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환자를 위한 소매형 억제대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leeve-type Restraints for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6, 2013년, pp.665 - 678  

고현영 (동아대학교 의료원)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leeve-type restraints and to compare the sleeve-type and conventional wrist restraints. Methods: Forty four pairs of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nurses applied sleeve-type restraints to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의료기관에서의 억제대 사용률은 어떠한가? 억제대의 위험성과 부작용에 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아직까지 의료기관에서는 억제대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일반병동에서는 5~17%, 중환자실에서는 24~37%의 환자들에게 억제대를 적용하고 있으며(Minnick, Mion, Johnson, Catrambone, & Leipzig, 2007), 국내 의료기관에서의 억제대 사용률 역시 일반병동에서는 약 3%이지만 중환자실에서는 31~34%에 이르고 있다(Cho et al., 2006; Kim & Park, 2010).
중환자실에서 억제대 사용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 2006; Kim & Park, 2010). 이처럼 중환자실에서 억제대 사용률이 높은 이유는 의식수준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 특히, 섬망이나 초조 상태에 있는 환자들이 스스로 의료장비를 제거하거나 자해를 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Hine, 2007). 억제대의 종류에는 장갑, 손목, 조끼, 허리, 다리, 흉부 억제대 등이 있으며이 중 양 손목을 끈으로 묶는 손목 억제대가 가장 흔하게 사용 되고 있다(Benbenbishty, Adam, & Endacott, 2010; Cho et al.
억제대를 적용하여 발생하는 신체적, 정서적, 윤리적 측면의 부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억제대를 적용하게 되면 신체적, 정서적, 윤리적 측면의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억제대 적용으로 인한 신체적인 부작용에는 근골격계 위축, 흡인성 폐렴, 신경손상과 피부손상, 질식으로 인한 사망 등이 포함된다(Berzlanovich, Schöpfer & Keil, 2012; Tolson & Morley, 2012). 정서적인 문제로 억제대 적용은 환자에게 두려움과 우울, 자포자기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의식상태의 혼돈과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한편 퇴행적인 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Evans, Wood, & Lambert, 2003). 윤리적 측면에서 억제대 사용은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자율성 존중의 원칙 등과 같은 의료윤리의 기본원칙에 위배된다(Langley, Schmollgruder, & Egan, 2011). 환자에게 억제 대를 적용할 때 간호사는 비애, 모순된 감정, 무감각, 방어, 죄책감과 수치심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고, 환자 역시 묶여있다는 사실 때문에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에 상처를 입을수 있다(Chuang & Huang, 2007; Elk & Ferchau, 2000). 한편 억제대 적용은 환자와 간호사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12, March). ANA Position Statement: Reduction of patient restraint and seclusion in health care settings. Retrieved May, 27, 2013 from http://www.nursingworld.org/restraintposition 

  2. Benbenbishty, J., Adam, S., & Endacott, R. (2010). Physical restraint use in intensive care units across Europe: The PRICE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6, 241-245. 

  3. Berzlanovich, A. M., Schopfer, J., & Keil, W. (2012). Deaths due to physical restraint.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09, 27-32. 

  4. Cho, Y. A., Kim, J. S., Kim, N. R., Choi, H. J., Cho, J. G., Lee, H. J., et al. (2006). A Study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ICU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 543-552. 

  5. Chuang, Y. H., & Huang, H. T. (2007). Nurses' feelings and thoughts about using physical restraints o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486-494. 

  6. Elk, S., & Ferchau, L. (2000). Physical restraints-are they necessary?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0 (5), 24-27. 

  7. Evans, D., Wood, J., & Lambert, L. (2003). Patient injury and physical restraint devic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1, 274-282. 

  8. Hine, K. (2007).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critical care. Nursing in Critical Care, 12, 6-11. 

  9. Hofso, K., & Coyer, F. M. (2007). Part 1. Chemical and physical restraints in the management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CU: Contributing factors.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3, 249-255. http://dx.doi.org/10.1016/j.iccn.2007.04.003 

  10. Kandeel, N. A., & Attia, A. K. (2013). Physical restraints practice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 Egypt.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5, 79-85. http://dx.doi.org/10.1111/nhs.12000 

  11. Kim, B. Y., Lee, M. J., Kim, H. S., Choi, S. J. (2006). Restraints development and the effects measured for university hospital ICU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Journal, 9, 7-30. 

  12. Kim, M. Y., & Park. J. S.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177-186. 

  13. Lai, C. K. Y., & Wong, I. Y. C. (2008). Families' perspectives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Contemporary Nurse, 27, 177-184. 

  14. Langley, G., Schmollgruber, S., & Egan, A. (2011).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s-a mixed method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7, 67-75. http://dx.doi.org/10.1016/j.iccn.2010.12.001 

  15. Lee, E. N., Ha, S. J., & Kang, J. (2008).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family's emotional response toward physically restrain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629-638. 

  16. Lee, J. E., & Gu, M. O. (2011). The development & effect of the elbow restraint on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90-100. 

  17. Lee, M. M., & Kim, K. S. (2012). Comparison of physical injury, emotional response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 296-306.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Standards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eoul: Authors. 

  19. Minnick, A. F., Mion, L. C., Johnson, M. E., Catrambone, C., & Leipzig, R. (2007). Prevalence and varia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settings in the U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9, 30-37.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7.00140.x 

  20. Mohler, R., Richter, T., Kopke, S., & Meyer, G. (2012).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long-term geriatric care-A cochrane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 3070-308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153.x 

  21. Mun, J. S., Lee, G. N., & Lee, D. S. (2011). Effect of a new developed physical restraint to reduce skin injury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28-36. 

  22. Rakhmatullina, M., Taub, A., & Jacob, T. (2013).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restraints: A review of literature. Psychiatric Quarterly, Advanced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10.1007/s11126-013-9262-6 

  23. Swickhamer, C., Colvig, C., & Chan, S. B. (2013). Restraint use in the elderly emergency department patient.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44, 869-874. http://dx.doi.org/10.1016/j.jemermed.2012.02.080 

  24. The Joint Commission. (2009). Standards for behavioral health care. Oakbrook Terrace, IL: Author. 

  25. Tolson, D., & Morley, J. E. (2012). Physical restraints: Abusive and harmfu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3, 311-313. http://dx.doi.org/10.1016/j.jamda.2012.0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