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Needs for Healthcare Service in the Elderly in a Rural Area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18 - 27  

박미희 (중앙대학교병원) ,  최은희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최경숙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4 men and women over 65 years at P-myeon, Yeongju-si, Gyeongsangbuk-do.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st to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의료서비스 요구 파악과 상관관계 검증을 통해 노인들이 올바른 건강지식 습득과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의료서비스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의료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의료서비스의 욕구를 파악하여 올바른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서비스 욕구를 파악하여 일 농촌지역 노인의 상황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인에 맞는 의료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의료서비스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인 노인을 위한 올바른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상황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인에 맞는 의료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의료서비스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인 노인을 위한 올바른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상황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인에 맞는 의료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농촌지역 노인들의 건강 관련 특성과 노인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의료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의료복지 서비스 종류의 인식 유무와 가장 이용하고 싶은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재가복지사업의 인식 유무와 가장 이용하고 싶은 서비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의 개념이 과거의 질병예방에서 건강증진의 개념으로 변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에 대한 관심은 사회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그 폭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 방향 역시 양적인 치료 위주의 개념에서 최근에는 질병의 예방과 건강의 유지·증진이라는 질적인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Kim, 2000). 오늘날 건강의 개념이 과거의 질병예방에서 건강증진의 개념으로 점차 변화되는 이유를 Pender (1987)는 첫째는 인간 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삶의 질을 높이는 생활은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한 생활양식을 행함으로써 가능하고, 둘째는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은 병의 치료보다 건강 관리접근에 있어서 용이하며, 셋째는 건강할 때 사람들을 교육하는 것이 질병에 걸린 후 치료하는 것보다 건강 관리비용 측면에서 훨씬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건강지식이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한 건강 즉 인간이 허약하지 않은 상태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정신적, 신체적 안녕상태를 의미하는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WHO, 1985). 본 연구에서의 건강지식의 측정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2)에서 진행한 2001년 서울시민의 보건의식행태조사표,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표와 선행연구(Kim, 1997; Noh, 2004; Park, 1999)를 토대로 Ha (200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는가? 건강에 대한 관심은 사회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그 폭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 방향 역시 양적인 치료 위주의 개념에서 최근에는 질병의 예방과 건강의 유지·증진이라는 질적인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Kim, 2000). 오늘날 건강의 개념이 과거의 질병예방에서 건강증진의 개념으로 점차 변화되는 이유를 Pender (1987)는 첫째는 인간 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삶의 질을 높이는 생활은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한 생활양식을 행함으로써 가능하고, 둘째는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은 병의 치료보다 건강 관리접근에 있어서 용이하며, 셋째는 건강할 때 사람들을 교육하는 것이 질병에 걸린 후 치료하는 것보다 건강 관리비용 측면에서 훨씬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onabedian, A. (1973). An examination of some directions in health care polic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63(3), 243-246. 

  2. Ha, G. Y. (2005). Welfare facilities in Seoul elderly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nior health education on knowledge an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3. Han, J. J. (2002). Study on the welfare of elderly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in rural community. Gwacheon: The Agriculture Ministry. 

  4. Hong, Y. A. (2003). The effect of health screen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Jang, B. N. (2005). A study on health situations and wants for medical services for senior citizens in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6. Jin, M. S. (2007). A study medical needs of the elderly in rur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7. Park, H. S., Kang, Y. S., & Park, K. Y. (2006).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6(3), 439-448. 

  8. Kim, H. A. (2008).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1), 56-67. 

  9. Kim, J. H., Kim, Y. S., & Kim, M. S. (2000). Unmet medical care needs in elders using the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 172-180. 

  10. Kim, J. W. (1997). Study on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upon health status in some old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11. Kim, S. J. (2007). A study on health conditions and medical needs of the aged in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2. Kim, Y. S. (2000). A study on the health statusi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aged in longevty area and urban area of Che-ju.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o, K. D. (2009). A study on rural aged people's health conditions and their service nee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Questionnaire. 

  15. Lee, S. Y. (2010). Impact of lifestyle and health perception of the elderly health-promot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Kyungsan. 

  16.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0). Resident demographics. 

  17. Noh, H. I, & Kim, M. (2004).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knowledge to health attitude and health practical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 115-135. 

  18. Park, G. H. (1996).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and lifestyle and health conception, self-efficacy, hardines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14, 74-93. 

  19. Park, J. R. (1999).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bout gener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20. Pender, N. J. (198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 & Lange. 

  21.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CT: Appleton & Lange. 

  22. Suh, I. S. (2000). Health knowledge leve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9, 51-70. 

  23. Statistics Korea (2014). Elderly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4.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 Nursing research, 36(2), 76-81.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5). Regional office for Europe, European working group on conception and principles of health promotion, Copenhagen. p.2. http://www.who.int/employment/vacancies/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