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계 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가족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Famili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pplied Physical Restraints in General Neurological Ward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293 - 3302  

하소연 (부산대학교병원) ,  하이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경계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6월 1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 부산시 소재 일개상급종합병원의 신경계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고 환자자료는 의무기록으로 조사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s로 분석했다. 환자가족은 여자가 68.6%, 평균 47.9세, 환자의 배우자나 자녀가 70% 이상이었고 일일 평균 15.4시간 동안 환자를 돌보고 있었다.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의 평균점수는 4.2/5점이었고, 치료장치 유지와 관련된 인식점수가 높았고(평균 4.6-4.9/5점) 억제대 적용부위에 따라 양손이 한손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억제대 적용태도에 있어서는 환자와 가족에게 적용과 제거에 대한 결정권이 있다와 관련된 문항에 동의하는 가족이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족에게 억제대 관련 정보제공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지원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mili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PR) in general neurological wards. The study is based on subjects from 70 family members who have cared patients applying PR.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re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의료현장에서 억제대 적용을 본 연구는 신경계 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가족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신경계 일반병동에 입원하여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계 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가족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여 억제대 적용 최소화를 위한 환자가족을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 억제대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유는 무엇인가? 6%가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었다[11]. 중환자실 환자는 유지 중인 치료 장치들이 많고 의식수준의 변화가 많아서 가장 억제대 적용률이 높기 때문에 병원에서의 억제대 적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손상이나 가족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나 중재프로그램은 대부분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이뤄져왔다[4,5,12,13]. 중환자실만큼 높은 적용률은 아니지만 중환자실을 제외한 간호 단위 중에는 신경외과 병동의 억제대 적용률이 6.
억제대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었는가? 억제대(physical restraint)는 환자에게 삽입된 각종 튜브나 도관, 배액관을 유지하거나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또는 변화된 의식 상태에 의한 낙상이나 배회, 다른 사람을 상해할 위험이 있는 비정상적이고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경우 환자의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해왔다[1,2,3,4]. 그러나 안전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해 온 억제대가 오히려 환자에게 부동에 의한 관절운동장애나 신경손상, 피부손상 등의 신체적 손상을 일으키고 두려움과 우울, 인간존엄성이 위협받는 것과 같은 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게 할 뿐 아니라[4,5,6]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에게도 우울, 충격, 무력감, 분노, 부정, 자포자기 등의 감정을 갖게 하거나 의료진과 가족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7].
억제대의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이 있는가? 억제대(physical restraint)는 환자에게 삽입된 각종 튜브나 도관, 배액관을 유지하거나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또는 변화된 의식 상태에 의한 낙상이나 배회, 다른 사람을 상해할 위험이 있는 비정상적이고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경우 환자의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해왔다[1,2,3,4]. 그러나 안전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해 온 억제대가 오히려 환자에게 부동에 의한 관절운동장애나 신경손상, 피부손상 등의 신체적 손상을 일으키고 두려움과 우울, 인간존엄성이 위협받는 것과 같은 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게 할 뿐 아니라[4,5,6]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에게도 우울, 충격, 무력감, 분노, 부정, 자포자기 등의 감정을 갖게 하거나 의료진과 가족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7]. 이러한 억제대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억제대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이 의료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뤄져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 E. Strumpf, L. K. Evans, "Physical restraint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erceptions of patients and nurses", Nursing Research, Vol.37, No.3, pp.132-137, 1988.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805000-00002 

  2. A. F. Minnick, L. C. Mion, M. E. Johnson, C. Catrambone, R. Leipzig, "Prevalence and varia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settings in the U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39, No.1, pp.30-37,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7.00140.x 

  3. Y. Cho, J. Kim, N. Kim, H. Choi, J. Cho, H. Lee, R. Kim, Y. Sung, "A study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ICU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8, No.4, pp.27-38, 2006. 

  4. J. Kang, E. Lee, E. Y. Park, Y. Lee, M. M. Lee, "Emotional response of ICU patients' family toward physical restrai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5, No.1, pp.148-156,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2.148 

  5. H. Ko, J. Ka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leeve-type restraints for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5, No.6, pp.665-679,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2.24.6.665 

  6. Y. Lee, E. Cho, S. Kim, J. Kim, H. Kim, H. Kim, H. Song, "The study on physical restraint use in intensive care unit(I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8, No.2, pp.117-130, 2003. 

  7. D. Evans, J. Wood, L. Lambert, "A review of physical restraint minimization in the acute and residential care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0, No.6, pp.616-625,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2.02422.x 

  8. M. Park, J. Tang, "Changing the practice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33, No.2, pp.9-16, 2007. 

  9.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Retrieved from December, 31, 2014, from http://www.nursingworld.org/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s_Hospital", Retrieved December, 31, 2014, from https://www.koiha.or.kr/home/data/data/doView.act? boardno166, 

  11. K. S. Kim, J. H. Kim, S. H. Lee, H. K. Cha, S. J. Shin, S. A. Chi. "The physical restraint use in hospital nursing sit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 No.1, pp.60-71, 2000. 

  12. E. Lee, S. Ha, J. Kang,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family's emotional response toward physically restrain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8, No.4, pp.629-638,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4.629 

  13. J. H. Song, "Awareness and attitudes of nursing staff and patients' family toward the application of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4. 

  14. S. Kurata, T. Ojima, "Knowledg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and home care providers of physical restraint use with home-dwelling elders: a cross-sectional study in Japan, Geriatrics, Vol.14, No.39, pp.1-11, 2014. DOI: http://dx.doi.org/10.1186/1471-2318-14-39 

  15. D. Lee, S. S. Yoon, "Delirium and acute confusion state", Journal of Neurocritical care, Vol.4, pp.25-34, 2011. 

  16. J. M. Yeo, M. H. Park, "Effects on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the use of restrai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 No.3, pp.532-541, 2006. 

  17. K. Kwak, S. Kim, E. Bae, E. S. Lee, E. H. Lee, Y. Choi, Y, Lee, "Decreasing the application rate of unnecessary physical restrai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guideline for restraint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Vol.15, No.2, pp.93-103, 2009. 

  18. E. Yeun, J. H. An, J. A. Kim, M. S. Jeon, "Perceptions of family care-givers toward use of physical restraints: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5, No.3,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3.344 

  19. J. Kim, H. Oh,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giv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6, No.2, pp.347-360, 2006. 

  20. L. Janelli, G. Kanski, Y. Scherer, M. Neary, "Physical restraints: practice, attitudes and knowledge among nursing staff", The Journal of Long Term Care Administration, Vol.20, No.2, pp. 22-25, 1991. 

  21. S. M. Azab, L. A. Negm,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at Ain Shams University hospitals, Cairo", Journal of American Science, Vol.9, No.4, 2013. 

  22. M. Kim, J. Park,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7, No.2, pp.177-186, 2010. 

  23. K. S. Kim, S. A. Chi, "A study on perceptions about physical restraints: Use of nurses' and doctors' in hospital setting", Chung-Ang Journal of Nursing, Vol.5, No.1, pp.65-78, 2001. 

  24. A. Haut, N. Kolbe, S. Strupeit, H. Mayer, G. Meyer, "Attitudes of relatives of nursing home residents toward physical restrai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42, No.4, pp.448-456,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10.01341.x 

  25. M. Vassallo, C. Wilkinson, R. Stockdale, N. Malik, R. Baker, S. Allen, "Attitudes to restraint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hospital", Gerontology, Vol.51, pp.66-70, 2005. DOI: http://dx.doi.org/10.1159/000081438 

  26. I. Chang, S. Lee,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n acute hospital setting across clinical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1, No.3, pp.264-274, 2014.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3.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