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 그룹스터디룸 이미지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Study Room at University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2 no.1, 2015년, pp.13 - 23  

위한빈 (Program in Urban Regeneration, Korea Univ.) ,  신은경 (Dept. of Architecture, Korea Univ.) ,  김세용 (Dept. of Architecture, Korea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group study becomes the most popular method and common custom for learning in public that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way of self-study in the last decades. As a result, the college and public facil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changed to provide more and more new sp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D분석에 사용된 형용사는 기존에 조성된 스터디룸의 실내 환경 분석과 관련 있는 어휘만 추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사한 연구들에서 등장하는 어휘들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의견 조사를 통해 등장한 어휘를 종합하여 분별력과 설명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20개의 형용사 짝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 스터디룸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 정도에 관련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대학교 내 존재하는 일반적인 강의실과 비교하여 스터디룸에서 필요한 시설들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그룹스터디룸의 목적이 여러명이 모여서 토론/작업하는 공간이므로 의견 교류를 위한 칠판(벽면형, 이동형)과 빔프로젝트(tv, 롤스크린, 빔프로젝터) 등의 영상시설의 유무가 평가 지표에 사용되었고, 노트북 등을 사용하기 위한 콘센트, 유무선인터넷 공급에 대한 정도가 포함된다.
  • 현재 조성된 그룹스터디룸에 대한 현황분석과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는 것은 향후 유사시설 조성 시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스터디룸이 조성된 K대학의 현황을 조사하고, 유형별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현재 조성된 스터디룸들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터디룸의 공간적 특징, 유형에 따른 시설 조성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김경석(1988)의 연구에 따르면 실내 공간에서의 빛에 의한 인간의 인식은 감정을 유발시키고, 이 감정으로 인하여 인간의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터디룸의 빛 환경을 보다 살펴보기 위해 각 실별에 on/off 조절이 가능한 조명제어장치가 있는지, 천장에 설치된 조명 이외에 간접조명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간접조명은 독서 및 학습을 위한 필요시설로 학생들의 시력보호와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또한 대학 내 실제로 조성된 스터디룸에 대해 실내·외 조성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K대학을 선정한 후, 134개의 그룹스터디룸에 대해 5가지 범주와 14가지 지표를 통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계획요소, 공기순환, 빛환경, 열환경으로 구분되는 내부환경, 시설물정도에 대한 현장조사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이미지조사를 통해 스터디룸 조성현황 분석결과의 설득력을 높이고 실내 환경 조성과 이미지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각 건물별 스터디룸 현황 파악은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스터디룸에 대한 이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으로 형성된 공간에 대해 이용자가 어떠한 느낌을 받는지 조사하여 스터디룸의 유형별 실내환경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와 스터디룸 현황파악을 위한 도면분석 시점은 학생들의 실질적 건물 이용시점을 고려하여 2014년 1학기에 해당되는 3월 1일에서 7월 31일 사이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는 단일 대학에 조성된 그룹스터디룸 공간들에 대해서만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단일 사례로 분석의 한계점을 갖는다고 볼 수 있지만 K대학교에 조성된 9개의 건물 속 각기 다른 134개의 그룹스터디룸들을 모두 전수조사 한 후, 이들의 상태를 토대로 스터디룸 공간 유형 및 특성 도출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고 판단된다.
  • 스터디룸 타입별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A, B, C 타입별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해 건물의 유형에 따른 공간의 이미지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앞에서 실시한 실내환경조성 현황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 공통점을 보이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본 논문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K대학교 내 조성된 그룹스터디룸(Group Study Room)을 대상으로 하여 스터디룸의 조성 현황 및 실내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내환경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캠퍼스에서의 그룹학습공간이 어떠한 형태로 조성되고 있고, 이용자들에게 어떠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한 논문이다.
  • 이러한 학습형태의 변화는 물리적인 시설의 변화를 유도하는 촉매제가 되었고, 현재의 대학들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형태의 학습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열람실로 대표되는 도서관의 공간이 인터넷 발달과, 학습형태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주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시설이란? 대학시설은 대학 이념에 기초한 대학의 교육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고, 교육ㆍ연구ㆍ봉사와 같은 대학교육의 제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지, 체육장 같은 공간 및 교육기본시설, 연구시설, 부속시설, 실험실습시설 같은 모든 물리적 환경과 형태를 의미한다.2) 최근의 대학시설은 대학 구성원의 휴식, 오락, 문화, 주거 등에 필요한 공간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공간까지 포함하고 있어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학 시설물 분류체계에 따라 대학시설을 세분화하면? 대학 시설물 분류체계에 따르면 대학시설은1)강의 및 실험·실습을 위한 공간과 이들을 보조하는 행정실로 구분되는 교육기본시설, 2)도서관 관련 시설, 3)식당 및 교내 편의시설(우체국, 은행 등)을 포함하는 학생회관 시설, 4) 대학본부 시설, 5)체육관 및 강당, 6)전산 관련 시설, 7)연구소 시설, 8)박물관 및 학군단 등이 포함되는 부속 및 기타시설, 9)기숙시설 등으로 보다 세분화 할 수 있다. 이중 학생들의 학습과 관련이 있는 시설은 교육기본시설과 도서관시설이지만, 수업을 제외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학습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공간으로 축소해 본다면 도서관 관련 시설만이 대학 내 유일한 학습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실내 공기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요소 중 창문이 스터디룸의 실내 환경 구성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적절한 공기순환을 위해 기계적인 설비를 구축하는 경우와, 자연환기가 가능한 창문을 설치하는 경우로 세분할 수 있다. 특히 창문의 경우, 공기순환 뿐만 아니라 채광 측면에서도 스터디룸의 실내 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Yo-Han, Kim, Jin-Won, Kim, Ju-Hyung and Kim, Jea-Jun, A Basic Study on the usage and management of the Space of the University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Vol.10, No.2,, pp.189-192, 2010 

  2. Park, Soon-Jea,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s on mainten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facilities, master thesis Central State University, 2009 

  3. Kim, Ho-Sun, Effects which indoo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reading room of University library have on user's consciousness and behavior,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84 

  4. Yoon, Yi-Na,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children's digital library depending on alteration of space,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2009 

  5. Kim, Geing-Sek and Lee, Ho-Chin, A Study on the size and form of Window of the Reading Space in University Libr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Vol.8, No.2, 1984 

  6. Shin, Jae-Yoon, Kim, Dong-Li and Lee, Sang-Hong,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Rest Spaces at University campus -Focused on Major National Universiti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4 No.03 (Serial Number51) pp.1229-6163, 2012 

  7. Chung,Jea-Young,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Vol.43, No.3, pp.333-352, 2012 

  8. Lee, Yong-Jae, Park, Kyung-Seok and Kim, Bo-In,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University Library, Korea Biblia, Vol.23, No.2, pp.133-150, 2012 

  9. Chong, Sa-Hee, Lee, Cheong-Woong and Park, Kil-Woo,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eading-Room in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4 No. 07 (Serial Number117) pp.79-85, 1998 

  10. Lee, Cheong-Woong, Choi, Suk-Chang and Park, Kil-Woo, A Study on the Plan Type of Reading-room in the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Construction Technology Vol.18-1, pp.55-75, 1998 

  11. Chang, Ah Ri and Hwang, Yeon Sook, A Cas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Design Convergence Study, Vol.12, No.6, pp.1-16, 2013 

  12. Kyung, Sook-Kim and Deul Le Min, A Study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the Space Factor of Prominent University in 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4-2, pp.34-43, 2008 

  13. Kim, Soo-Jung and Lim, Ho-Kyun, A study on the space design for reading rooms in a college library, Design Convergence Study, Vol.11-5, pp.243-257, 201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