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활용한 보행특성 분석: 서울시 5개 생활권역을 중심으로
Analyzing Pedestrian Characteristics Using the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Focusing on 5 Urban Communities in Seoul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4, 2014년, pp.315 - 326  

이향숙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김지윤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추상호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토대로 5개 생활권역의 보행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권역별로 총 보행량, 시간대별 보행량, 조사지점 속성에 따른 보행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평일과 주말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권역에서 중앙선, 버스정류장,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 유동인구가 증가하였으나, 도심권에서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모든 권역에서 상업지역은 보행의 유발요인인 반면, 경사로는 보행의 방해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통행특성지표, 토지이용지표, 사회적지표 및 조사지점 속성이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와 상관성을 보이는 변수는 권역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행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요인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pedestrian characteristics of 5 urban communities with 2012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data. First of all, differences in total pedestrian volumes and time distribution of the volumes are compared across the 5 urban communities and the effects of pedestri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울시 유동인구조사는 2009년 처음 시행되었으며, 공공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울시 희망근로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인 동시에 서울시의 행정수요 예측과 행정서비스 배분을 위한 유동인구 규모, 특성, 유출입 흐름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는 서울시내 조사지점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로 조사지점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는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인구의 권역별 차이를 비교하고, 권역별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서울시는 지역특성에 따라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의 5개 생활권역3)으로 나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역별 유동인구의 차이를 비교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이란 무엇인가? 보행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통행수단으로 타 교통수단과 연계된 통행의 경우 항상 시작과 끝을 구성한다. 동시에 보행은 개인의 건강증진은 물론 도시활동에 생동감을 불러일으키며, 도시교통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토대로 5개 생활권역의 보행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우선 권역별로 총 보행량, 시간대별 보행량, 조사지점 속성에 따른 보행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평일과 주말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권역에서 중앙선, 버스정류장,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 유동인구가 증가하였으나, 도심권에서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모든 권역에서 상업지역은 보행의 유발요인인 반면, 경사로는 보행의 방해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통행특성지표, 토지이용지표, 사회적지표 및 조사지점 속성이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와 상관성을 보이는 변수는 권역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행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요인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행의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보행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통행수단으로 타 교통수단과 연계된 통행의 경우 항상 시작과 끝을 구성한다. 동시에 보행은 개인의 건강증진은 물론 도시활동에 생동감을 불러일으키며, 도시교통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보행은 인간의 기본 권리인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친환경수단으로 교통에서 부차적인 수단이 아닌 가장 핵심적인 수단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I. S. (2000), An Improvement Search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ubway Stations, A Thesis,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 24(2), 173-190. 

  2. Byeon J. H., Park K. H., Choi S. R. (2010), The Effec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Jinhae Cit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 57-65. 

  3. Choi Y. K., Kwon Y. H. (2003), A Study on the Pedestrian Movement in Urban Space,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 89-96. 

  4. Handy S. L. (1996), Urban Form and Pedestrian Choices: Study of Austin Neighborhood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National Academies, 1552, 135-144. 

  5. Kim S. H., Lee K. J., Choi K. C. (2012), Pedestrian Environment Scaling Analysis by Walkway Typ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8(1), 2151-2154. 

  6. Kim T. H., Kim J. (2011), A Study on Determining Factors on Pedestrian Volume by Station Area Types,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7. Kim Y. O., Shin H. W.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Network According to Land Use Pattern -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Network and Pedstrian Volume Using Space Syntax, Th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8(3), 83-94. 

  8. Lee K. H., Ahn K. H. (2007),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ing of Residents -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2(6), 105-118. 

  9. Lee K. H., Ahn K. H. (2008), An Empiricla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Residents' Walking - A Case Study of 12 Areas in Seoul,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6), 293-302. 

  10. Lee W. D., Cho C. H. (2007), Relationships between Walkability and Land-use: an Analysis of Pedestrian Survey Data in Seoul, Korea,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Spring, 141-145. 

  11. Lee W. D., Won J. S., Cho C. H. (2011), Time series of Walking Population Change Correlation Analysis with Land-Use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Conference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Autumn. available at http://route.khu.ac.kr/?document_srl4642 

  12. Miranda-Moreno L. F., Morency P., El-Geneidy A. M. (2011), The Link between Built Environment, Pedestrian Activity and Pedestrian-Vehicle Collisin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3(5), 1624-1634. 

  13. Moudon A. V., Lee C. (2003),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21-37. 

  14. Park S. H., Choi Y. M., Seo H. L. (2008), Measuring Walkability in Urban Residential Neighborhoods:Development of Walkability Indicators,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 161-172. 

  15. Park S. H., Choi Y. M., Seo H. L., Kim J. H., (2009),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 An Impact Study Based on Four Residential Communities in Seoul, Korea,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8), 253-261. 

  16. Pulugurtha S. S., Repaka S. R. (2008), Assessment of Models to Measure Pedestrian Activit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73, 39-48.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6), Urban General Plan in Seoul, Seoul, Korea.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3),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Seoul, Korea. 

  19. Shin K. S., Sung H. G. (2011), Analysis on the Structural Impact of Choice Factors for Shopping Behavior on Walking Activity and its Comparison with Commuting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5), 249-260. 

  20. Sung H. G., Kim J. Y. (2011), A Study on the Impacts of Individual Socio - Economic Status and Walking Purposes on Walking Amount: The Case of Workers in the City of Seoul, Seoul City Research, 12(2), 73-86. 

  21. Yun N. Y., Choi C. G. (2013),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135-1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