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수산합유향정통산(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이 야간통을 동반한 교통사고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gguisoo-san plus Yuhyangjeongtong-san (Dangguixu-san plus Ruxiangdingtong-san) in the Traffic Accidents Patients with Night Pa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25 no.1, 2015년, pp.87 - 93  

박정우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정수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Dangguisoo-san plus Yuhyangjeongtong-san (Dangguixu-san plus Ruxiangdingtong-san) on traffic accidents patients with night pain. Methods 77 traffic accidents patients with night pain were treated with Dangguisoo-san pl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2011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세명대학교 충주한방병원에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야간통을 동반한 교통사고 환자 중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을 투여했던 환자들의 통증 변화와 야간통으로 인한 수면장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이에 저자는 2011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세명대학교 충주한방병원에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야간통을 동반한 교통사고 환자 중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을 투여했던 환자들의 통증 변화와 야간통으로 인한 수면장애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의학 등의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급, 만성 통증 및 운동장애 등 많은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들에 대해, 한의학에선 어떻게 치료하고 있는가? 교통사고의 특성상 급박한 상태로 인한 응급처치나 장기적인 고정술 등 외과적인 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통증 및 후유증의 처치는 한의학적 치료가 환자의 호응도가 높은 분야이다2). 영상의학 등의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급, 만성 통증 및 운동장애 등 많은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한의학에서는 약물요법, 침구요법, 한방물리요법, 추나요법 등을 활용하고 있다3).
한의학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한 증상들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왔나? 한의학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한 증상들에 대하여 墮落, 落馬, 落傷, 跌撲, 打撲, 血結, 蓄血, 瘀血骨折 등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氣滯, 瘀血의 병적 개념을 교통사고 환자의 치료에 응용해왔는데, 그 중 當歸鬚散은 氣滯瘀血 변증의 대표적 처방으로 사용되어 왔다4). 當歸鬚散에 대한 연구로는 肝瘀血5), 外傷瘀血病態6)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 중 야간통을 호소하며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을 투여했던 환자 77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1. 전체 대상자의 평균 VAS는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 투여 후 6.26±1.48에서 4.10±1.8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전체 대상자의 평균 NDI와 ODI는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 투여 후 각각 23.77±6.94, 20.41±6.63에서 19.08±6.36, 18.18±6.79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3. 전체 대상자의 평균 총 수면시간은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 투여 후 4.26±2.09에서 6.03±1.44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4. 전체 대상자의 평균 수면 중 각성 횟수는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 투여 후 2.26±1.37에서 0.55±1.0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은 교통사고 환자에게 통증 감소와 야간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 개선에 양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조성우. 교통사고 환자 39예에 대한 한방치료 기대도 조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3):187-99. 

  2. 신재화, 오민석. 교통사고로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 1,162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4):233-50. 

  3.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3판). 서울:군자출판사. 2011:15, 204-5. 

  4. 김유진, 차윤엽. 당귀수산을 처방받은 교통사고환자의 피부저항변이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3):119-32. 

  5. 許浚. 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2002:1519. 

  6. 임준규, 문준전. 當歸鬚散이 實驗的 白鼠肝瘀血에 미치는 影響. 경희한의대논문집. 1982;5(2):191-208. 

  7. 이금호, 안규석, 최승훈. 當歸鬚散이 壓迫으로 인한 白鼠의 外傷瘀血病態模型에 미치는 影響.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한의학연구소. 1999;22(1):22-38. 

  8. 안희빈, 정수현, 김순중, 박동수, 서일복. 유향정통산이 Carrageenin 유발 급성 염증과 Adjuvant 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3):55-68. 

  9. 조희근, 박애련, 기영범, 강대희, 최진봉, 설재욱. 교통사고환자의 어혈변증과 桂枝茯笭丸 효과의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3):45-55. 

  10. 김태현, 박원형, 차윤엽. 교통사고 후 발생한 편타 손상 환자에 대한 신바로약침과 중성어혈약침의 치료효과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4):1-7. 

  11. 임광묵, 위대용, 이정한, 고연석.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 손상 환자에 대한 중성어혈약침과 소염약침의 효과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2):185-92. 

  12. 이준석, 이슬지, 남지환, 김기원, 이민정, 임수진, 전재윤, 송주현. 교통사고 후 경항통 발생환자 중 약침치료군, 추나치료군, 추나약침 병행치료군 비교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2012;29(5):87-95. 

  13. 김준수, 이재훈, 양기영, 김정원, 노해린, 정윤규, 한상엽, 황은미. 교통사고 후 요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약침과 추나의 치료효과 비교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1;6(2):155-64. 

  14. 윤석훈, 정우석, 조송현, 조홍석.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추성 두통 환자의 추나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2):165-75. 

  15. 신현진, 윤일지. 교통사고로 유발된 편타성 손상에 대한 근에너지기법(MET)의 임상 연구.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2;20(2):133-40. 

  16. 한상엽, 이재영, 박소현, 양기영, 이재훈, 김준수, 박재영, 김창연, 이현종.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성 손상 환자의 전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2011;28(6):107-15. 

  17. 김상주, 이한, 정호석, 김은석, 우재혁, 한경완, 이슬지, 이준석, 유인식. 교통사고로 인한 요통환자의 전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2010;27(5):117-23. 

  18. 정원제, 왕개하, 김경호, 배재익, 김승현, 조현석. 교통사고 후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풍지혈.후계혈 자침 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무작위 임상 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2010;27(4):127-35. 

  19. 문준전, 안규석, 최승훈. 동의병리학. 서울:고문사. 1990:74-6. 

  20. 엄태웅, 이차로, 김호준, 이명종. 어혈, 담음으로 변증된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환자들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4):159-67. 

  21. 박영순. 한방의 약리해설. 서울:아카데미서적. 2002:418-21. 

  22. 安秉國 譯. 國譯 編註醫學入門 VI. 서울:남산당. 1985:259-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