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2, 2015년, pp.86 - 93  

맹수연 (부산대학교병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The subjects were 123 ED nurses working at 10 general hospitals in Busa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th to September 22nd, 2013. The collected data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문항은 증상이 지난 한 달 동안에 얼마나 자주 나타났는가를 스스로 평가하여 기재하는 형식으로 ‘전혀 없다’ 0점에서 ‘극심하게 있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음을 의미하며 25점 이상인 경우 고위험군으로 정의되나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경향에 중심을 두고 연구하였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응급실 간호사는 근무지의 특성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에 대한 간접적 상황에 노출되기 쉬우며,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증외상사건 피해자를 자주 경험하게 되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하여 외상사건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에 대해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서비스의 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및 이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이직의도를 조기에 예방을 하기 위한 간호인력 관리 중재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이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및 이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 후 스트레스 어떤 문제를 초래 하는가? 외상 후 스트레스는 직무수행 기능의 저하, 작은 결근 및 조기 퇴직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Markus et al., 2005), 응급의료체계 속에서 가장 큰 단위인 응급실 간호사는 응급 환자의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Emergency Nurses Association [ENA], 2003), 응급의료기관의 주요 인력인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응급실 간호사는 어떤 스트레스를 경험하는가? 특히 응급실 간호사는 폭력, 폭언, 난동 등에 자신이 직접 폭행을 당하거나 충격적인 상황에 노출됨에 따라 심리적 스트레스는 물론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Dudek & Koniarek, 2000). 이러한 외상 후 스트레스는 응급실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보고(Han & Lee, 2013)되고 있는데, 외상 후 스트레스는 실제로 신체에 해를 입거나 위협을 당하지 않더라도 외상을 입을 수 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1994).
응급의료기관에 방문한 외상 환자의 수는 중증 외상 환자(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based Injury Severity Score [ICISS]) 기준 97,720으로, 중증질환인 급성심근경색증(24,889명)과 뇌졸중(90,602명)의 질환보다 많은 건수를 기록 한 것이 무엇을 시사하는가? 이중 응급의료기관에 방문한 외상 환자의 수는 중증 외상 환자(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based Injury Severity Score [ICISS]) 기준 97,720으로, 중증질환인 급성심근경색증(24,889명)과 뇌졸중(90,602명)의 질환보다 많은 건수를 기록하였다(National Medical Center, 2011). 이는 응급실 간호사들이 중증도가 높은 외상 환자를 경험하는 빈도가 높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증가하는 사건 사고로 인해 응급실 간호사는 이러한 사건 사고에 노출된 환자들을 처치해야 하는 매우 급하고 긴장된 응급환경에서의 간호업무 수행 중 극도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Cohen & Mulvaney,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s. 

  2. Bae, J. M.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policemen and fire figh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Chan, E. Y., & Morrison, P. (2000).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s of registered nurses in a Singapore hospital.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2), 113-121. 

  4. Cohen, S., & Mulvaney, K. (2005). Field observations: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response for hurricane Charley, Punta Gorda, Florida, august 2004.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3(1), 22-27. 

  5. Dominguez-Gomez, E., & Rutledge, D. N. (2009). Preval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emergency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5(3), 199-204. 

  6. Dudek, B., & Koniarek, J. (2000).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her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mong firefigh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Environmental Health, 13(4), 299-305. 

  7.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03). Staffing and productivity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 Des Plaines, IL: Author. 1. 

  8. Eun, H. J., Kwon, T. W., Lee, S. M., Kim, T. H., Choi, M. R., & Cho, S. J.(2005).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3), 303-304. 

  9. Han, J. W., & Lee, M. S. (2013). The relationship of post-traumatic str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3), 340-350. 

  10. Jeon, S. O., & Ha, J. Y. (2012).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ng emergenc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4(1), 64-73. 

  11. Kessler, R. C., Wai Tat Chiu, Demler, O., & Walters, E. E. (2005).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6), 617-627. 

  12. Kim, H. E. (2011). ICU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 job stres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3. Kim, H. J. (2011).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emergency nurs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 Kim, K. S., & Han, Y. H. (2013).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 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121-129.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2.121 

  15. Kim, S. H. (2014).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Kim, Y. R. (2007).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oncology nurse.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ju. 

  17. Laposa J. M., Alden, L. E., & Fullerton, L. M. (2003). Work stres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ED nurses/personnel,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9(1), 23-28. 

  18. Markus, H., Dieter, W., Walter, S., Leila, M., Soravia, D. H., & Hellhammer, U. E. (2005). Predi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rom pretraumatic risk factors: A 2-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in firefighters. Journal of Psychiatry, 162, 2276-2286. 

  19. National Medical Center. (2011).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annual report. National Medical Center, 242-243. 

  20. Radloff, L. S. (199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21. Underwager, R. (1998). Trauma, memory, and dissociation(by J. Douglas Bremner & Charles R. Marmar). Issues in Child Abuse Accusations, 9(3-4), 165. 

  22. Weiss, D. S., & Marmar, C. 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 P., Keane, T. 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 PTSD. New York: Guilford Press, 399-4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