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MSS 2011 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교사 변인과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effects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ased on TIMSS 2011 resul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4 no.2, 2015년, pp.195 - 206  

김성희 (대구상인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using data from TIMSS 2011.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cluded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lessons, and confidence in their mathematics 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학에 대한 정의적인 특성은 연구의 주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용어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연구 주제에 따라 흥미, 불안, 태도, 신념과 같이 관심 있는 요소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경향이 있다(박선화 외,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 공부에 대한 흥미,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우리나라 4학년 교사와 학생들이 응답한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이 결과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현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학 교실 변화와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각 영역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수업 활동은 주간 수업 시간, 교수 전략과 자신감 정도, 학생들의 활동 유형과 빈도로 구성되었으나 주간 수업 시간은 교육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교사들 간에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워 교사 변인에 포함하지 않았다. 수업 준비 영역은 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여부와 내용 영역별 준비 정도로 구성되었으나 내용 영역별 준비 정도는 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교사의 수업 실제와 관련한 교사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에 포함하지 않았다.
  • 이에 본 논문은 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과 관련한 어떤 변인들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그러나 학생들의 성별, 사교육을 받는 정도와 같이 학생 개인 수준의 변인은 교육 시스템 안에서 변화시키기 쉽지 않다. 이와는 달리, 교사 변인이나 학교 변인은 다양한 노력으로 개선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교사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학교 현장에 반영한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요인은 수학의 학문적 특성, 수학교육 측면, 학교환경, 가정환경 및 사회문화적 측면, 제도 및 정책적 측면 등 다양하다(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여러 가지 이유 중에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선생님의 설명을 이해할 수 없을 때 수학이 싫어지고 선생님이 수학을 이해하기 쉽게 가르쳐줄 때 수학이 좋아지고 더 공부하고 싶다 등이 있다(박선화 외 2010).
TIMSS란 무엇인가? TIMSS는 4년마다 전 세계적으로 4학년과 8학년의 수학과 과학 성취도 경향을 측정하는 연구이다. 1995년에 연구를 시작하여 1999, 2003, 2007, 그리고 2011년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도 TIMSS 결과는 어떠한가? 국제 비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을 잘하지만 좋아하지는 않는다. 최근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2011 연구 결과에서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는 참가국 중에서 2위와 1위로 최상위이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나 자신감은 참가국 중에 하위이며 질문 항목에 따라서는 최하위인 것도 있다. 더욱이 95년도 TIMSS 결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는 줄어들고 있으며 그 정도는 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김성숙, 김수진, 박지현,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선경 (2005). 수학과 정의적 영역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Kim, S.-K. (200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affectiv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earning mathematics. Master's thesis, BNUE. 

  2. 김성숙, 김수진, 박지현 (2013). TIMSS 2011 결과 분석에 근거한 수학.과학 학습 흥미 향상을 위한 제언 (연구보고서 ORM 2013-2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Kim, S. C., Kim, S., Park J. H. (2013). Propose for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and science in TIMSS 2011 results (Rep. ORM 2013-22-2). KICE. 

  3. 박기양 (2003). 호주 학생들의 수학 기피성향 분석 연구: 우리 나라 중학교 학생과의 비교, 수학교육 42(3), 233-256. Park, K. Y. (2003). An analysis and study for the math disliking tendency of the Australian students: Compare to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of Kore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3), 233-256. 

  4.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연구 (연구보고서 RRI 201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ark, S.-H., Kim, M.-H., & Ju, M.-K. (2010). A study on e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 mathematics (Rep. RRI 2010-9). KICE. 

  5.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Park, C. (2007).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19-31. 

  6. 박정 (2008).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교육평가 연구 21(3), 23-41. Park, C. (2008). Effect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different ability group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3), 23-41. 

  7. 방정숙 (2001). 교실문화 비교를 통한 수학교육개혁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11(1), 11-35. Pang, J. (2001). A study on the reform of mathematics education from the comparison of classroom cultur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1(1), 11-35. 

  8.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Lee, C. H. & Kim, S. (2010).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219-237. 

  9. 조지민, 김수진, 이상하, 김미영, 육현진, 임해미, 박연복, 이민희, 한희진, 손수경 (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TIMSS): TIMSS 2011 본검사 시행보고서. (연구보고서 RRE 2011-4-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ho, J., Kim, S., Lee, S., Kim, M., Ok, H., Rim, H., Park, Y., Lee, M., Han, H., & Son, S. (2011).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A technical report of the main survey in Korea (Rep. RRE 2011-4-1). KICE. 

  10. 한혜경 (2005). 교수, 수업변인과 학생 성취도의 상관관계- TIMSS 1999 결과분석, 수학교육 44(3), 409-434. Han, H. K.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instruction variables and students achievement based on TIMSS 1999,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3), 409-434. 

  11. Fabrigar, L. R. & Wegener, D. T. (201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nderstanding statis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12. Foy, P., Arora, A. & Stance, G. M. (2012). TIMSS 2011 user guide for international database.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13. Kim, S. H. (2012). Student growth in elementary mathematics: A cross level investigation.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14. Martin, M.O. & Mullis, I.V.S. (Eds.). (2012). Methods and procedures in TIMSS and PIRLS 2011.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15. Raudenbush, S. W. & Bryk, A. 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2nded. Thousand Oaks, Calif: Sage. 

  16. Raudenbush, S., Bryk, A., Cheong, Y. F., Congdon, R., & du Toit, M. (2004). HLM 6: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Lincolnwood,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7. Wenglinsky, H. (2002). How schools matther: The link between teacher classroom pracitces and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 Policy Analysis Archives, 10(12). 

  18. Wright, S. P., Horn, S. P., & Sanders, W. L. (1997). Teacher and classroom context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Implications for teacher evaluation.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in Education, 11, 57-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