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임부 대상 모바일 웹 기반 임신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 Mobile Web-based Pregnancy Health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at an Advanced Maternal Ag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3, 2015년, pp.337 - 346  

왕희정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obile web-based pregnancy health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who were at an advanced maternal age (AMA)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regnancy health care. Methods: This program was developed using a web-based teaching-learn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oi[21]의 연구에서도 본 연구와 같이 사전-사후테스트를 적용하였으며, Moon과 Kim[22]의 연구에서는 사후 테스트만을 적용하였다. 고령임부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위험을 인지한다는 연구 결과[7]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증상을 경험한 고령임부의 사례를 제시하여 위험 증상의 조기 발견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실체적인 경험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유명 방송인인 고령임부의 사례도 제시하였다. Moon과 Kim[22]의 연구에서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성공사례 모음집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난 바 있다.
  • 본 연구는 대조군이 모바일 웹 기반 임신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생길 수 있는 외생변수의 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적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모바일 웹 기반의 고령임부를 위한 임신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교육 요구를 철저히 분석하여 대상자 중심의 설계과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5개 여성병원에서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장의 허락 하에 실시되었으며, 대상 임부의 선정 기준은 만 35세 이상 임신 20주 이내인 자,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자,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 인터넷 환경은 기존의 강의식 교육 환경과 달리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교육의 효과가 좌우되므로 설계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17]. 본 연구는 프로그램 내용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용의 출처를 명시하였고[23,26], 프로그램의 의학적 지식과 실천행위의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검증을 거쳤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제한된 화면으로 인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2단계 메뉴 페이지 구조로 설계해 페이지간 이동을 줄여 웹 사이트의 구조를 단순화시켰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임부가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모바일 웹을 기반으로 하여 임신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임부가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스스로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모바일 웹 기반 임신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령임부의 임신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실천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프로그램은 고령임부가 스스로 임신 중의 건강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긍정적인 임신 결과를 가져오는데 기여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모바일 웹 기반 임신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교육 후 임신 건강관리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모바일 웹 기반 임신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교육 후 임신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모바일 웹 기반 임신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교육 후 임신건강관리 실천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임부의 문제는 무엇인가? 고령임부는 젊은 임부에 비해 만성질환을 지닌 상태로 임신을 하거나 임신 중 건강문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고위험 신생아가 태어날 확률도 높다[3-6]. 또한 잠재되어 있는 임신 중 건강문제에 대한 공포가 있거나 이미 밝혀진 건강문제가 있는 임부는 극심한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4,6], 이는 임부와 신생아의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2].
2013년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과 평균 출산 연령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2013년에 29.6세, 평균 출산 연령은 31.8세로 10년 전보다 약 2세 정도 높아졌으며, 특히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이 2003년 8.4%에서 2013년 20.
2012년 12월 11일에서 21일까지 임신 관련 건강문제로 입원 중인 고령임부 3명과 분만한 고령산모 6명에게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는 무엇인가? 2012년 12월 11일에서 21일까지 임신 관련 건강문제로 입원 중인 고령임부 3명과 분만한 고령산모 6명에게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 분석 결과, 고령임산부는 고령임신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였고, 임신 중 건강문제 예방과 대처, 위험상황 대처와 같은 실질적인 정보를 원하였으며, 임신 중 영양과 체중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신과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인터넷을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in 2011 [Internet]. Daejeon: Author; 2014 [cited 2014 April 2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 board?bmoderead&aSeq313212. 

  2. Ataullah I, Freeman-Wang T. The older obstetric patient. Current Obstetrics & Gynaecology. 2005;15(1):46-53. http://dx.doi.org/10.1016/j.curobgyn.2004.09.006 

  3. Mills TA, Lavender T. Advanced maternal age. Obstetrics, Gynaecology and Reproductive Medicine. 2011;21(4):107-111. http://dx.doi.org/10.1016/j.ogrm.2010.12.003 

  4. Kim DS, Kim YT, Kim TH, Kim SM. Birth outcomes of late pregnant women and suggestions for policy support.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2. 

  5.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A, Tough S.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2;12:100. http://dx.doi.org/10.1186/1471-2393-12-100 

  6. Chung IS, Kim KS, Ryu SY, Na BJ. Anxiety of pregnant women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2;6(1):137-147. 

  7.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A, Tough S. Comparison of perception of pregnancy risk of nulliparous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and younger age.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2;57(5):445-453. http://dx.doi.org/10.1111/j.1542-2011.2012.00188.x 

  8. Wang HJ, Park HS, Kim IO. Comparison of prenatal health managem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under the age of 35.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30-241.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4.230 

  9. Park YJ, Viau PA, Jung CH, Yoon JW. Health promoting behaviors,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of the mature gravida after 35.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01;8(1):85-95. 

  10. Sung MH, Ju MS, Ju KS. Effects of a prepared childbir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delivery participation levels of the spouses of primipar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3):213-223. 

  11. Shin HS, Kim SH, Kwon SH. Effects of education on primiparas' postparti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2000;6(1):34-45. 

  12. Bandura A.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Education, health, sports and accomplishments of the organization. Park YS, Kim UC, translator. Paju: Kyoyookbook; 2001. 

  13. Lagan BM, Sinclair M, Kernohan WG. Internet use in pregnancy informs women's decision making: A web-based survey. Birth. 2010;37(2):106-115. http://dx.doi.org/10.1111/j.1523-536X.2010.00390.x 

  14. Tough S, Benzies K, Newburn-Cook C, Tofflemire K, Fraser- Lee N, Faber A, et al. What do women know about the risks of delayed childbearing?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6;97(4):330-334. 

  15. Kim IS.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web.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12;25(2):297-307. 

  16. Lee IS, Song KS, Lee Y. Inquiry of mobile learning. Seoul: Moonumsa;2006. 

  17. Jung IS. The web-based teaching-learning system design model. In: Rha I, editor. Web-based education. Paju: Kyoyookbook; 1999. p. 77-100. 

  18. Keller JM.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RCS model approach. New York, NY: Springer; 2010. 

  19. Kang SW, Yoo JS, Ko IS.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web site evaluation categories with items for diabetes mellitu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05;11(4):345-352. 

  20. Ahn SK, Kim SS. A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of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AgroInformatics Journal. 1999;1(1):1-11. 

  21. Choi Y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ventilator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1):5284-5291. 

  22. Moon MY, Kim M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on prevention of foot lesion in adults with diabet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12(2):154-167. 

  23. Kim J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support program for the maternal role of primipar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165-176. 

  24. Doo HJ. A study on the effect of web based instruction 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postpartal self-care and new born car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4. 

  25. Chung AK.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09;12(4):23-34. 

  26. Park MJ. Development of a web-based, tailored postpartum information program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27. Lim C. Interaction system of web-based education. In: Rha I, editor. Web-based education. Paju: Kyoyookbook; 1999. p. 127-142. 

  28. Fox MP.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reporting on studies that examined the impact of interactive, computer-based patient education program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9;77(1):6-13. http://dx.doi.org/10.1016/j.pec.2009.02.011 

  29. Eom SY, Kim ES, Kim HJ, Bang YO, Chun N. Effects of a one session spouse-support enhancement childbirth education on childbirth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in women and their husban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4):599-60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99 

  30. Svensson J, Barclay L, Cooke M. Randomised-controlled trial of two antenatal education programmes. Midwifery. 2009;25(2):114-125. http://dx.doi.org/10.1016/j.midw.2006.1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