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Incorporated with Mugwort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313 - 317  

최인경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호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쑥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양갱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반면 $a^*$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갱의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응집성(cohesiveness)은 쑥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 탄력성(springiness)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p<0.05), 전자공여능에서 보다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소비자 검사결과 2%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쑥 분말의 기능적 잇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첨가농도는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mugwort powder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in food products was investigated using yanggaeng as a model system. Mugwort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yanggaeng at 0, 2, 4, 6, and 8% (w/w) levels by adding mugwort amoun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bean sedi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과 건강기능성을 가진 쑥의 상품성과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실용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양갱의 부재료로써 쑥 분말을 첨가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쑥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정유성분이 있어서 심장병과 빈혈 등에 효과가 있고 알카로이드, 무기질, 비타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한편 오래전부터 여러 형태의 식품으로 이용되어온 쑥은 한방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지혈제, 자궁 출혈 예방, 만성간염, 냉증, 악취 제거, 만성위장염, 소화불량, 중풍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3).
쑥이란? 쑥(Artemisia princeps Pamp.)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 식물로 여러해살이에 해당된다.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산과 들에 자생한다. 종류는 2,000여종에 달하고 그중 우리나라에서는 약 300여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쑥에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쑥은 또한 민간요법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약초 중 하나로 약용으로는 줄기, 식용으로는 어린잎이 사용된다. 정유성분이 있어서 심장병과 빈혈 등에 효과가 있고 알카로이드, 무기질, 비타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한편 오래전부터 여러 형태의 식품으로 이용되어온 쑥은 한방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지혈제, 자궁 출혈 예방, 만성간염, 냉증, 악취 제거, 만성위장염, 소화불량, 중풍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oung HS. 1993.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of Ssooksulgis added with mugwor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 175-180. 

  2. Sim YJ, Paik JE, Chun HJ. 1991. A study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sulgis affected by mugworts. Korean J Soc Food Sci 7: 35-43. 

  3. Kim CH.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sp.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 Korean J Culinary Res 15: 128-138. 

  4. Choi BB, Lee HJ, Bang SK. 2004. Studies on the amino acid, sugar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Artemisia sp. Korean J Food & Nutr 17: 86-91. 

  5. Lee GD, Kim JS, Bae JO,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6. Kim KS, Lee MY. 1996. Effects of Artemisia selengensis methanol extract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81-587. 

  7.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8. Lee CH, Han KH, Choi IS, Kim CY, Cho JK. 1999. Effects of mugwort-water extracts on cadmium toxicity in ra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9: 188-197. 

  9.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added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332-343. 

  10. Lee HJ. 2010. Evalu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95-102. 

  11. Choi EJ, Kim SI, Kim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15-422. 

  12. Jeon SW, Hong CO, Kim D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yanggaengs added with natural coloring ingredient. J Res Inst Eng Technol 12: 19-34. 

  13. Lee SM, Choi E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by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769-775. 

  14. Kim MH, Chae HS. 2011.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supplemented with Codonopsis lanceolata Traut (Benth et Hoo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28-234. 

  15. Han EJ, Kim J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inger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360-366. 

  16. Min SH, Park O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13. 

  17. Ku SK,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sweet jelly (Yanggae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19-226. 

  18. Obanda M, Owuor PO, Taylor SJ. 1997. Flavanol composition and caffeine content of green leaf as quality potential indicators of Kenyan black teas. J Sci Food Agric 74: 209-215.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0. Lee JH, Son SM. 2011.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Food Eng Prog 15: 376-381. 

  21. SAS. 2005. SAS User's Guide. Ver. 9.1. SAS Institute, Cary, NC, USA. 

  22. Yang 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mugwort powder using different puffing proces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40-348. 

  23. Seo YH, Lee CJ, Cho HJ. 1996. A study sensory preference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Gae-Dduck affected by mugwort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69-76. 

  24.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5. Singh N, Rajini PS. 200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potato peel. Food Chem 85: 611-6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