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 감각추구성향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nal and External Boredom Proneness and Game Addiction: Mediation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5, 2015년, pp.317 - 326  

임지영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 및 충청지역 중학생 56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은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내적 권태성향은 감각추구성향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외적 권태성향은 권태민감성, 탈제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감각추구성향은 내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권태성향이 높은 중학생들의 게임중독 개입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boredom proneness and game addiction. For this study, 567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ki and Chungcheong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internal boredom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을 독립변인, 감각추구성향을 매개변인, 게임중독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각추구성향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대한 적절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온 변인들 중 특히 권태 성향과 감각추구성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독립적으로 권태에 작용한다고 알려진 내적 권태성향과 외적 권태성향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각추구성향이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첫째, 전반적인 권태 성향을 다루었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과 달리 내적 권태성향과 외적 권태성향을 구분하였고, 둘째, 권태성향과 감각추구성향, 권태성향과 게임중독, 감각추구성향과 게임중독 간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보고에서 한걸음 나아가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 감각추구성향, 게임중독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독립적으로 권태에 작용한다고 알려진 내적 권태성향과 외적 권태성향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각추구성향이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첫째, 전반적인 권태 성향을 다루었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과 달리 내적 권태성향과 외적 권태성향을 구분하였고, 둘째, 권태성향과 감각추구성향, 권태성향과 게임중독, 감각추구성향과 게임중독 간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보고에서 한걸음 나아가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 감각추구성향, 게임중독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권태성향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한편 권태성향은 외부적인 자극으로부터 권태를 느끼는 외적 권태성향과 자신의 관심과 흥미를 지속하기 어려워하는 내적 권태성향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두 성향은 서로 독립적으로 권태에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권태성향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전반적인 권태성향을 연구대상으로 했다는 제한점이 있다[15].
감각추구성향은 무엇인가? 권태성향과 게임중독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룬 최근의 연구[13]는 권태성향이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임을 검증하고, 후속연구를 통해 권태성향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격특질이나 감각추구성향과 같은 권태관련 변인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증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감각추구성향은 위험과 모험을 감수하면서도 새롭고 강한 감각이나 경험을 추구하려는 욕구로서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게임중독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4].
내적 권태성향과 외적 권태성향이 쉽사리 권태를 느끼는 이유는? 첫째, 내적 권태성향과 외적 권태성향은 모두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는 일반 적인 권태성향이 게임중독과 정적 상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보고들[10][13][34][35]과 유사한 결과로서, 내적 권태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은 자기가 하는 활동에서 즐거움을 찾고 활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과 흥미를 유지하기 어려운 성향 때문에 쉽사리 권태를 느끼게 되고, 외적 권태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은 외부로부터의 새롭고 흥미로운 자극들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성향 때문에 쉽사리 권태를 느끼게 되어 게임을 이용하는 가운데 게임중독에 빠져들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내적 권태성향은 감각추구성향 전체 및 하위요인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외적 권태성향은 게임중독, 감각추구성향 중 권태민감성 및 탈제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R. F. Farmer and N. D. Sundberg, Boredom and boredom proneness: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John Wiley & Sons, Inc., 2010. 

  2. 김경화, 권태성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자각능력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배경미, 성격특성과 권태성향 및 음주행동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임지영, "남자 고등학생의 권태성향과 분노행동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1호, pp.67-89, 2009. 

  5. F. T. Leong and G. R. Schneller, "Boredom proneness: Temperamental and cognitive compon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4, pp.233-239, 1993. 

  6. S. J. Kass and S. J. Vodanovich, "Boredom proneness: Its relationship to Type A behavior pattern and sensation seeking," Psychology: A Journal of Human Behavior, Vol.27, pp.7-16, 1990. 

  7. R. Farmer and N. D. Sundberg, "Boredom proneness-The development and correlates of a new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0, pp.4-17, 1986. 

  8. D. E. Rupp and S. J. Vodanovich, "The role of boredom proneness in self-reported anger and aggression,"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12, No.4, pp.925-936, 1997. 

  9. J. D. Watt and S. J. Vodanovich, "An examination of race and gender differences in boredom pronenes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7, pp.169-175, 1992. 

  10. K. Green, M. Krcmar, L. H. Walters, D. L. Rubin, and J. L. Hale, "Targeting adolescent risk-taking behaviors: The contribution of egocentrism and sensation-seeking," Journal of Adolescence, Vol.23, pp.439-461, 2000. 

  11. 박부환,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C. Lin, S. Lin, and C. Wu,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leisure boredom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dolescence, Vol.44, No.176, pp.993-1004, 2009. 

  13. 임지영, "남자 중학생들의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610-618, 2014. 

  14. 정현성, 인터넷 게임 중독의 선행요인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홍승희, 이승연, "성인기 ADHD 성향과 부적응적 분노행동의 관계: 외적 권태성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215-1233, 2014. 

  16. M. D. Griffiths, "Internet Addiction," The Psyc hologist, Vol.12, No.5, pp.246-250, 1999. 

  17. APA(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2013. 

  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온라인게임 중독 실태와 대응방안 보고서, 2011. 

  19. J. L. Bailey, R. I. Thackray, J. Pearl, and T. S. Parish, "Boredom and arousal: Comparison of tasks differing in visual complexit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43, pp.141-142, 1976. 

  20. M. A. Gabriel, "Boredom: Exploration o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Vol.16, No.2, pp.156-164, 1988. 

  21. N. D. Sundberg, C. A. Latkin, R. Farmer, and J. Saoud, "Boredom in young adults: Gender and cultural comparison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22, pp.209-223, 1991. 

  22. 김아름, 남자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이 공격성 및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이해경,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5-79, 2002. 

  24. 김옥태, "게임중독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제4호, pp.54-62, 2011. 

  25. 손정순, 김봉환,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 사회적지지 및 자기통제력의 차이", 열린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311-323, 2009. 

  26. 이형초, 안창일,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 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7권, 제3호, pp.463-486, 2002. 

  27.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29-239, 2013. 

  28. M. Zuckerman, Sensation Seeking: Beyond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Hillsdale, N.J.: Erlbaum, 1979. 

  29. 김순태,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존중감, 우울, 감각추구성향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0. M. Zuckerman, E. A. Kolin, L. Price, and I. Zoob, "Development of a sensation seek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Vol.28, pp.477-482, 1964. 

  31. 유진, 강필중, "한국형 감각추구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스포츠 참가 예측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49-264, 2003. 

  32. J. Arnett, "Sensation Seeking: A new conceptualization and a new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16, No.2, pp.289-296, 1994. 

  33. J. Boden, The Devil Inside: Boredom Proneness and Impulsive Behavior, In B.D. Pezze & C. Salzani (Ed), Critical Studies Rodopi, pp.203-226, 2009. 

  34. R. M. Ganley, "Emotion and eating in obes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Vol.8, pp.343-361, 1989. 

  35. A. Blaszczynski N. McConaghy, and A. Frankova, "Boredom proneness in pathological gambling," Psychological Reports, Vol.67, pp.35-42, 1990. 

  36. 김광웅, 부정민, "온라인게임 몰입 및 중독과 개인내적 요인과의 관계: 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우울, 공격성, 감각추구성향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7권, 제4호, pp.1169-1187, 2006. 

  37. 이준엽, 초등학생의 휴대포노 중독, 학교생활 적응,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8. 김연정,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9. S. J. Vodanovich, J. C. Wallace, and S. J. Kass, "A confirmatory approach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boredom proneness scale: evidence for a two-factor short for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85, No.3, pp.295-303, 2005. 

  40.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 연구 보고서, 2006. 

  41.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Y:Guilford Press, 2010. 

  42. 손지향, 송현주, "청소년의 충동성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외톨이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심리치료, 제7권, 제2호, pp.91-106, 2007. 

  43.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44. 홍세희, "구조 방정식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4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원리와 응용, 경영학 연구조사방법 뉴트랜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03. 

  46. C. C. Manz and N. P. Neck,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3rd ed. Pearson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NJ, 2004. 

  47. M. Martin, G. Sadlo, and G. Stew, "The phenomenon of boredom,"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3, No.3, pp.193-211, 2006. 

  48. 방현숙, 게임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과 심리적.사회적 요인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