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추출액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anggeng made by Crataegi fructus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225 - 234  

김성수 (호남대학교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사추출액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제품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사추출액 첨가 양갱의 수분함량은 32.0~32.7%로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산사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pH는 6.8~5.1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산도는 0.1~0.7%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와 황색도(b)는 산사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에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산사추출액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경도가 최대 14%까지 증가한다. 관능검사에서 맛, 색, 향,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산사추출액 15%를 첨가한 양갱이 가장 높은 평가결과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산사추출액을 기능성 양갱 제조 시 첨가량은 앙금 대비 15%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가공 식품의 제품개발 및 연구에 산사추출액의 활용도를 높여 가공식품 시장에 도입하였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rataegi fructus extracts(CFE; 0, 5, 10, 15, 20). Increasing the amount of CFE in the yanggeng tended to increased the moisture and acidity, while it decreased the level of p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품재료로서 산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산사추출액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제품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산사추출액을 첨가하지 않은 양갱의 수분함량은 32.
  • 산사추출액 첨가에 따른 양갱의 관능검사는 조리과학을 전공하는 훈련된 대학생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시료의 관능적인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시 사용한 척도는 9점 기호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특성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 이에 우리 전통 천연 식품소재로서 다양한 생리활성이 검증된 산사를 이용하여 양갱을 개발하였고, 산업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산사 추출물을 이용한 양갱의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최적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천연 식품소재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가공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본 연구를 설계하였다. 이에 우리 전통 천연 식품소재로서 다양한 생리활성이 검증된 산사를 이용하여 양갱을 개발하였고, 산업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산사 추출물을 이용한 양갱의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최적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천연 식품소재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가공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에 함유된 유기산의 종류는? 우리나라 각지의 산야와 계곡에서 자생하며,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실로서 장미과(Rosacease)에 속하고, 특유의 향과 단맛, 신맛을 가지고 있다. 산사는 crataego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cholrogenic acid, caffeic acid, oleanolic acid, ursolic acid 등의 유기산과 cuercetin, vitexin, epi-catechin, rutin 등의 flavonoids계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lipase, vitanin C, pectin, carotene, Na, Fe 등을 함유하고 있다 (Hong SS et al 2002). 산사는 건위, 소화(Park S J․Rha YA 2013), 수렴, 진통(허준 2001), 살균, 살충에 효능이 뛰어나고, 숙취에도 좋은 효과가 있으며, 순환계 질환(Seo BI 2005), 고지혈증(Lee HJ․Choi MS 1999), chitin synthaseII 저해(Jeong TS et al 1999), HIV-I protease 저해(Min BS et al 1999) 등의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사의 이명은 무엇인가? 약용식물은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 생리활성 물질들로 인한 효능을 인정받아 예로부터 한의학및 민간요법에서 식품, 기호음료, 한방, 의학에서 널리 통용되어 왔다(Lee MK et al 2004). 산사(山 査, Crataegi fructus)는 아가위, 적과자 등의 이명으로 불리며, 식용, 약용 및 관상수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Jeong TS et al 1999). 우리나라 각지의 산야와 계곡에서 자생하며,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실로서 장미과(Rosacease)에 속하고, 특유의 향과 단맛, 신맛을 가지고 있다.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사추출액을 첨가한 양갱의 pH 변화는 어떠한가? 71로 보고된 연구 (Oh HL et al 2012; Seo HM․Lee JH 2013)와 유사하였다. 산사추출액이 증가할수록 pH는 6.6~5.1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사추출액의 산도는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허준 (2001). 동의보감. 근영출판사, p.325, 서울.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25-132, Washington, D.C, USA. 

  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26, Washington, D.C, USA. 

  4. Choi YW, Jung HS, Yoon GS (2000).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Korean J of Food Preserv 7(3):256-261. 

  5. Choi YO (2000). Studie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functional soybean curd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Master thesis, Catholic Taegu University. 

  6. Hong SS, Hwang JS, Lee SA, Han XH, Ro JS, Lee KS (2002).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Kor J Pharmacogn 33:285-290. 

  7. Jeon SW, Hong CO, Kim D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yanggaengs added with natural coloring ingredients. J Res Institute Eng & Technol 12(1):19-34. 

  8. Jeong BM (2004). Nutritional components of yanggeng prepared by different ratio pumpki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14-618 

  9. Jeong TS, Hwang EI, Lee HB, Lee ES, Kim YK, Min BS, Bae KH, Kim SU (1999). Chitin synthase II inhibitory activity of ursolic acid, isolated from Crataegus pinnatifida. Plants Med 65(3):261-263. 

  10. Joo DS, Cho SY (1998). Conditions for the processing of sea mustard yangkeng. J of East Coastal Reseach 9(1):19-32. 

  11. Jung HS, Lee JS, Yoon H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sweetened eith trehalose and textural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Culinary Research 20(3):113-124. 

  12. Kae ES, Wang CJ, Lin WL, Yin YF, Wang CP, Tseng TH (2005). Anti-inflavonoid contents from dride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in vitro and in vivo. J Aric Food Chem 53:430-436. 

  13. Kang IH, Cha JH, Lee SW, Kim HJ, Kwon SH, Han IH, Hwnag BS, Whang WK (2005).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h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Kor J Parmacogn 35:121-128. 

  14. Kang KC, Park JH, Baek SB, Jin HS, L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logy. Korea J Food Sci Technol 24(1):74-81. 

  15. Kang MA (2003).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degree of health food of cooks in a special grade hotel.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16. Kim A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ulberry fruit syrup.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1):62-67. 

  17. Kim DS, Choi SH, Kim HR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Curcuma longa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20(2):27-37. 

  18. Kim JS, Lee KD, Kwon JH, Yoon HS (1993).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ther extract i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nd Terminalia chebularets. J Korean Agric Chem Soc 36(3):203-207. 

  19. Kim SJ, Kim CK,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f 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3):310-316. 

  20. Koh. KJ, Shin DB, Lee YC (199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 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il 29:854-859. 

  21. Lee HJ, Choi MS (1999). Measurement of inhibitory activeities on 3-hydroxy-3-methylglutayl CoA reductase and Acyl-CoA: Cholestrol acyltransferase by various plant extract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958-962. 

  22. Lee JJ, Lee HJ (2012). Comparisons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Crataegi fructus. Korean J Food Preserv 19(4):569-576. 

  23. Lee JW, Do JH(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the by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J E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769-775. 

  24.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1):36-42. 

  25. Lee SM, Choi Y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by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5):769-775. 

  26. Min BS, Huong HT, Kim JH, Jun HJ, Na MK, Nam NH, Lee HK, Bae K, Kang SS (2004). Furo-1,2-naphthoquinones from Crataegus pinnatifida with ICAM-1 expression inhibition activity. Planta Med 70(12):1166-1169. 

  27. Min BS, Jung HJ, Lee JS, Kim YH, Bok SH, Ma CM, Nakmura N, Hattori M, Bae K (1999). Inhibitory effect of triterpenes from Crataegus pinnatifida on HIV-I protease. Planta Med 65:374-375. 

  28. Oh HL, Ahn MH, Kim NY, Song JE, Lee SY, Song RM, Park JY, Kim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eng with added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ncentra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1):1-8. 

  29. Park SJ, Rha YA (2013). Component analysis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fermented Crataegi fructus extract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9(5):136-145. 

  30. Park SJ, Han KS, Yoo SM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rataegi fructus. Korean J Food & Nutr 25(3):413-418. 

  31. Park YO, Choi JH, Choi JJ, Yim SH, Lee HC, Yoo M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pear juice and dried pear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18(5):692-699. 

  32. Pyo SJ (2011). Optimization of yanggaeng proc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juice. Master-thesi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University. 

  33. Pyo S, Joo N (2011). Optimization of yanggaeng proc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Culture 26(3):283-294. 

  34. Seo BI (2005). Preventive effects if water extracts from on Crataegi fructus on hyperlipiderma and liver damage induced by alcohol. Kor J Herbology 20:35-43. 

  35. Seo HM, Lee JH (2013).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yanggaeng incorporated with black sesam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43-147. 

  36. Song JC, Park NK, Hur HS, Bang MH, Bae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2):98-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