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연구
A Study of Self-Perception on Designing in Mathematical Assessment Items of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7 no.2, 2015년, pp.331 - 353  

박미영 (한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기준에서 평가도구의 개발과 관련된 세부 내용 중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역량을 탐색하는 것으로 중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평가문항에 대한 자기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 도구는 수학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수학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로 구성되었다. 예비교사는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직교사는 중 고등학교에 재직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사의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를 위해 총 310명의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tise of mathematic teachers in development of designing assessment items, derived from development of assessing tools, which is a part of assessing competence of mathematic teachers. Analysis was made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평가능력을 향상시키려는 국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는가? 오늘날 많은 교사들이 평가에 관한 훈련을 받고 있지 못하며, 학생들의 성취도를 판단하는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교사의 평가능력을 향상시키려는 국외 사례로는 CATCH(Classroom Assessment as a basis for Teacher Change project, Freudenthal Institute, The Netherland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GAP(The Greatest Assessment Project, 영국), MCTP(Mathematics Curriculum Teaching Project, 호주), MAP(Mathematics Assessment project, 싱가포르), APMC(The Assessment Practices in Mathematics Classroom Project, 대만), CGI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미국)등이 있다. 또한 국내 사례로는 수학과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신현용 외,2004),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김정호 외, 2009), 중학교 교사의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김정호 외, 2010)등이 있다.
좋은 문항을 개발하려는 전제조건은? 좋은 문항 제작자가 되는 것은 부단한 문항제작연습과 경험이 요구된다(양길석, 2005; Mcmillan,2001; 2002). 첫째, 좋은 문항을 개발하려면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과 정보가 풍부해야한다. 교사는 교과 전문가이자 내용전문가로써 학습내용에 대한 배경지식과 정보가 풍부하여 참신하면서도 사고력을 요할 수 있는 문항의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수학문제를 만드는 것은 하나의 과학이며, 이를 넘어선 ‘예술’이라고 하는 이유는? 95). 예술가의 능력에 따라 작품이 질이 결정되는 것처럼, 수학문제도 교사의 문항개발 역량에 따라 그 질이 좌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제3차 교육개혁 대책회의. http://www.mest.go.kr.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3. 김선희(2012).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학연구, 22(2), 277-292. 

  4. 김수동, 김경희, 이의갑, 김선희, 박은아, 신명선, 서수현, 박가나(2005).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E 2005-3. 

  5. 김신영(2002). 현장교사의 평가전문성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67-85. 

  6. 김신영(2007).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과 중등교사 양성과정. 교육평가연구, 20(1), 1-16. 

  7. 김정호, 남명호, 이양락, 조용기, 이재봉, 이창훈, 노은희, 남진영, 이혜원, 권영락, 신일용, 박영수, 손민정, 신택수, 송미영(2009).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T 2009-15-1. 

  8. 김정호, 신일용, 조지민, 박영수, 박기범, 박종훈, 남진영, 김용명, 박진동, 동효관, 김진구(2010). 중학교 교사의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10-6. 

  9. 김창환, 조지일, 김병주, 김영철, 박종호, 이영, 장명림, 주창범, 홍후조, 윤형한, 차성현(2011). 국가교육의 장기비전: 향후 10년의 교육비전과 전략. 한국교육개발원 CR2011-106. 

  10. 박도순, 원효헌, 이원석(2011).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11. 박만구(2005). 수학 평가 문항의 출제 및 채점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1-17. 

  12. 성태제(2004).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3. 성태제(2010). 현대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4. 신현용, 고상숙, 김인수, 신인선, 이강섭, 김병수, 이중권, 최영기, 한인기(2004). 수학과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5-6. 

  15. 양길석(2005). 좋은 문항 제작자가 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웹진, 통권 12호. 

  16. 전영주(2012). 수학과 평가 문항제작의 실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2), 281-297. 

  17. 정미경, 김경자(2006).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능력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 신장 방안. 교육과학연구, 37(3), 25-45. 

  18. 최지선(2013). 선택형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 프로그램 효과 제고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93-212. 

  19. Abu-Elwan, R. (2007). The Use of Webquest to Enhance the Mathematical Problem-Posing Skills of Pre-Service Teachers.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14(1), 31-40. 

  20.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90). Standards for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Washington, DC: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21. Chamberlin, M. T., Powers, R., & Novak, J. (2008).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assessme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3(3), 155-178. 

  22. Clarke, D. J., & Hollingsworth, H. (2002). Elaborating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growth.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8), 947-967. 

  23. Crespo, S. (2003). Learning to pose mathematical problems: Exploring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ractic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2, 243-270. 

  24.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 (Eds). (2005).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San Francisco: Wiley & Sons, Inc. 

  25. De Lange, J. (1995). Assessment: No change without problems. In T. A. Romberg (Ed.), Reform in school mathematics and authentic assessment (pp. 87-173). Albany, NY: SUNY Press. 

  26. Hatano, G., & Oura, Y. (2003). Commentary: Reconceptualizing school learning using insight from expertise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32(8), 26-29. 

  27. Idris, N. (2007). Classroom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Selangor, Malaysia: McGraw-Hill. 

  28. Lesh, R., & Lamon, S. J. (Eds.). (1992). Assessment of authentic performance in school mathematics.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9. Leung, S. K. (1996). Problem posing as assessment: Reflections and Re-constructions. The Mathematics Educator, 1(2), 159-171. Singapore. 

  30. Leung, S. K., & Silver, E. A. (1997). The role of task format, mathematics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on the arithmetic problem pos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9, 5-24. 

  31. Lin, P. J. (2006). Conceptualiz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by using assessment task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4(3), 545-580. 

  32. McMillan, J. H. (2001). Secondary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and grading practice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0(1), 20-32. 

  33. McMillan, J. H. (20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and grading practic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4), 203-214. 

  3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5).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6. Parke, C. S., Lane, S., Silver, E. A., & Magone, M. E. (2003). Using Assessment to Improve Middle-Grades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7. Schafer, W. D. (1993). Assessment literacy for teachers. Theory Into Practice, 32(2), 118-126. 

  38. Shepard, L., Hammerness, K., Darling-Hammond, L., & Rust, F. (2005). Assessment. In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 (Eds).,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pp. 323-379). 

  39. 강현석, 소경희, 조덕주, 김경자, 서경혜, 최진영, 이원희, 장사형, 박창언 공역(2009). 21세기를 위한 최신 교사교육론. 서울: 학이당. 

  40.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41.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42. Silver, E. A. (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 19-28. 

  43. Silver, E. A., Mamona-Downs, J., Leung, S. S., & Kenney, P. A. (1996). Posing mathematical problem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3), 293-309. 

  44. Stenmark. J. K. (1991). Mathematics assessment: Myths, models, good ques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Reston, VA: NCTM. 

  45. Stickles, P. R. (2006). An analysis of second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ndiana. 

  46. Susan, L. H. (2010).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 3rd.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47. Thompson, P. W., Carlson, M. P., & Silverman, J. (2007). The design of tasks in support of teachers' development of coherent mathematical meaning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 415-432. 

  48. Webb, D. C. (2010). Discourse Based Assessment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 study of teachers' instructionally embedded assessment practices. Saarbrucken, Germany: Lambert Academic Publishing. 

  49. Webb, D. C., Romberg, T. A., Dekker, T., De Lange, J. & Abels, M. (2004). Classroom assessment as a basis for teacher change. In Romberg, T. A. (Ed.), Standards-Based Mathematics Assessment in Middle School: Rethinking Classroom Practic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