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지한 서번트 리더십, 의사소통능력과 감정노동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Labor, Servant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2, 2015년, pp.57 - 66  

박나경 (강남세브란스병원) ,  이현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박정숙 (세브란스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labor, servant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hospital nurses. Methods: A self-administrated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210 nurs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감정노동의 하부영역 중 감정의 부조화가 가장 점수가 높았는데, 이는 최근 환자만족도 향상을 위해 의료인들의 적절한 감정 표현과 행동 규칙이 준수되도록 감독이 이루어지는 의료기관 환경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들이 직무특성상 자신의 감정을 왜곡하고 표현하지 않으려는 빈도가 잦아지고 내면과 외면의 감정 불일치를 경험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자신의 감정과는 달리 긍정적으로 감정을 표현하기를 요구받는 근무환경에서 간호사 스스로 감정노동에 대처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습득이 가능하도록 훈련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이 감정노동의 중재로 제안되고있고, 감정노동과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아직 이에 대한 근거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사가 인지하는 감정노동과 서번트 리더십 및 의사소통 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 서번트 리더십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이다.
  • 본 연구는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 서번트 리더십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가 인지하는 감정노동과 서번트 리더십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부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개념분석을 통하여 ‘대상자와 접촉상황에서 감정을 조절하고 표면화 또는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적응하는 과정’으로 정의 되고 있다(Huynh, Alderson, & Thompson, 2008). 간호부 조직은 간호부장, 간호과장, 수간호사, 책임간호사, 일반간호사 등으로 수직적 계층을 이루고 있으며(Kim & Park, 1995), 직위가 책임간호사, 수간호사 이상일 때 고객에게 감정전달, 감정조절 노력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oh, 2010). 감정노동은 일종의 직무 특성이라고 볼 수 있으며, 지속적인 감정노동은 양질의 간호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미치고, 이직율 증가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므로 조직적인 차원에서의 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소를 위한 방안 마련은 중요하다.
서번트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은 섬김의 욕구에 기반을 두는 것으로 특정한 지위에 따른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와주는 이타적 리더십을 말한다(Greenleaf, 1973). 국외 선행연구결과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감정노동을 감소시키며(Jenkins & Stewart, 2010), 인간 존중정신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협력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여 동료 간의 능력을 심화시키고,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게 한다고 하였다(Jackson, 2008).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측정도구 GICC는 어떤 변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측정도구는 Rubin, Martin, Bruning, & Power (1991)이 제시한 8가지 의사소통 능력을 구성하는 개념에 Huh (2003)가 7가지 개념을 추가로 삽입하여 개발한 GICC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를 간호사 대상으로 사용한 Ahn (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자기노출, 역지사지, 사회적 긴장완화, 주장력, 집중력, 상호작용 관리, 표현력, 지지력, 즉시성, 효율성, 사회적 적절성, 조리성, 목표 간파, 반응력, 잡음 통제력의 변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도구는‘전혀 아니다’에서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표시할 수 있는 5점 척도로 측정하여 각 문항의 점수를 평균 평점으로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E. (2013).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areer,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leadership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 Grandey, A. A. (2000).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3. Greenleaf, R. K. (1973). The servant as leader. Revised Ed. Newton Center, MA: Robert K. K. Greenleaf Center. 

  4.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and Los Angele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Howatson-Jones, I. L. (2004). The servant leader. Nursing Management-UK, 11(3), 20-24. 

  6. Huh, K. 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47(6), 380-426. 

  7. Huynh, T., Alderson, M., & Thompson, M. (2008). Emotional labour underlying caring: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4(2), 195-208. 

  8. Jackson, D. (2008). Servant leadership in nursing: A framework for developing sustainable research capacity in nursing. Collegian, 15(1), 27-33. 

  9. Jang, J. Y. (2010). The relation among nurse's assertive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0. Jenkins, M., & Stewart, A. (2010). The importance of a servant leader orientation.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35(1), 46-54. 

  11. Kang, J. A., Tae, J. Y., Yang, H. Y., Kim, H. A., & Jo, E. Y. (2010). Leadership theory. Seoul: Sigma Press. 

  12. Kang, Y. Y. (2009). The influence of head nurse's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3. Kim, M. J. (1998).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1(2), 129-141. 

  14. Kim, M. S., & Park, S. Y. (1995). Development of a role conflict scale for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5(4), 714-750. 

  15. Kim, S. H., & Lee, M. A.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16. Kim, Y. H.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7. Kim, Y. S. (2012).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Koh, J. S. (2010).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clinical nurses'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Kwon, M. N. (2014).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0. Laub, A. J. (1999). Assessing the servant organization: Development of the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 (SOLA) instru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State University, USA. 

  21. Lee, S. Y. (2011). Conflict management styl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2. Mastracci, S. H., Guy, M. E., & Newman, M. A. (2011). Emotional labor and crisis response: Working on the razor's edge. ME Sharpe. 

  23.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24. Park, C. S., Joung, Y. K., Jang, H. J., Kim, N. L., & Han, S. K. (2012). Indicator of job Korea Research.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18(2), 186-248. 

  25. Pisaniello, S. L., Winefield, H. R., & Delfabbro, P. H. (2012).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ur and emotional work on the occupational health and wellbeing of South Australi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3), 579-591. 

  26. Rubin, R. B., Martin, M. M., Bruning, S. S., & Power, D. E. (1991).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Atlanta, GA. 

  27. Senge, P. M., Sohn, M. H. (2011).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small & medium-sized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28. Song, H. J. (2012). The moderating effects o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9. Swain, N., & Gale, C. (2014). A communication skills intervention for community healthcare workers reduces perceived patient aggression: A pretest-posttes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9), 1241-1245. 

  30. Yang, Y. K. (2011).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23-4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