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미 김의 물리적 위해요소와 화학적 위해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Risk and Chemical Risk Analaysis of Seasoned Lav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620 - 626  

황용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김진곤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권상철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북 진천지역의 조미 김 제조업체의 조미 김의 굽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김의 산도와 과산화물가 그리고 색상변화와 금속검출기의 한계기준설정을 통해 화학적, 물리적 위해분석을 하였다. 구이 김의 명도(L값)과 적색도(A값)은 대조구 보다 더 밝았으며, 황색도(B값)은 400도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이 온도가 높을 수 록 색상이 탈색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검출기의 한계기준 설정 결과는 Fe과 Sus가 감도 50일 때는 철 ${\Phi}1.2mm$와 서스 ${\Phi}1.5mm$에서 불검출이 되었고, 60에서 100% 검출되었기 때문에 감도 60으로 결정하였다.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는 온도가 높을 수 록 증가하였으며, 과산화물가는 유지 산패의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로 식품공전에서의 조미 김 과산화물가는 유처리 한 김에 한하여 60.0 meq/kg 이하 이며,산가는 식품공전에 기재 된 조미 김의 산가 규격인 4.0 mg/KOH/g 이하였다. 그 결과, 구운 김은 5초 동안 $300^{\circ}C$로 구웠을 때 가장 안전한 김으로 확인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chemical and physical hazard analysis on the acidity, peroxide value, color removal, and limit criteria of metal detector of roasted laver. The Hunter color L- and a-value of roasted laver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nd the b-value was higher at $400^{\circ}C$.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조미 김의 생산·제조 공정 중 문제가 될 수 있는 물리적 위해요소인 금속 이물 집중관리 방법을 살펴보고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미 김의 색도를 통해 영양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고 산가 및 과산화물가 실험을 통해 조미 김의 유지로 인한 화학적 위해요소가 없는지 실험하여 시판되고 있는 조미 김이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운 김의 산도 그리고 과산화물가, 색상제거, 금속 검출기의 한계기준으로 화학적, 물리학적 위해 분석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구운김의 명도(L값)과 적색도(a값)는 대조구보다 더 밝았으며, 황색도(B값)은 40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은 어떤 방식으로 섭취되는가? 또한 많은 아시아 지역사람들이 즐겨 먹는 식품이다.[1,2] 김은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이용하여 구워먹기도 하고 자반 등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특히 소금 등을 이용하여 조미한 김은 입맛을 사로잡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의 김 양식 사업으로 인해 대량 생산, 해외 수출 등이 활발해지고 있다.
김은 어떤 식품인가? 김은 홍조류 중 하나로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이 풍부한 식품 중 하나이다. 특히 비타민A, 무기질, 식이섬유질이 풍부하고 채소류와 비교해서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많은 아시아 지역사람들이 즐겨 먹는 식품이다.[1,2] 김은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이용하여 구워먹기도 하고 자반 등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김에 포함된 영양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김은 홍조류 중 하나로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이 풍부한 식품 중 하나이다. 특히 비타민A, 무기질, 식이섬유질이 풍부하고 채소류와 비교해서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많은 아시아 지역사람들이 즐겨 먹는 식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aung H. L., Wang B. G., "Antioxidant capacity and liopphilic content of seaweeds collected from the Qungdao coastline", J Agric Food Chem, 52, pp. 4993-4997, 2004. DOI: https://doi.org/10.1021/jf049575w 

  2. Jimenez E. A., Goni C. I.,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nle seaweeds", Arch Latinoam Nutr 49, pp. 114-120, 1999. 

  3. H. J. Lee, J. I. Choi, S. J. Choi,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Korean Dried Laver Porphyra Products", Kor J Fish Aquat Sci, vol. 45, no. 5, pp. 409-413, 2012. DOI: https://doi.org/10.5657/kfas.2012.0409 

  4. T. W. Kim, J. H. Choi, J. M. Kim, Tian Ding SME, Rahman, G. J. Pahk, D. H. Oh, J. Dd Hyg, "Quality Evaluation of Edible Ices on the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J Fd Hyg Safety 24, pp. 86-93, 2009. 

  5. S. C. Kwon, "Microbiological Evaluation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of Green Vegetable Juice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1, pp. 4924-4931,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11.4924 

  6. J. S. Han, Y. J. Lee, M. R. Yoon, "Changes of Chromaticity and Mineral Contents of Laver Dishes using Various Cooking Methods", J. East Asian Soc, 13, 4, 2003. 

  7. S. I. Cho, C. H. Jung, N. J. Choi,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Metal Detector in Food", Proceedings of The KSAM 1997 Summer Conference 1997 June, pp. 157-163, 1997. 

  8. S. G. Chea, G. S. Gang, Y. D. Ryu, S. J. Ma, G. W. Bang, M. H. Oh, S. H. Oh.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er, Gyeonggi-do, Korea. pp. 336-350, 2007. 

  9. K. H. Lee, S. H. Song, I. H. Jung.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1, Quality evaluation of different grades of dried lavers and it's changes during storage", Bull Korean Fish Soc, 20, 5, pp. 408-418, 1987. 

  10. K. H. Lee, S. H. Song, I. H. Jeong,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2. Quality stability of roast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Bull Korean Fish Soc, 20, pp. 520-528, 1989. 

  11. KFDA.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367-368, pp. 383-385, 2005. 

  12. G. E. Lee, S. J. Park, Y. K. Jung, G. B. Go, B. G. Son, J. S. Je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mul-kim bugak Using Aster yomena", Korean J Food Cook Sci, vol. 32, no. 1, pp. 50-57, 2016. DOI: https://doi.org/10.9724/kfcs.2016.32.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