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인식 및 수요 분석
Users and Librarian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the University Library Spac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1, 2020년, pp.223 - 242  

정영미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역량, 그리고 협업역량으로 대변되는 대학의 미래 학습 및 혁신 역량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도서관의 공간혁신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와 사서의 관점에서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공간혁신의 방향성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이용자와 사서를 위한 각각의 설문지를 설계하고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363명과 대학도서관 사서 186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그들의 도서관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이용자의 특성별, 이용행태별 차이를 분석하고, 사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소속도서관 규모, 사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이용자와 사서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수요자 기반의 도서관 신축이나 공간 재구성 계획 시 참고할만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novation in university library spaces is challenging to effectively support the education of the university's future learning and innovation capabilities, including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need o...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혁신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이용자와 사서를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가 비록 공간의 구체적인 설계안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공간혁신의 방향성 수립을 위한 참고할만한 아이디어를 제시해 줄 것이다.
  • 대학도서관 공간혁신 계획에 있어 시급함을 다투기 전에 필수적인 절차는 이용자와 사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과 수요조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공간혁신에 대한 방향성 제공을 위해 이용자와 사서의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와 사서 대상의 설문을 각각 수행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였다.
  • 앞에서 살펴본 연구들이 이용자를 기반으로 조사하였다면 장윤금은 대학도서관 리노베이션과 신축으로 인한 공간변화와 효과성, 효율성, 향후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 86명에 대한 설문지와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이 진행되고 있는 도서관 사서 3명의 심층인터뷰 결과를 제시하였다(장윤금 2015). 이 논문에서는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의 주요한 목적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공간 마련, 최신 IT시설 확충, 그리고 보존 공간 확보라고 밝혔다.
  • 이 논문에서는 인문사회계열과 이공계열 학생의 공간계획요소별 중요도 차이 또한 분석․제시했는데, 인문사회계열 학생의 경우 이공계열 학생과 비교하여 밀도, 프라이버시,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항목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장아리, 황연숙 2013). 이 논문은 대학도서관 표적이용자의 속성에 따른 공간 선호도의 차이를 보여준다.
  • 도서관 공간 및 공간 서비스에 대한 문항은 이용자와 사서의 설문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이용자와 사서의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두 설문지를 정리하면 <표 1>과 같고, 설문에 사용된 실제 설문지에는 기타의 다른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분석에 사용한 문항만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도서관 공간혁신에 대한 방향성 제공을 위해 이용자와 사서의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조사한 결과는? 첫째, 이용자는 개인 학습공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그룹 학습, 안락하고 편안한 휴식공간, 컴퓨터 이용 및 정보검색 공간을 평균 4.0 이상으로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도서관 공간 이용시 중요한 서비스로는 원활한 인터넷(Wi-Fi 포함) 접속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고, 충분한 전기 콘센트, 더 넓은 공간과 많은 좌석 수, 안락하고 편안한 가구, 이용시간 확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이 인식하는 향후 도서관에서 확대/개편이 필요한 주요한 공간은 휴식공간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스터디/세미나 공간, 디지털/멀티미디어 정보 공간이 도출되었다. 반면 일반열람 공간 및 자료열람 공간은 도서관내에서 주요 축소된 공간이었고 앞으로도 축소 가능한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도서관 공간혁신에 있어 사서가 겪는 가장 어려운 점은 ‘예산 부족’이었고, 다음은 ‘공간 확보의 어려움’, ‘공간에 대한 인식’, ‘소음’, ‘인력 확보’, ‘시설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가 생각하는 도서관내 공간별 중요도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개방형 학습공간, 그룹 학습공간, 안락하고 편안한 휴식공간 등이 모두 4.22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사서의 도서관 공간서비스 중요도는 원활한 인터넷(Wi-Fi 포함) 접속, 안락하고 편안한 가구, 최신 IT 기술 및 기기, 소음이 허용되는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간 및 공간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두 집단간 차이는 대부분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변수는 개인 학습공간이었고 이는 도서관 방문 목적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두 집단간 차이가 큰 개인 학습공간, 이용시간 확대, 넓은 공간 및 많은 좌석 수 등은 이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였고, 다양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제공은 사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였다.
미래의 인재가 갖추어야할 핵심 역량으로 4Cs란 무엇인가? 최근 몇 년 동안 대학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가장 뜨거운 화두이다. 이와 함께 미래의 인재가 갖추어야할 핵심 역량으로 4Cs, 즉 창의력(Creativity), 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그리고 협업 역량(Collaboration)이 제시되는 등, 대학 교육 변화에 대한 요구가 거세다. 2019년 국내 200개 대학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을 분석한 결과, 창의, 글로벌, 융합, 협력이 핵심키워드로 부상하였다(한국대학신문 2019).
Montgomery와 Miller이 대학도서관에 대해 주장한 것은? 일찍이 Montgomery와 Miller는 대학도서관 건물이 미래에도 장서의 서고와 정보서비스의 구심점이 되긴 하겠지만 협력적인 학습과 커뮤니티 장소, 즉 ‘제3의 장소(The Third Place)’라는 새로운 개념정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Montgomery and Miller 2011, 10). 이는 기존의 대학도서관이 지니고 있던 대학 내 커뮤니티 역할을 확대하고 다양한 전공자들의 협력적 문제해결과 창의적인 작업을 조력하는 것으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확대와 역할 제고가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oh, Younghee and Kim, Yoon-Jeong. 2019. "A Study on the User Recognition of Library Complex Culture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4): 23-50. 

  2. Chang, Ah Ri and Hwang, Yeon Sook. 2013.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Application Elements in Academic Libraries for University Field." Design Convergence Study, 12(5): 141-157. 

  3. Chang, Yunkeum. 2015. "A Study of the Librarians' Perceptions towards the Change in University Library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1): 361-377. 

  4. Chang, Yunkeum. 2018. "Aligning Academic Library Makerspaces with Digital Literacy Education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1): 425-446. 

  5. Lee, Eun Joo and Jung, Youngmi. 2019.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akerspace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223-247. 

  6. "[Universities looked at by Data] University Talent Award Keyword: Creative.Global.Convergence." 2019. University News Network, April 22. [online] [cited 2019. 9. 25.] 

  7. Andrews, C., Wright S. E. and Raskin, H. 2016. "Library Learning Spaces: Investigating Libraries and Investing in Student Feedback."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6(6): 647-672. 

  8. Brown, S. et al. 2014. SPEC Kit 342: Next-Gen Learning Spaces.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9. Hickerson, T. 2014. "Designing 21 Century Spaces for 21 Century Roles." Feliceter, 60(6): 15-18. 

  10. Hillman, C. et al. 2017. "User-focused, User-led: Space Assessment to Transform a Small Academic Library." Evidence 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online] [cited 2019. 9. 1.] 

  11. Montgomery S. and Miller J. 2011. "The Third Place: the Library as Collaborative and Community Space in a Time of Fiscal Restraint." Faculty Publications, 32, [online] [cited 2019. 9. 2.] 

  12. Oliveira, S. M. 2017. "Trends in Academic Library Space." In Proceedings of the IATUL Conferences. [online] [cited 2019. 10. 2.] 

  13. Oliveira, S. M. 2018. "Trends in Academic Library Space: From Book Boxes to Learning Commons." Open Information Science, 2: 59-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