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점연결정리의 사각형으로의 확장을 소재로 학교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증명의 대표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양한 사각형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중점연결정리의 확장을 증명하였으며, 이들 증명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증명이 대표성을 가짐을 보였다. 한편, 이러한 내용에 기초한 실태조사에서 학생들은 사각형 종류의 일부만을 찾았으며, 찾은 사각형 각각에 대한 증명은 쉽게 완성하였으나, 같은 수학적 사실을 증명하고 있음에도 대상 도형이 바뀌면 다른 증명 방법이나 수학적 개념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증명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구체적 도형에 대한 증명은 할 수 있으나, 증명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여 일반화하는 증명의 대표성에 대한 이해는 부족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증명활동이 유기적이고 의미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점연결정리의 사각형으로의 확장을 소재로 학교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증명의 대표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양한 사각형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중점연결정리의 확장을 증명하였으며, 이들 증명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증명이 대표성을 가짐을 보였다. 한편, 이러한 내용에 기초한 실태조사에서 학생들은 사각형 종류의 일부만을 찾았으며, 찾은 사각형 각각에 대한 증명은 쉽게 완성하였으나, 같은 수학적 사실을 증명하고 있음에도 대상 도형이 바뀌면 다른 증명 방법이나 수학적 개념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증명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구체적 도형에 대한 증명은 할 수 있으나, 증명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여 일반화하는 증명의 대표성에 대한 이해는 부족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증명활동이 유기적이고 의미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ness of proofs in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extension of the midpoint connector theorem for the quadrilateral. To this end, we considered a variety of quadrilateral and proved their extensions of the midpoint connector theorem, and identified 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ness of proofs in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extension of the midpoint connector theorem for the quadrilateral. To this end, we considered a variety of quadrilateral and proved their extensions of the midpoint connector theorem,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refore seemed that the proof in school mathematics has a representative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survey based on this information, students were found only some types of quadrilateral and completed easily the proofs for each quadrilateral they found, but students tended to use other proof or mathematical concepts, if the target figures changes in despite of proving the same mathematical fact. Thus, students were more difficult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ofs. From these facts, we know that students are poorly understood the representativeness of proof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rete proofs and to generalize it, though they are able to proof to the specific figur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of activity needs to be done with organic and semantic.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ness of proofs in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extension of the midpoint connector theorem for the quadrilateral. To this end, we considered a variety of quadrilateral and proved their extensions of the midpoint connector theorem,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refore seemed that the proof in school mathematics has a representative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survey based on this information, students were found only some types of quadrilateral and completed easily the proofs for each quadrilateral they found, but students tended to use other proof or mathematical concepts, if the target figures changes in despite of proving the same mathematical fact. Thus, students were more difficult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ofs. From these facts, we know that students are poorly understood the representativeness of proof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rete proofs and to generalize it, though they are able to proof to the specific figur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of activity needs to be done with organic and semantic.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