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재클러스터링 알고리즘
An Energy Efficient Re-clustering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5 no.3, 2015년, pp.155 - 161  

박혜빈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정진우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해당 이슈에 대해서 최근 연구들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에서는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고갈을 방지하기 위해 재클러스터링이 필요한데, 재클러스터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도 적지 않다. 지나치게 빈번한 재클러스터링으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클러스터 헤드와 에너지 임계값의 비교를 통해 재클러스터링의 빈도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클러스터 헤드가 에너지 임계값보다 높은 에너지 수준을 가지고 있을 경우 클러스터를 유지하여 재클러스터링으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였고, 낮을 경우 재클러스터링을 하여,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여 기존 알고리즘 대비 우수한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is a one of the key issu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lustering-based routing algorithms have been popular solutions for such an issue. Re-clustering is necessary for avoiding early energy drain of cluster head nodes in such routing strategies. The re-clustering pro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LEACH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살펴보았다. LEACH와 같이 빈번하게 재클러스터링을 하는 알고리즘은 재클러스터링을 위해 많은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 본 연구에서는 LEACH를 기반으로 하여, 클러스터 헤드의 잔여 에너지 수준에 대한 에너지 임계값을 구해 재클러스터링 빈도를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수명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LEACH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많은 부분 LEACH의 구조를 따른다.

가설 설정

  • 1)모든 센서노드는 동질적이며 제한된 에너지를 가진다. 2)노드는 100m x 100m 공간에 무작위로 배치되었고, 움직이지 않는다.
  •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는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분포해 있다. 각 노드는 처음에 0.5J 정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에너지 수준이 0에 도달하면 죽은 것으로 여긴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성능평가의 결과는 LEACH와 ECHSSDA 프로토콜과 비교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이슈는 무엇인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해당 이슈에 대해서 최근 연구들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을 어떻게 연장시키는가? 하지만, 클러스터 헤드가 다른 노드에 비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일찍 고갈된다. 이를 막기 위해 재클러스터링을 통해 클러스터 헤드를 교체하여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재클러스터링으로 인한 에너지 오버헤드가 적지 않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었다[5][13].
LEACH의 단점은 무엇인가? 클러스터링을 통해 클러스터 헤드만이 Base Station(BS)과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노드들이 BS와 직접 통신하면서 야기되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클러스터 헤드가 다른 노드에 비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일찍 고갈된다. 이를 막기 위해 재클러스터링을 통해 클러스터 헤드를 교체하여 클러스터 헤드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 Hemappa, Manjaiah D. H, Rabindranath Bera, and Shylaja B. T. "An Energy-Efficient Re-Clustering and Data Reporting Algorithm for Energy Constrained Wireless Sensor Net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85 (2014): 38-44. 

  2. Dietrich, Isabel, and Falko Dressler. "On the lifetim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ACM Transactions on Sensor Networks (TOSN) 5.1 (2009): 5. 

  3. Dongmin Choi, Seongyeol Kim, and Ilyong Chung. "Impact of Sink Node Location in Sensor Networks: Performance Evaluat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8. 8 2014. 

  4. D. Q. Lu Cheng and W. Wu, "An energy efficient weight-clustering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n Proc. Japan-China Joint Workshop on Frontier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IEEE Computer Society, 2008. 

  5. Hani, Raed M. Bani, and Abdalraheem A. Ijjeh. "A survey on leach-based energy aware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Communications 8.3 (2013): 192-206. 

  6. Heinzelman, Wendi Rabiner, Anantha Chandrakasan, and Hari Balakrishnan. "Energy-efficient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microsensor networks." System sciences, 2000.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00. 

  7. J. L. Liu and C. V. Ravishankar, "LEACH-GA: Genetic algorithm-based energy-efficient adaptive cluster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and Computing, vol. 1, no. 1, 2011. 

  8. Jin, Yichao, et al. "A distributed energy-efficient re-clustering solu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Global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2011), 2011 IEEE. IEEE, 2011. 

  9. Maraiya, Kiran, Kamal Kant, and Nitin Gupta. "Efficient cluster head selection scheme for data aggreg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23.9 (2011): 10-18. 

  10. M. Tong, "LEACH-B: An improved LEACH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in Proc.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Mobile Computing (WiCOM), Shanghai, China, 2010 

  11. O. Banimelhem, E. Taqieddin, F. Awad, M. Mowafi, and F. Al-Maaqbeh, "Fuzzy logic based energy efficient adaptive clustering protocol," in Proc.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Irbid, Jordan, 2012. 

  12. O. K. Buyanjargal, "An energy efficient clustering algorithm for event-driven wireless sensor networks (EECED)," in Proc. Fif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INC, IMS and IDC, NCM '09, Seoul, South Korea, 2009. 

  13. Ramesh, K., and Dr K. Somasundaram. "A comparative study of clusterhead selection algorithm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rXiv preprint arXiv:1205.1673 (2012). 

  14. X. H. Wu and S. Wang, "Performance comparison of LEACH and LEACH-C protocols by NS2" in Proc. 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stributed Computing and Applications to Business, Engineering and Science, Hong Kong, China, 2010, pp.254-258. 

  15. X. Shen, Z. Kang, and Yu Hu, "Energy-efficient cluster head selection in clustering rout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Proc.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Mobile Computing, WiCom, 2009. 

  16. Kwon, Soon-Il, and Il-Soon Roh. "A Head Selection Algorithm with Energy Threshold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9, no. 6, 2009 

  17. Jang, Beakcheol. "Lifetime-based Clustering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4 (2014): 2370-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