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eaching Intention for Mathema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1, 2017년, pp.185 - 200  

서정민 (부경대학교) ,  이정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Methods: A total of 266 early child teachers in Busan particip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수학교수적극성은 어느 정도인지, 그들의 수학교수적극성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헌고찰을 토대로 수학교수적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되는 세 가지 변인 즉,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과의 관련성을 검증해보고 세 변인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수학교수적극성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을 확인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불편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학교수에 대해 어느 정도의 교수 적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들의 수학교수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수학교수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과 어떤 상관을 갖는지 살펴보고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세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자신의 능력에 대한 효능감, 수학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이 유아교사의 수학교수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유아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향후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에서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관련 내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다룰 것과 구성주의적 태도 및 교육신념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수적극성’을 수학이라는 특정 분야의 활동에서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 적극적, 열정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교사의 교수적극성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그렇기에 당연히 교육신념과 수학 교수적극성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유추할 수는 있으나 검증된 정보가 부재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적극성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수학교수적극성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을 확인할 것이다.
  • 현장 교사들이 유아수학교육을 꺼리고 있고(서동미, 이영미, 2006) 소극적 태도를 갖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황의명 등, 2009) 현직 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교수적극성을 살펴보는 것은 수학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해 의의있는 일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수학교수적극성은 어느 정도인지, 그들의 수학교수적극성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헌고찰을 토대로 수학교수적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되는 세 가지 변인 즉,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과의 관련성을 검증해보고 세 변인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부터 개인의 발달에 맞는 질 높은 수학교육의 필요성이 있다는 걸 알면서도 왜 유아수학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가? 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선진국이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고(교육과학기술부, 2015), 유아기부터 개인의 발달에 맞는 질 높은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NCTM, 1991, 2000). 그러나 유아기 수학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는 달리 예비 유아교사나 현직 교사들은 수학교육에 대해 소극적이거나 불편함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황의명, 조형숙, 서동미, 2009) 현직 교사들이 수학교육을 꺼리는 이유로 유아수학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서동미, 이영미, 2006)이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현직 교사들이 수학교육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경우 유아기 수학교육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거나 질적 우수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모든 교육에 있어서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모든 교육에 있어서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교사라 할 수 있다. Katz(1984)는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로 교사라고 하였고 이은해(1995)는 아무리 좋은 교육환경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더라도 그것을 운영하는 교사가 우수한 자질을 갖추고 있지 않다면 효과를 제대로 나타낼 수 없다고 하였다.
개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다양한 직업에서 수학적 소양을 갖추는 일이 왜 중요해지고 있는가? 현대사회의 급속한 과학의 발달 및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으로 인하여 개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다양한 직업에서 수학적 소양을 갖추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선진국이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고(교육과학기술부, 2015), 유아기부터 개인의 발달에 맞는 질 높은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NCTM, 1991,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미량 (1999). 구성주의 교수-학습이 아동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진희 (2010). 유아교육기관유형별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201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4. 김랑 (2012). 구성주의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정, 김지현 (2015).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97-114. 

  6. 김복희 (2004). 유치원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양은, 김연하 (2008). 교수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6), 207-228. 

  8. 김영실 (200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은, 홍순옥 (2014).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9(1), 177-211. 

  10. 김정주 (2003).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혜정 (2014). 유아교사의 애착실행모델과 교사 민감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아람 (2015). 누리과정 과학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을 예측하는 요인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가영 (2016).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태도, 수학교수효능감 비교.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배지미 (2003).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동미, 이영미 (2006). 예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0(3), 231-250. 

  16. 서현아, 배지미 (2004). 유치원 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15-146. 

  17. 심숙영 (2010). 구성주의 교사 신념과 교사의 ICT태도와 ICT활용능력 관계. 아동과 권리, 14(1), 109-128. 

  18. 유은영 (2013).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5-26. 

  19. 이경화 (2016).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상호작용적 교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기숙 (1997).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21. 이인아 (2015). 보육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음률활동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해 (1995).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3. 이정희 (2003).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내용의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지현 (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25. 정정희 (2001).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수준과 아동의 수학적 사고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6(3), 97-116. 

  26. 정정희 (2001).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4), 225-241. 

  27. 조정화, 김경숙 (2013).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교수적극성과 과학불안. 생태유아교육연구, 12(1), 139-158. 

  28. 최기영, 조부경, 우수경 (2000), 자율적 규칙정하기와 규칙지키기 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 사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1), 3-17. 

  29. 홍혜경 (2004). 유아-초등 저학년의 연계적 수학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89-310. 

  30. 홍희주 (2012).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황의명, 조형숙, 서동미 (2009). 유아수학교육. 서울: 정민사. 

  32. Allinder, R. M.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7(2), 86-95. 

  33. Anderson, A. W. (2010). Teachers' perception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learning progra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ppalachian State University, North Carolina, USA. 

  34.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35. Askew, M., Brown, M., Rhodes, V., Jhonson, D., & Wiliam, D. (1997). Effective teachers of numeracy : Report of a study carried out for the teacher training agency. London: King'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36. Aubrey, C. (1997). Mathematics teaching in the early years.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subject knowledge. London: Flamer Press. 

  37.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38.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9. Bates, A. B., Latham, N. I., & Kim, K. A. (2013). Do i have to teach math?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ear of teaching mathematics. Issue in The Undergraduate Mathematics Preparation of School Teachers: The Journal, 5, 1-10. 

  40. Buldu, M. (2003). Constructivist-compatible beliefs and practices among U. 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USA. 

  41. Enoch,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94-706. 

  42. Gess-Newsome, J., & Lederman, N.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43. Guskey, T. R. (1987). Context variables that affect measuring of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1(1), 41-47. 

  44. Hoy, W. K., & Woolfolk, A. E. (1993). Teachers'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 health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45. Howes, C., & Smith, E. W. (1995). Children and their child care caregivers: Profiles of relationships. Social Development, 4(1), 44-61. 

  46. Katz, L. G. (1984).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Young Children, 39(5), 3-10. 

  47. Kontos, S., & Wilcox- Herzog, A. (1997).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Young Children, 52(2), 4-12. 

  48. Luo, F. J. (2000). Mathematic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University, Texas, USA. 

  49. NCTM (199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Teachers of Mathematics, Inc. 

  50.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Teachers of Mathematics, Inc. 

  5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Education teachers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New practices for the new millennium. Washingtin, DC: National Academy Press. 

  52.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1), 1-22. 

  53. Wilcox-Herzog, A., & Ward, S. L. (2004). Measuring teachers'perceived interactions with children: A tool for assessing beliefs and inten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6(2), 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