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기호도 및 대중화방안 연구 - 사찰음식전문점을 이용한 내·외국인대상으로
A Study on Recognition, Preferenc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 Among Local and Foreign Restaurant Visito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1, 2017년, pp.53 - 62  

문양수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심열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temple food and to find systematic methods improving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304 temple food restaurant visitors, including 232 local and 7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찰음식 전문점을 방문한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과 섭취현황 및 사찰음식 기호도와 개선방안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 향후 사찰음식의 대중화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찰음식의 대중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사찰음식에 관심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흔하지 않은 식재료의 사용, 독특한 조리법, 표준화된레시피 부재 등의 이유로 현재까지 대중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건강에 유익한 사찰음식을 보급하고, 대중화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상품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찰음식 섭취 및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사찰음식의 인지도를 높이고, 대중화 방안을 위해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채식 위주의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 식생활은 경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 서구화 및 주거형태의 변화 등으로 간편성과 편이성을 추구하게 되어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의 소비가 증가하였다[1]. 이러한 식생활 패턴 변화에 따른 과도한 영양섭취와 영양불균형, 육식 위주의 서구식 식생활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고혈압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 이에 따라 채식 위주의 자연식,슬로우푸드, 전통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식사 내용도 채식 위주의 식생활로 변화시키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간편성과 편이성을 추구하게 된 우리나라 식생활의 등장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 식생활은 경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 서구화 및 주거형태의 변화 등으로 간편성과 편이성을 추구하게 되어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의 소비가 증가하였다[1]. 이러한 식생활 패턴 변화에 따른 과도한 영양섭취와 영양불균형, 육식 위주의 서구식 식생활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고혈압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KM, Kwon YS, Kim YS, Kim GC, Kim Y.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Cult 2013; 28(2): 167-176. 

  2. Kim JA. Nutritional evaluation of served menu and management of foodservice in Korean temples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2005. 

  3. Seo JS, Cho SH. Rice-based traditional meal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Food Ind Nutr 2008; 13(2): 27-33. 

  4. Lee SY, Kim JA. A study on temple food intake and health.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6): 691-699. 

  5. Hong GJ, Lee YS, Nam JS, An HK, Lee EJ. A study on the preference determinants of Buddhist temple food. Korean J Food Nutr 2007; 20(4): 384-391. 

  6. Yoo YS, Lee YH. A study on the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Buddhist pries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6; 6(3): 425-434. 

  7. Lee SY, Kim JA.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menu with temple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5): 338-350. 

  8. Shin DK, Jang BJ. A study of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temple food for tourism. Tour Res 2004; 471-482. 

  9. Jang BJ, Yoon S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HAS image of temple food, customer satisfaction, purchasing intention and customer loyalty. Tour Res 2012; 36: 23-44. 

  10. Cha BK, Lee SJ. Dietary nutrient intakes of monks in accordance with the execution time: The case of Unmunsa monk.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7; 7(1): 107-115. 

  11. Hwang EG, Kim SJ, Kim BK, Lee JY. Awareness analysis for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in monks. J Korean Data Inf Sci Soc 2015; 26(6): 1217-1224. 

  12. Sung Y, Seo SY. Awareness of temples food for popularizing traditional temple food preference and food research. Tour Res 2016; 31(5): 311-330. 

  13. Cho YS. A study on recognition, preferenc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master's thesis]. Gyeongju University; 2011. 

  14. Kim JA, Lee SY. Nutritional evaluation of served menu in Korean temples. Korean J Nutr 2007; 40(2): 172-181. 

  15. Cho EJ, Park SH.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dietary pattern and special food. J Korean Soc Food Cult 1994; 9(2): 111-118. 

  16. Jeon HW, Kim KS.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the involvement of temple food: Moderating effect of well-being index. J Hotel Resort 2011; 13(1): 77-99. 

  17. Bae YH. A study of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East Asian Buddh Cult 2015; 22: 635-670. 

  18. Jang JJ, Jeong HS.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targeting Germans residing in Korea. Culi Sci Hos Res 2011; 17(5): 1-14. 

  19. Park SJ, Kim DJ, Shin WS.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 with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82-794. 

  20. Han JS, Kim JS, Kim SY, Kim MS, Kimiko O, Takahisa M.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of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 Sci 1998; 14(2): 188-194. 

  21. Lee JY. Foreign consumers' preference and evaluation on Korean foo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9. 

  22. Jung HJ. A review on the Korean temple foods within the scope of cultural tourism contents. J Korea Contents Assoc 2012; 10(3): 2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