와 직접 관련된 산업으로는 정보통신산업, ICT산업 분야라 할 수 있다(정우수∙김사혁∙민경식, 2014).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사물인터넷은 모든 사물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지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언제 어디서나 무엇이든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인간의 개입 없이도 주변상황을 감지하고 통신하며 상호 협력하여 적절한 정보처리와 제어를 하는 기술과 서비스이다(김종덕, 2015: 15). 모든 사물에 컴퓨터 칩을 탑재하고, 이 칩들이 인터넷과 연결하여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사람과 사물을 동시적, 비동시적으로 연결하는 인터넷 기술을 통칭한다.
사물인터넷의 법제 및 정책관련 분야에서 정책적으로 주요 관심사는 무엇인가?
나아가서는 사물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계층 간 정보격차의 문제, 그리고 막대한 정보의 교환에 따라 나타날 트래픽을 둘러싼 법적인 쟁점의 해결방안 등도 논쟁사항이다. 그리고 정책적으로는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정책 쟁점, 해외의 정책 관심사과 쟁점의 해결방안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