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큐레이션과 광고 - 버티컬 SNS에서 표현된 패션브랜드 이미지의 메시지 전략 -
Social curation as an advertising tool - Message strategy of fashion brand images on vertical SNS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3, 2015년, pp.498 - 511  

신인준 (한양대학교 의류학과대학원)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advertising images of fashion brands in vertical social network site (SNS) from the viewpoints of message strategies. Vertical social network sites are types of social curation systems applied to social networking, where information is selected, organized, and maintained. Fash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NS가 적극적인 광고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점이나 아직 이와 같은 광고에 대한 메시지 전략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Taylor의 메시지 전략 모델을 본 연구의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보 범람 시대에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새롭게 등장한 소셜큐레이션 SNS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버티컬 SNS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업과 맺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전략적 소구점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버티컬 SNS 상에서 패션브랜드에서 주체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각종 이미지들을 새로운 광고 형태로 간주하고, 광고 메시지를 분석하는 틀로 널리 사용되어 온 Taylor(1999)의 6분할 메시지 전략 모델을 바탕으로 패션브랜드의 버티컬 광고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여 보고자 한다.
  • 버티컬 SNS를 이용하는 기업은 버티컬 SNS 사용자들이 원하는 주제를 잘 파악하고, 시의적절하게 그 주제와 유사성을 가지는 콘텐츠를 찾아 그 기업만이 갖고 있는 강점으로 콘텐츠를 재창조하여 다시 버티컬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버티컬 SNS에서 패션 브랜드의 광고 이미지를 콘텐츠로써 분류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추출되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버티컬 SNS에서 주로 사용되거나, 가장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을 파악하였다. 광고 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로써 Taylor(1999)의 메시지 전략 모델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정보 범람 시대에 소셜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새롭게 등장한 소셜큐레이션 SNS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버티컬 SNS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업과 맺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전략적 소구점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버티컬 SNS 상에서 패션브랜드에서 주체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각종 이미지들을 새로운 광고 형태로 간주하고, 광고 메시지를 분석하는 틀로 널리 사용되어 온 Taylor(1999)의 6분할 메시지 전략 모델을 바탕으로 패션브랜드의 버티컬 광고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여 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패션브랜드의 버티컬 SNS에서 볼수 있는 피드백 요소 간 관계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너무 많은 정보량의 문제점은? 동영상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SNS인 유튜브는 1분에 100시간 분량의 비디오가 올라온다고 하는데(Kieu, Ichise, & Pham, 2015), 이와 같은 분량은 세계적으로 유명 방송국이 역대에 제작한 영상 분량과는 비교되지도 않을 정도로 많은 정보이다. 너무 많은 정보량이 원래의 목적이었던 편리함을 제공하기 보다는 생성자와 사용자의 구분을 어렵게 하였을 뿐 아니라,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만들어 내고 있기도 한다.
개인이 다수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며 어떤 문제가 발생되었나? 그러나 개인이 다수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며, 쏟아지는 정보와 푸쉬업 메시지 등으로 인하여 너무 많은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쏟아지며, 정작 필요한 정보는 쉽게 찾을 수 없을 만큼 정보의 양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특히 이미지와 영상, 음악 등이 소셜미디어 콘텐츠로써 생성되는 양은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막대한 정보량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ieu, Ichise, & Pham, 2015). 따라서 적정하고 효율성 있는 정보를 쉽게 찾아내고자 하는 욕구가 생겨날 수밖에 없으며, 정보의 신뢰도가 또한 중요한 측면이 되었다.
소셜미디어 사용의 증가로 어떤 변화가 생겼나?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 대변되는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소개 이후 이용자 수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누구나 정보를 만들어내고 공유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자리 잡았다. 가상공간에서 개인 간의 소통이 원활해졌고,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정보 습득의 과정이 훨씬 다양해졌다. 개인 간 소통이 빠르고, 손쉽게 이루어져 더욱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제약 없이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친해지고 싶은 사람들과 쉽게 관계를 맺고 커뮤니케이션하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Du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ito, P. Q., & Pratas, J. (2015). Tourism brochures: Linking message strategies, tactics and brand destination attributes. Tourism Management, 48, 123-138. doi:10.1016/j.tourman.2014.10.013 

  2. Duh, K., Hirao, T., Kimura, A., Ishiguro, K., Iwata, T., & Yeung, C. M. A. (2012). Creating stories: Social curation of Twitter messages.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447-450. 

  3. Golan, G. J., & Zaidner, L. (2008). Creative strategies in viral advertising: An application of Taylor's six-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Journal of Computer-Meated Communication, 13, 959-972. 

  4. Hall, C., & Zarro M. (2012). Social curation on the website Pinterest.com.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9. 

  5. Hu, Y., Manikonda, L., & Kambhampati, S. (2014). What we Instagram: A first analysis of Instagram photo content and user types. Proceedings of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ttp://149.169.27.83/instagram-icwsm.pdf 

  6. Hwang, J. S., McMillan, S. J., & Lee, G. (2003). Corporate web sites as advertising: An analysis of message strategies and features among multiple product categories for both large and small companie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3(2), 12-32. 

  7. Instagram. (2015). Our story: A quick walk through our history as a company. Retrieved May 08, 2015, from https://instagram.com/press 

  8. Interbrand. (2013). The top 100 list view. Retrieved September 11, 2013, from, http://www.interbrand.com/en/best-global-brands/2013/top-100-list-view.aspx 

  9. Jang, J. Y., Han, K., Shih, P. C., & Lee, D. (2015). Generation Lik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in Instagram. Proceedings of CHI 2014 Crossing, 4039-4042. doi:10.1145/2702123.2702555 

  10. Ju, I., & Park, J. S. (2015). Communication strategies in direct-to-consumer prescription drug advertising (DTCA): Application of the six 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5), 546-554. doi:10.1080/00909882.2010.536846 

  11. Kieu, B. T., Ichise, R., & Pham, S. B. (2015). Predicting the popularity of social curation. Knowledge and Systems Engineering: Advances in Intelligent Systems and Computing, 326, 413-424. doi:10.1007/978-3-319-11680-8_33 

  12. Kim, E. H. (2010). A study of the creative strategy for a viral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2(3), 255-282. 

  13. Ko, A., & Kim, S. (2014). A study on fashion brand's SNS marketing: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6), 1011-1027. doi:10.7741/rjcc.2014.22.6.1011 

  14. Laskey, H. A., Day, E., & Crask, M. R. (1989). Typology of main message strategies for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Advertising, 18(1), 36-41. 

  15. Lee, J. H. (2012). Diffusion of and trends in SNS (Social Network Service).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44, 54-59. 

  16. Lee, Y., & Rhee, Y.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mobile SNS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5), 848-861. doi:10.7741/rjcc.2014.22.5.848 

  17. Lee, T., Taylor, R. E., & Chung, W. (2011). Changes in advertising strategies during an economic crisis: An application of Taylor's six-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39(1), 75-91. doi:10.1080/00909882.2010.536846 

  18. Rosenbaum, S. (2011). Curation nation: How to win in a world where consumers are creators. New York: McGraw-Hill. 

  19. Taylor, R. E. (1999). A six-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6), 7-17. 

  20. Wells, W. D. (1980). How advertising works. Chicago: Needham Harper Worldwid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