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청소년의 식행동 패턴에 따른 간식 섭취, 생활 습관 요인 및 비만과의 연관성 연구
The association of snack consumption, lifestyle factors, and pediatric obesity with dietary behavior patterns in male adolesc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3, 2015년, pp.228 - 235  

김민지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전공) ,  송수진 (미시간주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소현 (오산고등학교 보건실) ,  송윤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 15~19세 남자 고등학생 902명을 대상으로 식행동, 간식 섭취, 식환경, 생활 습관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비만 판정을 위해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식행동 패턴에 따른 간식 섭취 및 기타 요인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1) 청소년 식생활 지침의 항목을 이용하여 식행동을 평가한 결과 대상자들은 3가지 패턴으로 분류되었다. 식생활과 생활 습관 모두 건강한 패턴과 식생활과 생활 습관 면에서 건강한 요소와 비건강한 요소가 혼재되어있는 혼합 패턴, 그리고 마지막으로 식생활과 생활 습관이 전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비건강 패턴이었다. 2) 각 패턴 별로 간식 섭취가 차이를 보였는데, 건강한 패턴은 과일, 우유, 호상요구르트의 섭취 빈도가 높았고, 혼합 패턴은 과일이나 호상요구르트 섭취 빈도가 높은 반면 라면,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사탕 섭취 빈도도 같이 높았으며, 비건강 패턴은 과일, 우유, 호상요구르트의 섭취 빈도가 다른 두 패턴에 비해 가장 낮은 반면 라면, 단 간식, 탄산음료 등의 간식 섭취 빈도는 가장 높았다. 3) 식환경을 포함한 생활 습관 요인도 패턴마다 상이했는데, 가정 내 식품 비치율은 각 식품 섭취 빈도와 유사하게 건강한 패턴과 혼합 패턴의 가정 내 과일 비치율이 비건강 패턴에 비해 높았다. 또한 혼합 패턴이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이 보충제 복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비건강 패턴은 식사 속도, 수면 시간은 짧고 스크린 시간이 하루 2시간 이상인 비율이 가장 높았다. 4) 패턴 별 비만과의 연관성은 건강한 패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혼합 패턴의 교차비는 1.11이었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비건강 패턴의 교차비는 1.88로 유의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소년의 식행동 패턴에 따라 간식 섭취 뿐 아니라 식습관, 생활 습관 요인이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비만과의 연관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식행동은 식품 섭취나 생활 습관 요인들과 서로 상호작용을 하므로 앞으로 청소년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전략으로 적절한 영양 교육과 함께 식행동과 생활 습관을 함께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ong with the adaptation of a Western dietary pattern and low physical activity, pediatric obesity is increasing in Korea, especially for boy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etary behavior patterns and examine the snack consumption, dietary habit, and pediatric obesity by patte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비만 위험이 높은 남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행동 패턴을 군집화 하고, 이들 패턴에 따른 간식 섭취와 식환경 그리고 비만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식환경 요인은 지난 일주일 동안의 가정 내 상시 비치된 식품에 대해 조사하였다. 과일, 채소, 우유, 탄산음료, 라면의 5가지 식품 항목에 대해 비치 유무를 ‘항상 그렇다’와 ‘거의 그렇지 않다’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과체중이나 비만이 초래하는 질병은 어떤것들이 있으며, 유병율은 어떠한가? 청소년기의 과체중이나 비만은 성인기의 여러 만성 질병으로 연결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Bjørge 등5은 체질량지수의 백분위수가 85 이상인 남자 청소년의 경우 백분위 수가 25 이상 74 이하인 정상 체중에 비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도가 2.9배 높다고 보고하였고, Sinha등6은 비만한 소아나 청소년의 경우 내당능장애의 유병률이 각각 25%, 21% 정도임을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청소년 비만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2010년에 10.2% 정도로1 10명 중 1명이 비만이며, 그 증가율은 1997년에 비해 2005년에 1.7배 상승하였다.2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만 유병률이 높아지는데, 특히 남아는 고등학생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그 증가폭도 여아보다 두드러졌다.
청소년 비만을 교정하기 위해 중요한 요인은? 청소년 비만에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사 요인과 생활 습관 요인이 교정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7 청소년 비만과 관련해서는 패스트푸드나 탄산음료 섭취가 증가할수록 체중이 증가하였고, 잦은 외식이 총에너지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oh E, Eun S, Joo Y. The policy support plans of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childhood and adolescent. Seoul: The Seoul Institute; 2012. 

  2. Oh K,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Kim YT.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 51(9): 950-955. 

  3. Ogden CL, Carroll MD, Kit BK, Flegal KM. Prevalence of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2009-2010. NCHS Data Brief 2012; (82): 1-8. 

  4. Matsushita Y, Yoshiike N, Kaneda F, Yoshita K, Takimoto H. Trends in childhood obesity in Japan over the last 25 years from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Obes Res 2004; 12(2): 205-214. 

  5. Bjorge T, Engeland A, Tverdal A, Smith GD. Body mass index in adolescence in relation to cause-specific mortality: a follow-up of 230,000 Norwegian adolescents. Am J Epidemiol 2008; 168(1): 30-37. 

  6. Sinha R, Fisch G, Teague B, Tamborlane WV, Banyas B, Allen K, Savoye M, Rieger V, Taksali S, Barbetta G, Sherwin RS, Caprio S. Prevalenc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arked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11): 802-810. 

  7. Krebs NF, Jacobson M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Nutrition. Prevention of pediatric overweight and obesity. Pediatrics 2003; 112(2): 424-430. 

  8. Nielsen SJ, Siega-Riz AM, Popkin BM. Trends in food locations and source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rev Med 2002; 35(2): 107-113. 

  9. Paeratakul S, Ferdinand DP, Champagne CM, Ryan DH, Bray GA. Fast-food consumption among US adults and children: dietary and nutrient intake profile. J Am Diet Assoc 2003; 103(10): 1332-1338. 

  10. St-Onge MP, Keller KL, Heymsfield SB. Changes in childhood food consumption patterns: a cause for concern in light of increasing body weights. Am J Clin Nutr 2003; 78(6): 1068-1073. 

  11. Rampersaud GC, Pereira MA, Girard BL, Adams J, Metzl JD.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5; 105(5): 743-760. 

  12. Niemeier HM, Raynor HA, Lloyd-Richardson EE, Rogers ML, Wing RR. Fast food consumption and breakfast skipping: predictors of weight gai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J Adolesc Health 2006; 39(6): 842-849. 

  13.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4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Dec 5 [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www.yhs.cdc.go.kr/. 

  14. Nemet D, Barkan S, Epstein Y, Friedland O, Kowen G, Eliakim A. Short- and long-term beneficial effects of a combined dietarybehavioral-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for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Pediatrics 2005; 115(4): e443-e449. 

  15. Neumark-Sztainer D, Rock CL, Thornquist MD, Cheskin LJ, Neuhouser ML, Barnett MJ. Weight-control behaviors among adults and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dietary intake. Prev Med 2000; 30(5): 381-391. 

  16. Leech RM, McNaughton SA, Timperio A. The clustering of diet,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4; 11: 4. 

  17. Sanchez A, Norman GJ, Sallis JF, Calfas KJ, Cella J, Patrick K. Patterns and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behaviors in adolescents. Am J Prev Med 2007; 32(2): 124-130. 

  18. Hardy LL, Grunseit A, Khambalia A, Bell C, Wolfenden L, Milat AJ. Co-occurrence of obesogenic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J Adolesc Health 2012; 51(3): 265-271. 

  19. Jee YJ, Kim YH.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Korean J Obes 2013; 22(1): 39-49.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2003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Dietary action guides for adolescent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3. 

  21.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Oh K, Jang MJ, Hwang SS, Yoo MH, Kim YT, Lee CG.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 Pediatr 2008; 51(1): 1-25. 

  22. Story M, Neumark-Sztainer D, French 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behaviors. J Am Diet Assoc 2002; 102(3 Suppl): S40-S51. 

  23. Steinmetz KA, Potter JD. Vegetables, fruit, and cancer prevention: a review. J Am Diet Assoc 1996; 96(10): 1027-1039. 

  24. Ding D, Sallis JF, Norman GJ, Saelens BE, Harris SK, Kerr J, Rosenberg D, Durant N, Glanz K. Community food environment, home food environment,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 Nutr Educ Behav 2012; 44(6): 634-638. 

  25. Pearson N, Ball K, Crawford D. Predictors of changes in adolescents' consumption of fruits, vegetables and energy-dense snacks. Br J Nutr 2011; 105(5): 795-80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