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2, 2018년, pp.63 - 74  

박은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i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 :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data collected from 145 ICU nurses working at two university hospitals with more than 1,200 beds located in B and Y city were analyzed. Th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의사소통만족도와 간호만족도를 높이는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속 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 및 후속 연구에 비교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의사소통만족도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 정도와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와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이 모든 변수를 포함하여 함께 상관관계를 본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의 세 변수를 포함하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자율성, 의사소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 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와 이들 변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숙련된 간호가 요구되는 이유는? 중환자실 간호사는 위급한 중증환자와 임종환자를 간호함과 동시에 환자의 회복에 대한 높은 책임감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중환자실 간호사에게는 고도의 기술력과 판단을 요하는 특수한 간호뿐 아니라 포괄적이고 숙련된 간호가 요구되는데, 숙련되고 전문적인 간호는 직무만족도가 높을 때 향상된다(Park &Kang, 2007).
직무만족도가 구성원 개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이 때문에 중환자실 간호사에게는 고도의 기술력과 판단을 요하는 특수한 간호뿐 아니라 포괄적이고 숙련된 간호가 요구되는데, 숙련되고 전문적인 간호는 직무만족도가 높을 때 향상된다(Park &Kang, 2007). 직무만족도는 구성원 개개인의 성장발달에 도움을 주고 조직의 발전이나 목표의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한 요인이다(Kim &Lee, 2009).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진 사람은 새로운 업무들을 더 신속하게 학습하고 직무환경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어 자신의 욕구를 증진시키고 근로생활의 질을 높여 조직의 목표달성에 기여한다(Lee &Eo, 2011).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전문직자율성이 있으며, 전문직자율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Hong, Kim, &Lee, 2009; Park &Yeo, 2015). 즉 간호사가 전문 간호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전문인으로서 간호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올바른 태도를 확립할 때 직무만족도가 향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E. J. (2015).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 trust among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 Connor, K. M., & Davidson, J. R.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3. Downs, C. W. (1971). Study of Satisfaction in a Public Service Company(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USA. 

  4. Hong, E. M. (2007). A study on hospital nurses' level of communication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5. Hong, J. Y., Kim, O. H., & Lee, E. K. (2009). The relationship among nurse-doctor collaboratio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4), 601-609. 

  6. Jang, S. Y. (2010). Comparison of life quality,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three rotating shift nurses(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7. Jeong, Y. H. (2017). Th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clinical competency(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Korea. 

  8. Jo, O. S. (2016).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teamwork and autonomy perceived by hospital nurses(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B. N., Oh, H. S., & Par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14-23. 

  10. Kim, I. W. (2005). A structure model on head nurse's leadership(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S. J. (2016). Effect of ego resilience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 on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schoolwork(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12. Kim, J. M. (2011). Professionalism,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3. Kim, S. N., & Yoo, M. S. (2014). Relationships between ICU nurses' resilienc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1(1), 36-43. 

  14. Kim, Y. H., & Lee, Y. M. (2009). Influence of self o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1939-1951. 

  15. Lee, A. K., Yoe, J. Y., Jeong, S. W., & Byun, S. S. (2013).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3(12), 299-308. 

  16. Lee, J. H., & Song, Y. S. (2017).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ICU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5), 188-188. 

  17. Lee, J. W., & Eo, Y. S. (2011).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2), 759-769. 

  18. Lee, K. S., & Park, E. A. (2017). Influencing effects of role conflict, resilience on burnout in physician assista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5), 1424-1434. 

  19. Lee, Y. J., & Moon, S. H. (2013).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perceived by a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er within the organization.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3(3), 175-191. 

  20. Lim, S. H., Yeo, J. S., Beon, I. M., Heo, Y. J., Gong, J. W., Kim, H. A., ...Ji, I. M. (2001). A study on the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ed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5, 194-201. 

  21. Moon, S. J., & Han, S. S. (2009). The predic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72-80. 

  22. No, M. N. (2017). Nurses' perception of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ttitude(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3. Park, H. S., & Kang, E. H.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810-821. 

  24. Park, J. A., & Yeo, J. H. (2015). The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emergency room nurse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8(1), 62-70. 

  25. Park, J. H. (2002).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s in hospital setting(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Park, S. Y., Kwon, Y. H., & Park, Y. S. (2015).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5(2), 324-332. 

  27. Schutzenhofer, K. K. (1983).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 Mental Health Services, 21(4), 25-30. 

  28. Slavitt, D. B., Stamps, P. L., Piedmont, E. B., & Hasse, A. M. B.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2), 114-120. 

  29. Sung, M. H., Kim, Y. A., & Ha, M. J.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47-555. 

  30. Yoon, J. W., & Park, Y. S. (2008). Communication typ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emergency room. Keimyung Nursing Science, 12(1),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