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소음도와 소음에 대한 환자의 인지
Noise Levels in Intensive Care Units and Patient's Perception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1, 2015년, pp.41 - 49  

김민영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박의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동산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noise level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noise and patient perceptions of the noise. Methods: Noise levels were recorded in adult ICUs for 24 h over a week from the patients' bedside with a sound level meter.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의 원인을 파악하여 소음에 대한 환자의 인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의 소음도를 측정하고, 환자가 인지한 소음에 대한 반응과 소음요인을 평가 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설문지 조사를 위해서 2014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중환자전문간호사 3인, 간호학 교수 1인, 중환자의학 교수 1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가 일반 병실로 전실하기 전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설문지 응답내용은 연구자만 열람 가능하며 응답내용이 향후 환자의 치료와는 무관함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얻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의 소음도를 시간대별과 소음 요인 종류별로 나누어 측정하고, 환자가 느끼는 소음의 정도와 소음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서 소음이 증가되는 이유는? 병원은 지속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장소이다. 특히, 중환자실의 경우 기기장비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소음이 증가하고 있다(Christensen, 2007; Darbyshire & Young, 2013). 병원 내 소음 변화를 측정하여 발표한 연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부터 병원 내 소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대에는 약 15 decibels acoustic (dBA)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였다(Busch-Vishniac et al.
환자의 경우 소음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0dBA보다 낮아야 한다(Berglund, Lindvall, & Schwela, 1999). 특히 환자들의 경우 신체 및 정신 상태의 약화로 소음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kansel & Kaymakci, 2008; Kamdar, Needham, & Collop, 2012; Xie, Kang, & Mills, 2009).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소음관리지침에서는 병원 내 소음의 증가는 환자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환자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병원 내 소음 기준을 평균 35.
세계보건기구의 소음 관리지침에 비해 선행 연구는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가? , 1999). 하지만 선행 연구 결과, 중환자실 소음수준의 약 20%가 평균 70.0dBA 이상이었으며, 24시간 동안의 평균 소음도는 53.0-62.0dBA로 높게 나타나 WHO의 기준을 고려 할 때 중환자실의 소음은 심각한 상태이다(Christensen, 2007; Darbyshire & Young, 2013; Son, 2001; Tegnestedt et al., 2013; Xi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kansel, N., & Kaymakci, S. (2008). Effects of intensive care unit noise on patients: a study o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12), 1581-1590. 

  2. Berglund, B., Lindvall, T., & Schwela, D. H. (1999). Guidelines for community noise. World Health Organization, 4 , 55-65. 

  3. Busch-Vishniac, I. J., West, J. E., Barnhill, C., Hunter, T., Orellana, D., & Chivukula, R. (2005). Noise levels in Johns Hopkins hospital.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America, 118 (6), 3629-3645. 

  4. Christensen, M. (2007). Noise levels in a general intensive care unit: a descriptive study. Nursing in Critical Care, 12 (4), 188-197. 

  5. Connor, A., & Ortiz, E. (2009). Staff solutions for noise reduction in the workplace. The Permanente Journal, 13 (4), 23-27. 

  6. Darbyshire, J. L., & Young, J. D. (2013). An investigation of sound levels on intensive care units with reference to the WHO guidelines. Critical Care, 17 (5), R187. 

  7. Freedman, N. S., Gazendam, J., Levan, L., Pack, A. I., & Schwab, R. J. (2001). Abnormal sleep/wake cycles an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noise on sleep disrup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3 (2), 451-457. 

  8. Gladd, D. K., & Saunders, G. H. (2011). Ambient noise levels in the chemotherapy clinic. Noise and Health, 13 (55), 444-451. 

  9. Graham, K. C., & Cvach, M. (2010). Monitor alarm fatigue:standardizing use of physiological monitors and decreasing nuisance alarm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 (1), 28-34. 

  10. Hweidi, I. M. (2007). Jordanian patients' perception of stressors in critical care unit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 (2), 227-235. 

  11. Jeong, H. U. (2001). Comparison between noise levels of hospital wards and the nurses efforts for noise management in selected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 (2), 174-182. 

  12. Kamdar, B. B., Needham, D. M., & Collop, N. A. (2012). Sleep deprivation in critical illness: its role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covery.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27 (2), 97-111. 

  13. Lee, M. H., Sakong, J., & Kang, P. S. (2007). Effects of noise in hospital on patients and employees.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4 (2), 352-364. 

  14. Li, S. Y., Wang, T. J., Wu, S. F., Liang, S. Y., & Tung, H. H. (2011). Efficacy of controlling night-time noise and activities to improve patients' sleep quality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 (3-4), 396-407. 

  15. Liu, W. F. (2010). The impact of a noise reduction quality improvement project upon sound levels in the open-unitdesig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rinatology, 30 (7), 489-496. 

  16. Schmid, F., Goepfert, M. S., & Reuter, D. A. (2013). Patient monitoring alarms in the ICU and in the operating room. Critical Care, 17 (2), 216. 

  17. Son, Y. J.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and sleep patterns in intensive care uni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3 (2), 209-222. 

  18. Tegnestedt, C., Gunther, A., Reichard, A., Bjurstrom, R., Alvarsson, J., Martling, C. R., et al. (2013). Levels and sources of soun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 observational study of three room types.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7 (8), 1041-1050. 

  19. Xie, H., Kang, J., & Mills, G. H. (2009). Clinical review: the impact of noise on patients' sleep and the effectiveness of noise reduction strategies in intensive care units. Critical Care, 13 (2), 208. 

  20. Yu, J. S., Kwon, M. S., Ko, K. S., Yun, H. N., Park, Y. S,, Suh, K. S., et al. (2003).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nd noise blocking intervention on the vital sings of patient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8 (2), 49-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